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셀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3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최종철 옮김 / 민음사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작품은 셰익스피어의 리어왕, 햄릿, 맥베스와 함께 4대 비극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무어인이자 흑인인 오셀로는 데스데모나라는 원로원 브라반시오의 딸과 사랑하여 결혼한다. 둘의 사랑은 오셀로가 전장으로 파견되자 편안한 삶을 거부하고 오셀로를 따라 치열한 전장으로 따라 나서는 데스데모나의 의지로 더욱 솟아오른다. 키프로스에서의 만남은 '내 지금 죽더라도 가장 행복하리, 왜냐하면 내 영혼은 절대 만족을 맛보았으므로'라고 하는 오셀로의 말을 통해 그 사랑의 기쁨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 그러나 데스데모나를 사랑하는 로데리고와 이야고의 음모를 통해 오셀로는 순결한 여인 데스데모나에 대한 질투와 미움을 점차 키워가게 된다. 이야고의 이기심을 채우기 위한 음모와 모반은 오셀로의 마음속에서 사랑과 질투, 선과 악, 이성과 감정의 대립과 모순을 낳고 오셀로는 그 사이에서 갈등하고 괴로워한다.

사실 오셀로가 데스데모나를 사랑하게 된 것은 그녀가 자신의 위험을 동정했기 때문이다. 오셀로는 데스데모나를 사랑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위험에 반응하는 그녀의 '동정'을 사랑했던 것이다. 따라서 그는 사랑에 대한 자기만족적이고 허구적인 면을 갖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그를 더욱 질투와 미움과 증오의 늪으로 이끌어가게 된다.

둘 사이를 이간질해서 로데리고의 재물을 갈취하고 자신의 물적, 이기적 욕심을 채우려고 하는 이야고는 이 작품에서 오셀로의 이분법적인 감정 분열과 내면을 꿰뚫어 보고 그의 마음속에 동요를 일으키고 분노를 일으켜 사람을 움직이는 힘을 갖고 있는 자이다. 어쩌면 오셀로는 전쟁영웅이자 명예로운 인격의 소유자이긴 하지만 그의 정신의 분열과정에서 보여주는 행동들은 보통의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감정과 내면상태를 대변해 준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데스데모나만큼은 이야고가 어쩔 수 없는 타고난 순결하고 선한 영혼의 소유자이다. 따라서 그녀는 이야고의 술수가 통하지 않는 작품 속의 유일한 사람이다.

이 작품이 비극인 이유는 사랑하는 여인을 간계에 의해 자신의 손으로 죽이고 자신도 그녀를 따라 죽음을 맞이한다는 사실보다 주인공 오셀로의 내면 속에서 그려지는 선악의 대립이 너무나도 일반적인 사람들의 감정을 따라가고 있고 또한 그의 사랑 역시 보다 높은 차원으로 승화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야고를 오셀로가 잔인하게 죽임으로써 문제가 해결되고 해소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 속에 자리잡은 자신의 분열적이고 허구적인 사랑을 반성하고 깨우침으로써 비극적 요소로의 승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