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를 뽑은 사람들
스코트 새비지 엮음, 김연수 옮김 / 나무심는사람(이레) / 2001년 12월
평점 :
절판


참 알 수 없는 노릇이다. 빠른 자동차와 열차, 비행기가 있는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은 왜 시간에 쫓겨 가족들과 애정어린 대화 한마디 못하고 하루를 보내야 하는가? 노동의 편의를 위해 만든 기계가 왜 우리를 더욱 고립, 단절시키고 공동체를 파괴하는가? 장밋빛 미래를 제시하는 정보와 상품의 세계화가 왜 인간의 삶을 더욱 황폐화시키는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자본의 미친 질주에서 한 두 걸음 떨어져 바라보고 그런 삶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없을까?

산업혁명이후 기계의 발달은 우리들이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을 간접적이고 수동적으로 만들면서 땅과 강, 나무와 숲, 공기와 하늘 그리고 인간의 공동체마저 파괴하였다. 자연과 존재가 가진 수많은 다층적인 의미를 오로지 디지털 정보에 의해서만 파악하게 하고 인간사이의 공동노동과 끈끈한 유대를 단절시키고 좌절시켰다. 교육 또한 아이들로 하여금 기계적인 반응과 정보를 매개로 한 수동적인 의사소통만을 강요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미친 기차의 질주에서 뛰어내리는 것은 어쩌면 위험하고 불가능한 것으로 보일런지 모른다. 하지만 이 책은 우리에게 전혀 불가능할 것 같은 이 상황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되어 준다. 기계와 문명을 벗어던진 삶, 플러그를 뽑은 삶도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미쉬공동체의 이러한 삶의 방식은 그 영역이 아주 폭넓다. 어떤 물질주의와 기계주의도 반대하는 삶, 즉 세속적인 삶에 반대하는 것에서부터 최소한 먹는 것만이라도 스스로 생산하자는 생각에 이르기까지 넓게 퍼져 있으나 우리의 비뚤어지고 어긋난 삶의 방식을 반성하고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도는 같다.

기계가 아닌 몸이 직접 자연을 포함한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 화학물질, 합성물질이 아닌 생명체와 직접 소통하는 방식 그리고 나아가서는 형식과 교조없이 직접 신과 만나고 일상의 모든 일과 존재에 신이 현현함을 체험하는 방식을 권한다. 그것은 해악만 가득한 매개체나 수단인 기계와 문명을 벗어던지고 우리가 사물과 자연과 삶과 세상과 신에게 직접 이어지는 삶을 추구하는 길로 인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