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지학 - 초감각적 세계의 인식과 인간 본질에 대한 고찰, 슈타이너의 인지학 3 슈타이너 인지학 3
루돌프 슈타이너 지음, 양억관.타카하시 이와오 옮김 / 물병자리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무슨 요소로 구성되어 있을까? 그러나 온전하고 전체인 나를 해부학적으로 분석해서 얻어지는 결론은 너무나도 부족함이 많다. 여기 인간 존재의 분석을 몸과 혼과 영의 세 차원에서 분석하고 이를 사후의 세계와 연결하여 상세하고 구조적으로 설명한 책이 있다. 슈타이너는 인간을 구성하고 있는 육체적인 몸과 감정을 느끼고 사고하는 혼과 그리고 생각과 사고가 생겨나는 잠재된 부분의 영의 존재를 드러낸다. 그에 의하면 만물의 구조와 인간의 근본적 물음에 대한 답을 내리기 위해서는 영적인 존재를 의식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한다.

우리들의 죽음 이후에 이어지는 세상에 대해서도 그는 아주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육체는 물리적인 부패과정을 겪지만 혼과 영은 남아서 자신의 죽음을 경험하고 혼은 정화과정을 거쳐 전체 혼으로 동화되어가고 영적인 부분만이 자신의 실체를 간직하면서 윤회의 과정을 거치면서 되살아나기도 하고 현실적인 세계를 창조해간다고 한다. 현실의 여러 사회구조와 자연환경을 변화시키는 실체적인 힘은 바로 영적인 것에서 나오며 따라서 인간은 의식적으로 이 절대적으로 지속되고 영속되는 영적인 존재를 느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한다.

물론 그가 사용하는 여러 가지 개념들(에테르체, 생명형성력, 아우라 등)이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들이 많지만 인간 구조와 사후세계에 대해 이렇게도 자세하고 구조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데 적잖이 놀랐다. 이는 그의 어렵고 익숙하지 않은 개념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끝까지 읽을 수 있게 해주었다. 류영모 선생님이 말했던 얼나인 참 존재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과 그 참 존재를 만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슈타이너는 사물과 현상계를 대할 때 의식적으로 영속적이고 지속적인 것을 보려고 노력하며 자신의 생활과 생각을 거기에 맞추어나가면 반드시 그런 경험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또한 사후의 일이지만 우리의 혼이 동화되는 과정이 더욱 순조롭고 다시 재생하는 기간이 짧아지게 한다고 말한다.

류영모 선생님도 노년에 예수나 석가에게 나타난 영원한 생명이 자신에게도 나타났다고 하였으니 참 존재의 실체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 길은 우리의 생각이 생성되고 현실에 작용하여 새로운 현실을 창조해나가는 것으로 영적인 차원에 존재하며 오감의 영역 너머에 존재하는 것이다. 이미 그것은 아주 다양하고 많은 형태로 우리들 앞에 나타나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