명상으로 얻는 깨달음 - 달라이 라마 명상록
텐진 갸초 지음, 지창영 옮김 / 가림출판사 / 2001년 2월
평점 :
절판


달라이 라마와의 4일간의 대화로 엮어진 이 책은 우리들에게 인내와 관용을 기르는 방법에 대한 명상법을 설명해주고 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해를 끼치거나 나쁜 말을 할 때 우리는 분노하기도하고 그 사람을 미워하기도 한다. 그런데 그 분노와 미움의 이유는 그 사람의 말과 행동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것은 그 사람의 말과 행동을 받아들이는 우리의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사실이다.

인내와 관용이란 무엇인가? 이미 온전한 이 우주에 내가 스스로 업을 짓지 않기 위함이다. 이러한 인내와 관용만이 이 지구에서 우리 인류에게 닥쳐온 위기를 해결하고 우리 인생이 가진 의미를 온전히 가지게 하기 때문이다. 인내와 관용의 부족이 가져온 수많은 업들, 현상적으로는 세계의 전쟁과 살륙, 마음으로는 3독의 세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중생의 마음을 돌아볼 때 우리에게 절실하다고 생각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내와 관용은 타인의 고통과 번뇌에 대한 동정과 연민의 마음 그리고 자비의 마음으로서 자신의 마음속에서 만들어가는 것일수도 있으며, 현상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사건 사물들이 실재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허상이라는 것을 깨닫게 됨으로써 알게 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는 마음의 수행을 이야기할 때 이 두 가지의 방법이 모두 필요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고통에 빠진 중생들의 삶을 연민하고 그 고통에 대한 자비심을 기르는 것은 그들이 행복해지기를 깨닫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되고 보리심과 자비심을 위해 인내와 관용의 마음을 마음에서 키워내는 것은 중생의 행과 업이 사실은 그들 자체를 원인으로 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님을 보는 깨달음을 아는 것과 다름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상의 실재를 이해하고 공을 깨닫게 되는 것에만 집착하여 자신의 깨달음의 이유와 의미에 대해 생각하지 못하는 삶은 달라이 라마의 가르침과는 상반되는 것이 된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가 다름이 없다라는 말도 이것과 상통되는 것이 아닐까? 인내와 관용 그리고 실재에 대한 깨달음 그것은 다름이 아니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의 마음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이 마음이란 무엇일까? 현상에 집착하지 않고 나의 오감에 마음을 두지 않으면서도 무감각하지 않고 깨어 있으면서 그 마음을 놓치지 않는 것... 바로 명상으로 얻는 깨달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