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읽기의 혁명 - 개정판
손석춘 지음 / 개마고원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신문이 가진 인쇄마술의 힘을 안 것은 한겨레신문이 나오면서였다. 똑같은 사건을 두고도 180도 다른 기사가 나올 수 있다는 사실에 기쁘고 또 사회를 바꾸어내는 큰 힘을 얻은 것 같기도 하고, 그래서 세상이 달라 보였다. 물론 그 이후부터 지금까지 신문기사 이면에 자리잡은 자본논리와 권력논리에 휘둘리지 않을려고 노력해왔지만 이 책을 읽고 난 후 여전히 나는 그래도 신문권력에 휘둘리는 소외된 소비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신문이 태어나고 하루를 넘기면서 사망하는 일간지의 짧은 일생 속에 우리의 무의식도 함께 생멸하는 주기를 거친다. 자본과 권력의 피리소리에 춤추는 신문과 더불어 우리들도 함께 춤추고 있는 것이다.

신문이 현실의 객관성을 유지한다는 설에 대해 신문 탄생의 과정은 취재기자 --> 취재부장 --> 편집기자 --> 편집부장 --> 편집국장 에 이르기까지 다섯 차례나 되는 현실의 왜곡과 굴절과 편집과정을 거치는 데에서 소설보다 더 허구적으로 변하고 만다. 그리고 사주의 이해관계와 밥그릇을 놓고 벌이는 위협은 결코 신문이 객관적일 수밖에 없는 구조를 우리들에게 보여준다. 군사독재시절엔 정권에 의한 보도지침이 신문의 편파성을 주도했다면 이젠 신문기업의 자본화와 광고주의 압력에 의한 자본논리가 세상을 들여다보는 창으로서의 신문을 타락시키고 있다.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마음의 준비가 되어있지 않으면 온갖 인생의 미혹에 시달릴 수밖에 없듯이 정신을 차리지 않으면 우리들의 집단무의식의 속으로 파고드는 굵은 선의 신문표제에 우리의식은 갇혀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정암 조광조는 '말길의 통함과 막힘이 한 사회의 최대문제이니, 통하면 해결되어 편안하고 막히면 어지러워져서 망한다.'라고 했듯이 신문의 숨겨진 논리에 휘둘리면 망하고 그것을 알아차리고 바르게 읽기를 할 수 있는 독자들이 많아질 때는 신문뿐만 아니라 그 사회도 정화된다. 신문에 숨겨진 자본논리와 권력논리에서 나부터 자유로워질 때 우리 사회의 변화는 그 첫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신문을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독자로서 읽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신문의 내용을 재구성하면서 읽는 편집자적 안목으로서 바로 읽기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신문은 그것을 통해 우리 사회와 세상을 바라보는 창이며, 그 창을 통해 세상을 해석하고 읽어내어야 할 눈이다. 그리고 신문은 우리 사회를 보다 깨끗하고 투명하게 바꾸어내야 할 우리들의 손이며, 바꾸어진 사회에서 우리들의 인생의 가치를 참되게 찾아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우리들의 희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