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18편의 단편들이 보여주는 세상은 비록 그것이 서로 다른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보고는 있지만 결국엔 인간이 가진 내면세계를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는 같다. 그의 기발한 아이디어를 통해 그려진 우리 인간 세계를 바라보는 창들은 우리들의 내면 속에 우리가 이전에 전혀 알지 못했던 것들을 발견하게 한다.

신을 통해 바라본 인간의 세상은 우리 사회와 우리 인간의 삶을 결정짓고 때로는 그 생명력의 원천을 제공하는 눈에는 보이지 않는 그 무엇인가를 추구하게끔 하고 숫자왕국에서 깨달음의 수준을 숫자에 의해 구분하는 수의 신비에서는 마치 우리 사회의 지배-피지배 관계에 대한 새로운 상을 그려내고 있다. 말없는 친구에서는 비록 나무와 식물이 우리들의 언어로서는 표현하지 못하지만 그들도 우리와 똑같은 감정과 사고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이 수단만 빌려지면 인간과 교류할 수 있다는 메세지를 준다.

아마 영적이고 정신적인 교류방법이 흔하게 존재하였던 우리의 전통사회나 인디언 및 원시 부족 사회에서 존재했던 우주와 존재와의 교류방식이 과학에 의해서 언젠가 밝혀지게 되는 날이 온다면 지금 물질적이고 현상적인 이해에만 머물러 있는 우리의 문명이 또 다른 발전단계를 거치리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의 눈을 통해 들여본 세상에는 인간이 가진 내면 세계과 문명의 발달에 따른 인간소외와 절대 고독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기계가 인간의 감정을 갖게 되는 먼 미래의 사회에 그 기계의 기계적인 인간다움에 엮겨움을 느끼는 인간 역시 기계인간일 뿐이라는 '내겐 너무 좋은 세상'은 사실 너무나도 막막하고 답답하여 숨이 막히는 세상인 것일 뿐이다.

그의 인간에 대한 상상력적 탐험을 통해 우리는 우리 내면에 갖고 있는 무한한 세상에 대한 실루엣을 그려볼 수 있다. 그리고 그 세계가 우리 삶을 더욱 삶속에 깊이 뿌리내리게 하고 우리들의 실존에 대해 더욱 깊이 몰입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그가 갖고 있는 작가적 상상력은 사람들을 빨아들이는 매력이 있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