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는 그의 삶의 길잡이의 모델로서 '조르바'라는 실제인물을 꼽고 있다. 조르바는 온갖 인생의 여러 경험들을 거치고 물질적이고 인간적인 욕구에 충실하게 사는 인간형으로 작품내의 주인공의 성격, 정신적인 것을 추구하고 물질적인 욕구와 생리적 욕구를 멀리하고 현실적인 것보다는 내재적이고 이상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성격과는 정반대의 인물이다. 작가는 조르바를 이상적인 삶의 전형으로 삼음으로써 세상에 존재하는 물질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 선과 악, 현세적인 것과 내재적인 것, 육체와 영혼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

'확대경으로 보면 물속에 벌레가 우굴우굴한데요. 자, 갈증을 참을 거요, 아니면 확대경을 확 부숴버리고 물을 마시겠소?' '두목, 당신의 그 많은 책 쌓아 놓고 불이나 싸질러 버리시구랴, 그러면 알아요? 혹 인간이 될지?' '새끼 손가락 하나가 왜 없느냐고요? 질그릇을 만들자면 물레를 돌려야 하잖아요? 그런데 왼손 새끼손가락이 자꾸 걸리적거리는 게 아니겠어요? 그래서 도끼로 내려쳐 잘라 버렸어요'

위의 말에서 나타나듯이 그의 성격은 자신의 욕구에 아주 충실하며 솔직하다. 그리고 대상과 인간을 대하는 방식이 직접적이며 지식이나 언어적 표현을 거치지 않고 마음으로 직접 느끼는 방식을 택한다. 앎과 지식의 중력으로부터의 자유, 삶을 살아가는 자유를 그는 우리들에게 전한다. 그가 전하는 자유의 매력은 마치 아득한 사막을 헤매다 어렵게 어렵게 찾은 오와시스와도 같다. 부질없는 앎이라고 하는 것이 주는 중압감과 중력을 훌훌 털어버리고 아무런 제약도 걸리적거림도 없는 내면의 자유와 행동의 자유, 그렇지만 그의 말과 행동 속에는 세상의 본질을 관통하는 뼈있는 말들과 행동들이 우리들을 새로운 삶의 진리로 이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