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신세계 - 하서명작선 23 하서명작선 100
헉슬리 / 하서출판사 / 1999년 7월
평점 :
절판


올더스 헉슬리의 이 책을 펴면서 처음으로 떠올랐던 책이 있었다. 그것은 조지 오웰이 쓴 <1984년>이었다. 전체주의 국가에 의해 정보가 왜곡되고 사실이 날조되고 언어 또한 생성, 소멸되어 인간의 사상과 행동을 통제하는 디스토피아의 교과서라고 할만한 책이다. 여기 그것과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 하나 더 있다. 바로 <멋진 신세계>가 바로 그것이다. <1984년>에서 사상과 언어의 조작을 통한 인간 사고의 지배가 그 주된 내용이라고 한다면 이 책은 인간의 유전자의 조작에서부터 시작하여 조기교육체제로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지배하고 나아가서 그러한 사회체제를 유지하고자 한다.

포드로 대표되는 기업국가에서 창설자인 포드는 신격화되고 사회에서 여러 영역에 필요한 인간형을 유전자로 조작하여 태어나면서부터 자신의 지위와 노동에 알맞게 신체적인 변형이 가해진 인간이 생성된다. 가족제도는 물론 파괴되고 모든 것은 현상적이고 육체적이며 물리적인 행복이 절대시된다. 따라서 모든 사회계층은 행복을 느끼게끔 조기교육되어지고 때에 따라서는 환약인 <소마>를 통해 인위적으로 그것이 조절된다.

과학문명이 덜 발달된 현재의 가족제도와 공동체를 유지하고 있는 인간들은 이 문명화되고 과학기술적으로 진보된 인간의 통제와 격리 속에 평생을 갇혀 지내야 하는 운명이 되었다. 우연한 사고로 문명화된 베타형 여자가 이 원시사회에 떨어지고 그 속에서 자신의 아이를 낳아 기른다. 이 아이가 바로 이 문명화된 사회의 문제점을 고발하는 주인공의 역할을 한다. 정신적이고 영적인 삶과 그로 인한 행복감의 결여와 육체와 쾌락만을 탐닉하고 그 속에서 일시적인 행복만을 추구하는 문명화된 사회를 거부하며 자신은 자신만의 고유한 삶으로 돌아가려 한다.

이 책은 과학기술의 진보가 물질주의와 쾌락주의와 결합될 때 인간이 어떻게 물질에 종속되어가는 가를 잘 보여준다. 그 속에서 우리에게 과연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인가 하고 묻는다. 과연 쾌락이 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유일한 길인가 하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