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변의 카프카 (상)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사상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를 읽고 나서 난 마치 조각그림의 일부만을 읽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하지만 그만이 가진 독특한 문체에 끌려 전혀 지루함없이 읽었던 기억이 난다. <상실의 시대>는 내가 방황하던 20대 초반의 삶을 다시 되살려내어서 책을 읽는 동안 내가 그 소설속의 주인공으로서 살아가게 해주었다. 하지만 그 무엇도 지금 손에 든 이 책만큼 완성도와 작품성 면에서 나를 끌고 있는 작품은 없었다. 이 책은 그 자신의 말대로 하나의 촛점이면서 그 촛점속에 세상의 모든 촛점을 담아보려고 한 그의 노력이 엿보인다.
이 책의 구성과 내용에서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면 그것은 단연 '이중성과 모순'이라고 말하고 싶다. 카프카라는 제목과 주인공의 이름이 그러하며 두 가지 동떨어진 이야기의 시작이 그렇고(물론 이 두 이야기가 어느 지점에선가 만나리라는 예감은 누구나가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소년의 나이를 성인과 소년의 중간지대인 15세로 한 것도 그러하며 소년의 심리를 표면의식의 자아와 내면의식의 무의식으로 표현하여 이야기를 전개시켜나가는 점도 그렇다.(까마귀소년이라고 상징되는 그의 지하깊숙히 자리한 불안한 무의식) 그것은 삶에 있어서 우리가 가지는 기쁨과 슬픔, 고통과 쾌락, 삶과 죽음, 범죄와 예술, 미추와 선악의 모든 문제들을 담아내어서 우리들로 하여금 깊은 내면으로 향하게 한다.
그런 의미에서 그가 담고자 했던 것은 메타포의 형식을 통한 인간 삶의 전형을 보다 불확실성의 원리에 입각해서 보여주고자 함이 아닐까? 하지만 그 불확실성이 어쩌면 이야기전개에서 조각가인 아버지가 아들에게 늘 주입시킨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육체적 관계를 맺게 된다'는 신화적 상상력에 기댄 운명적 스토리를 전제로 하고는 있지만 말이다. 즉 이야기 속의 운명화된 카프카의 인생을 해석하는 독자들의 인생의 불확실성....이렇게 그가 보는 삶에는 확실성과 불확실성이 역시 공존할 것이다.
소설 작품 한 편이 때로는 삶의 깊이와 재미와 스토리의 꽉 짜여진 체계를 갖게 되어 사람을 감동시킬 때 그 작품은 단지 문학적 상상력으로서만 읽혀지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들의 잠재의식속에 자리잡아 삶의 깊은 색깔을 만들어내고 있을 것이다. 다만 물이 땅에 스며들어 걸러져서 일정한 양만이 깊은 수맥에 이르듯이 이야기의 줄거리나 등장인물과 사건들은 빠지고 그 작품이 주는 깊은 감동과 삶의 메타포만이 우리 의식의 깊은 수맥에 도달하여 우리들의 삶을 형성해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