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 정신의 진보에 관한 역사적 개요 ㅣ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3
마르퀴 드 콩도르세 지음, 장세룡 옮김 / 책세상 / 200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콩도르세는 프랑스 대혁명 당시의 인간이 가진 정신적인 면의 진보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정신의 진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인간 정신의 진보는 어떤 단계에서 이루어지는가? 그는 계몽에 의한 지식의 진보를 인간 정신의 진보로 보고 있으며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뒷받침으로 공교육제도와 민주주의라고 하는 정치체제를 든다.
한 사회내의 인간 대다수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이르렀을때 정신의 진보는 이루어지므로 대다수 민중의 의식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공교육에 의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또한 대다수 민중들의 스스로의 인권에 대한 자각과 그들이 스스로 국가의 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민주주의라고 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만인의 평등과 여성의 남성과의 평등 조건도 역시 강조하고 있다.
그의 사상은 봉건제사회에 대한 비판에서부터 혁명적인 성격과 비판적인 사고를 갖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시민혁명과 시대적 배경이 갖고 있는 역사적 한계 또한 그의 사상의 한계점으로 가진다. 그것은 그가 서구에 의한 근대자본주의화를 긍정적인 측면에서 바라봄으로써 제 3세계나 후진국들이 근대화의 과정을 겪는 것을 인간정신의 진보라는 관점으로 보았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서구화와 근대화가 가지는 문제점들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내리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인간 정신의 진보에 대해 내리는 교육적 측면과 민주주의적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측면은 부정할 수 없다. 그가 오늘날 다시 회자되고 있는 것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