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
임레 케르테스 지음, 박종대, 모명숙 옮김 / 다른우리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우슈비츠 수용소라고 하면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홀로코스트의 잔인함과 고통스러움에 치를 떨것이다. 하지만 이 곳에서 행복을 느낀 사람이 있다면 의아해할 것이다. 혹시 그 사람이 죄수감독인이라면 모를지라도 말이다. 그러나 수감자중에서도 그런 행복함을 느끼는 사람이 있다. 작가는 바로 그 아비규환의 지옥에서 자유로움을 느끼고 행복함을 느낀 특이한 사람이다. 그럼 과연 그가 느낀 행복은 무엇일까?

그가 수용소에서 해방되어 다시 돌아온 마을에서 부딪힌 사람들은 누구나가 자신들에게 닥쳐온 비극에 대해 모두가 상처받고 고통받고 있었다. 그들의 마음속에 얼룩진 전쟁의 상흔은 단지 잊어버리고 극복해야만 할 대상이었다.

하지만 열다섯살 소년은 자신에게 닥친 운명 속에서 자유로움을 찾을 수 있었기에 닥쳐온 비극을 받아들이는 방식이 달랐던 것이다. 그것은 더 이상 비극도 아니었고 무기력함도 아니었던 것이다. 그것은 자신으로서는 잊어버리고 극복될 수 없는 되어서도 안되는 자신의 현재모습으로 이어지는 끊을 수 없는 정체성의 끈이었던 것이다.

우리가 우리들에게 닥치는 여러 가지 사건과 일들에 대해 어떠한 고정관념도 가지지 않고 있는 그대로 대할 수 있다면 그것이 가진 선악이나 호오의 감정없이, 편견없이 그 일들을 맞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편견없는 맞이함은 우리가 편견으로 인해 보지 못했던 여러 가지 의미들을 알게 해준다. 인간 삶의 극한 조건 속에서도 그것을 아무런 편견없이 대하게 되면 일상이 되고 그 속에서 느끼는 자유와 행복함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말이다.

'아우슈비츠의 굴뚝에서조차도 고통들 사이로 잠시 쉬는 시간에 행복과 비슷한 무엇이 있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모두 내게 악과 끔찍한 일에 대해서만 묻는다. 내게는 이런 체험이 가장 기억에 남는데도 말이다. 그래, 난 사람들이 내게 묻는다면 다음엔 강제 수용소의 행복에 대해서 말할 것이다. 사람들이 묻는다면. 그리고 내가 그것을 잊지 않고 있다면.'

2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