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궁전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M.S 폴의 일생은 드라마틱하다. 아버지를 모르고 자란 그는 어린 나이에 어머니를 교통사고로 잃은 뒤 천애고아가 되어 외삼촌의 보살핌으로 자라지만 그 외삼촌과도 생사를 경계로 한 이별을 하게 된다. 이후에 그가 선택한 좌절된 삶의 방식은 그가 인생을 살아가기 위한 하나의 선택이었다. 극한 좌절로 자신을 내몰았던 힘이 다시 그가 살아갈 힘이 될 것임을 마음 속 깊은 곳에서 알고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마치 달이 가득 차오르다가 쪽달이 되고 가장 비어있는 조각 달이 어느듯 온전하게 둥근 달로 바뀌어가듯이 삶의 가장 비참한 순간에서 그는 삶을 살아가는 희망을 갖게 될 것이라 생각했다.

우연한 하지만 필연적인 만남과 사건들로 풀어져내리는 그의 출생의 비밀이야기는 한 늙은 노인의 말동무가 됨으로써 시작된다. 맹인이고 하반신이 마비된 그에게 있어 폴은 그의 눈이 되어준다.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에게 그의 말과 언어는 그의 눈이 되기위해 갈고 닦이는 과정을 거친다. 마치 우리가 우리의 감각과 인식의 영역으로 알 수 없는 삶의 교훈과 인생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말과 언어를 이용하듯이 잘 다듬어지고 현실의 틈을 비집고 들어가 이면의 의미를 도려낼 수 있게 날카롭게 갈고 다듬어진 언어의 구사는 폴 오스터라는 작가의 무기가 된다.

이야기 속에서 모든 등장인물들은 그들 자신의 달을 가지고 있다. 달의 비워진 이미지에서 그들은 채워질 달의 이미지를 찾고 있는 것이다. 3대에 걸친 자신들의 기구한 운명과 삶의 비틀리고 밑바닥의 생활에서도 간직하고 키워가는 희망에 대한 이야기는 그들의 절망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허구속의 달의 신화 이야기로 승화되고 3대의 부자들이 겪어야 했던 삶의 시련들은 쳇바퀴돌듯 대를 물려 자식에게 똑같은 내용의 삶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그들 3명의 이야기는 각각이 서로 다른 삶의 절망적 상황에 처해 있으면서도 그 유전적 정보속에 이미 아로새겨진 바꿀 수 없는 그들의 태생적으로 공통된 인연이었을 것이다.

작가는 현상적으로는 스쳐보이는 듯 해도 현상을 대하는 개인의 마음 속 깊은 곳에 그것에 반응하고 그 반응에 따라 변해가는 마음의 변화를 놀랍도록 정확하고도 매력적인 언어로 풀어내고 있다. 사실 우리의 인생이란 현실적 삶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현실적 삶에 의미부여하고 가치를 만들어내는 상징적 가치 또는 마음의 의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한번쯤 생각해 볼 일이다. 바로 이 달의 이미지는 파헤쳐지고 파괴된 인생을 통해 각각의 주인공들이 채워가는 삶의 완성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