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1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행동하는 주요한 동기는 무엇일까? 의식주일수도 있고, 아니면 사회적 지위, 권력, 명예일수도 있다. 성욕일수도 있고 인간이 가진 기본적 욕망일 수도 있다. 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행동의 동기는 무엇일까? 이것에 대한 물음을 체스 챔피언 사무엘 핀처의 의문의 죽음(사랑에 치여 죽다)으로부터 이끌어내면서 이 소설은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그의 의문스러운 죽음을 조사하면서 뤼크레스와 이지도르는 뇌의 여러 가지 기능들에 대한 핀처의 연구와 그 신비에 대해 실마리를 붙잡게 된다.

이 소설은 두 이야기의 동시진행적인 구성을 통해 사건을 풀어나가고 있다. 우연한 사고로 뇌의 활동을 제외한 모든 몸의 기능을 상실해버린 마르탱이라는 환자와 그의 삶을 도우려는 핀처박사의 또 다른 이야기를 통해 두 이야기는 나선형으로 꼬여서 사건을 이중적 시각으로 풀어나가고 있다. 마르탱은 컴퓨터에 연결된 뇌를 통해 빠른 속도로 뇌의 학습을 해나가고 있으며 그의 세상과의 물질적 접촉이 사라진 후의 모든 행동의 동기는 자신에게 또 다른 삶을 살게 해준 핀처박사의 인정이 강력한 행동의 동기가 되어 핀처박사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뇌의학분야에 관한 놀랄만한 성과를 거두기 위해 노력한다.

물질적인 세상 접촉이 단절된 뒤 그는 새로운 정신적 세계가 있음을 깨닫게 되고 컴퓨터와 연결된 뇌를 연구함으로써 그는 새로운 몸을 얻게 된다. 세상과 교류하고 직접적이고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도구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신적 영역의 감각이 생겨나면서 그가 느낀 것은 인간의 현실 파악이라는 것이 자신의 동기에 의해 제한적으로 결정된다는 사실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의도한대로만 현실을 받아들이고 해석하고 자신의 현실로서 삼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 현실을 받아들이는 마음에 따라 여러 가지 다차원의 세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과 존재의 인식의 기관인 뇌를 연구함으로써 어쩌면 우리의 물리적인 세상 너머의 또 다른 세상과 또 다른 존재가 있음을 알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물음에 이르게 된다. 그 열쇠는 바로 우리의 사고기관인 '뇌'에 있다. 우리는 다시 이렇게 물어야 한다. '우리는 과연 무엇에 이끌려 행동하는가?'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