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미치 앨봄 지음, 공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루게릭 병에 걸려 시한부생명을 살고 있는 모리 슈워츠 교수와 대학시절 그 교수에게 수학하고 난 후 기자 생활을 하고 있으며 세상에 물들어 삶에 지친 인생을 살아가는 그의 제자와의 면담을 담아낸 것이다. 모리 교수는 발에서부터 천천히 몸이 마비되어가고 마비현상이 폐에까지 올라오면 죽음을 맞아야 하는 운명 속에서도 많은 사람들의 삶의 고통과 고뇌를 들어주고 그 문제점에 좋은 마음의 위안을 주면서 남은 삶을 살아가고 있다.
죽음에 대한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면서 이미 자신은 그 죽음의 의미를 깨닫고 그리하여 삶도 새로운 의미로 살아갈 수 있다고 그는 말한다. 그의 이러한 삶의 모습은 늘 죽음을 피하려고만 하고 죽음은 마치 남의 일인것처럼 생각하며 삶의 강렬한 의욕과 욕망에서 비롯된 여러 가지 소유욕과 이기심으로 인해 가지게 되는 인생의 고통에 좌절하고마는 우리들에게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
'사랑하지 않으면 멸망하리'라고 하는 시인 오든의 말처럼 그는 세상 사람들에 대한 사랑을 간직한 채 남은 생활을 유지하고 있다. 그 자신 또한 많은 세상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며 자신의 생활을 유지해가고 있다. 먹을 것과 경제적인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거동의 어려움을 도와주고 밥도 먹여주고 심지어는 오줌도 누도록 통도 받쳐주는 그의 마지막 삶에서 그는 다시 아기로 돌아가 자신이 세상에 쏟아낸 많은 사랑들을 또 다른 모습으로 돌려받고 있었던 것이다. 자신의 아버지의 묵묵한 성격과 애정표현의 부재를 경험하고 자신은 자상하고 늘 안고 입맞춤을 아이들에게 베풀고 받아들였으며 아내의 독자성을 인정하고 서로 존중하고 사랑하였으며 이러한 그의 마음이 가족을 그렇게도 사랑스러운 공동체로 만들어놓았던 것이다.
그 자신의 어려웠던 유년시절의 기억으로부터 부모님의 사랑의 부재와 부족을 자신의 넘치는 사랑으로 메워내었으며 자신이 겪었던 노동자생활의 경험으로부터 남을 착취하는 삶은 절대로 살지 않겠다는 결심이 그를 학문의 길로 인도했다. 그가 가르쳤던 많은 제자들이 죽음을 앞둔 그를 찾아와 진심으로 그를 돌봐주었다. 그가 투병생활을 통해 얻은 새로운 삶에 대한 깨우침의 말들이 미치의 글을 통해 우리들에게 오래도록 남아 교훈이 되고 있는 것은 그 자신이 바로 그러한 삶을 몸소 살아왔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