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락 한알 속의 우주
장일순 지음 / 녹색평론사 / 199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인도에 간디가 있음을 모르는 사람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마더 데레사 수녀님의 사랑의 메세지를 모르는 사람들도 많지 않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들 속에 왔다가 그 흔적도 없이 가신 무일당 장일순 선생님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가 않다. 김지하 시인의 '말씀'이란 시의 내용대로 노자선생의 무위자연의 도를 체득하시어 하는 일 없이 안하는 일 없으시고 산 속의 청청한 난초되신 분이라고 하였다.

우리가 가진 내면 속에 우주의 모든 기운이 자리잡고 있고 작은 좁쌀 하나에도 전 우주의 관계망이 드리워져 있다. 이런 이유로 작은 풀 하나 꽃잎 하나도 함부로 대해서는 안된다는 말은 우리에게 큰 교훈이 되고 있다. 인간이 없는 지구에는 모든 짐승과 벌레들이 살 수 있지만 모든 짐승과 벌레들이 살지 못하는 이 곳에선 인간도 살 수 없다는 말은 단지 인간의 삶과 이윤논리에 의해 파헤쳐지고 파괴되는 자연은 결국 인간도 파괴시키고 말 것이라는 경고뿐만 아니라 작은 풀 하나와도 공생하는 생명존중사상으로 이 땅을 무위자연의 도가 실현되는 곳으로 만들어나가시고자 하는 그 뜻이 담겨 있다.

온갖 종교들의 형식성과 배타성이 인류의 비극을 초래하여왔고 지금도 크고 작게 이루어지는 비극들 속에 그는 모든 종교의 담을 낮추어 모든 사람들을 포용하는 열림과 사랑의 미덕을 설하고 자신 스스로 낮추어 드러내지 아니하고 자본의 세계화가 물결치고 도시화와 산업 만능주의의 파도속에서도 자신의 고향인 원주에 착실하게 기반하시고 작은 일들 속에서 그 의미를 다하시는 선생의 깊은 뜻을 비록 몸소 따르지 못해도 그 깊은 뜻을 헤아릴 줄은 알아야 한다는 책임감을 지울 수 없다.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시각에 대해서도 선생님은 보다 깊은 말씀을 전하고 있다. 단지 사회운동으로서의 동학이 아닌 삶과 생명운동으로서 그리고 하늘과 자연의 도를 추구하는 사상으로서의 동학에 대해 우리는 아는게 없다. 그 동학 2대교주 해월선생의 사상이 손병희 선생으로 3.1운동으로, 중국의 5.4운동으로, 인도의 비폭력 무저항운동으로 이어진 시대의 파장을 우리는 잘 알지 못했다.

바로 우리 옛 선현들의 깊은 혜안 속에 우리가 삶에서 추구해야 할 것들에 대해 이미 설한 바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린 너무 멀리서 그것을 찾아온 것은 아닌가 반성하게 되고 현실문제의 원인을 늘 밖에서만 찾으려 했고 진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신의 마음 속 들여다보기는 무관심하지 않았는지 되돌아보게 한다. 80년대에 선생께서는 자신의 호를 '일속자(좁쌀하나)'라고 하였다. 그 작은 좁쌀 하나에 이미 온 우주의 생명이 깃들어있음을 아는 지혜로 선생의 마음에 가 닿아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