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굽는 타자기 - 젊은 날 닥치는 대로 글쓰기
폴 오스터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 잘 알려진 작가 폴 오스터의 자서전적인 에세이이자 그가 작가로서 성공하기전의 아주 어렵고도 가난한 생활의 이야기들이 이 책 속에 담겨 있다. 중산층의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부의 축적에는 별 관심없이 글쓰기로 인생을 살아가기 위한 결심을 한다. 비록 남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삶의 가치들도 그는 별로 중요시하지 않는다. 부와 권력, 사회적 지위, 안정된 직장은 그에게 있어 단지 자신의 자유를 제약하는 장애물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그는 진정한 작가생활을 꿈꾸기 위하여 여러 가지 사회의 노동을 직접 체험하고 또 그 생활체험에 매몰되지 않으려고 한다.

콜롬비아 대학 재학시절 학교를 포기하고 자신의 길을 고집스럽게 걷고자 했던 결단력, 중산층의 성장과정을 거쳐온 그가 찢어지게 가난한 생활을 견디면서도 자신의 작가의 꿈을 접으려 하지 않았던 용기, 그리고 참된 인생과 그로부터 베어오는 글을 작품에 담기위해 그가 쏟은 노력들은 훌륭한 작가는 결코 타고난 재능이외에 무엇인가가 있다는 것을 알게 해주었다. 그가 이전에 살아왔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삶의 현장에 자신을 용감하게 내던질 줄 아는 용기는 남들이 흔히 추구하는 부와 명예, 안정된 직장을 뒤로하고 그가 진정으로 원하는 삶을 선택할 줄 아는 용기였으며, 그것이 바로 평범한 다른 작가들과 구분되는 그의 개성이었으며 또한 그것이 우리를 사로잡는 그의 작품의 매력중의 하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뒤에 실린 그의 단편 세 가지는 오히려 지루하고 별로 큰 감동을 주지 못한다. 하지만 '폐허의 도시'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어떤 작품에서 느껴보지 못한 그만의 독창성은 면면히 갖고 있는 작품들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의 글 중에 이런 말이 있었다. '내가 저지른 실수 중 가장 큰 것은 부수적인 주변의 정황으로 인하여 나의 타고난 직관과 통찰력이 흐려진 데 있다.'는 말처럼 우리가 가진 직관과 통찰력과 재능이 사회의 여러 조건이나 부수적인 상황에 얽매이지 않고 살 수 있다면 적어도 자신의 삶에 대해 책임질 수 있는 그런 삶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