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허의 도시
폴 오스터 지음, 윤희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6월
평점 :
절판


때로는 전쟁 후의 폐허의 도시 속에서 생존을 위해 몸부림을 쳐야 했던 지옥의 꿈을 꾸곤 했다. 언제 총알이 나의 관자놀이나 심장을 관통하며 지나갈지 모르고, 언제 폭탄이 내 머리 위에 떨어져 흔적도 없이 이 세상에서 사라질런지도 모를 두려움과 공포가 가득한 세상에 있는 꿈은 그 자체로 악몽이다. 여기 그러한 사회속에 나를 밀어넣는 책이 있다. 바로 폴오스터의 '폐허의 도시'이다.

이 책은 조지 오웰의 '1984년'이나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서 다루는 전체주의 국가 또는 계획된 사회에서의 인간성의 파괴와 절망을 보여주는 면에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한 여자의 보고서를 통해서 마치 우리가 그 속에 몸담고 사는 것같이 아주 현실감을 준다는 점에서 다른 면이 있다. 실종된 사진기자인 오빠를 찾아 떠난 블룸 안나라고 하는 여자가 그 도시에서 생존하기 위해 하루하루를 버텨가는 이야기들과 그가 생존의 과정에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는 아마 지금의 우리 사회의 물질문명이 원료와 식량의 부족과 고갈에 의해 이루어질 미래상을 바로 우리 앞에 보여주는 것 같은 생각이 들게 한다.

하루하루의 끼니를 때우지 못하고 기아에 허덕이는 수많은 거리의 부랑자들, 절도나 강도가 범죄로서 취급되지 못할 정도로 일상화된 사회의 풍경들, 다른 도시로의 출구를 봉쇄하고 시민들의 자유를 억압하는 굴레의 역할만 하는 정부와 그 기관들, 오직 유일한 탈출구는 죽음이며 자살을 위한 많은 직업과 자살의 방법들이 만연화된 사회, 온갖 질병과 폭력이 난무하는 곳. 이 곳에서의 삶은 오직 절망이다. 단지 이 순간만이 내가 살아있는 순간이며 내일은 없다. 단지 지금 내가 숨쉬고 있을 수 있고 버티어내고 있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할 수 없는 그런 사회. 그것은 바로 악몽이다.

이 절망적인 현실을 극복해가고 버티어가는 열쇠는 역시 사랑이다. 오빠에 대한 그녀의 사랑은 이사벨로 이어지고 도서관으로 거주지를 옮긴 후는 사무엘과의 깊은 사랑이, 워번 하우스에서는 빅토리아의 사랑과 불쌍한 사람들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이 현실의 절망을 뛰어넘을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이것이 절망의 근본이나 두려움과 공포의 싹마저 없애지는 못함을 우리는 안다.

이 사회에서 안나는 평범하면서도 이 사회의 누구나가 겪을 수 있는 그런 이야기를 편지형식을 통해 우리에게 전하고 있다. 그리고 그 편지는 바로 우리 사회의 조금 앞선 미래에서 현재의 우리들에게 보내는 경고의 메시지이다. 우리들의 무책임한 행동과 현재의 위기에 대한 무관심은 그녀가 살고 있는 사회로 우리를 이끌어갈 수도 있다는 암시를 이 책은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