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품절


나는 작가지망생이 아니다. 하지만 내가 이 글을 읽는 이유는 글쓰기 속에 어쩌면 글읽기의 기술같은 것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글은 헐리우드의 잘나가는 작가 스티븐 킹의 창작론에 관한 이야기이다. 글의 앞부분에 담긴 그의 자서전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내용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천재작가에게선 어릴적부터 그 가능성의 싹이 보인다는 말이 허언이 아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어지는 글에서 그는 글쓰기를 위한 기본적인 태도에 대해 말하고 있다. 사물과 현실에 대한 순수한 정신감응인 글쓰기에는 좋은 연장통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풍부한 어휘력과 치밀한 문법력 그리고 상대방에게 의미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이야기한다. 과다한 형용사와 부사의 사용은 글을 난해하고 복잡하게 하며 그것은 독자들에게 감동을 줄 수 없다는 것을 명확하게 집어내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수동형의 글도 유의하라는 충고도 빠뜨리지 않는다.

그의 인생을 들여다보면 글쓰기가 그에게는 얼마나 즐거운 작업이며 삶의 보람과 희망을 느낄 수 있는 작업인지 알 수 있다. 그의 아내 티비도 그의 글쓰기를 이해해줄 수 있는 그런 여자다. 그가 썼던 많은 작품들 속에는 번쩍이는 창조력과 상상력이 독자를 압도한다. 그에게 있어 글쓰기는 비록 그 내용이 공포와 판타지에 가까운 것이라도 그의 삶과 얼마나 일치되며 그의 정신과 얼마나 부합하는지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그의 글쓰기는 좋은 연장통을 갖추고 땅속에 파묻힌 화석을 발견하는 것에 비유된다. 화석을 발견하는 것이 운이듯이 뛰어난 작가의 자질과 그에 따른 좋은 이야깃거리는 운이며 그것은 또한 운명이기도 하다. 다만 작가는 자신에게 주어진 천복을 될 수 있는 한 정성과 노력을 다하여 소명감을 가지고 실현시키는 것이다. 내 속에 존재하는 어떤 신적인 것이 글로써 내 몸을 통로로 하여 내 손을 빌어 쓰여지는 것이라고 그는 말한다. 어쩌면 글쓰기를 통해서도 우린 깨우침을 얻을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도 가져볼 수 있는 것이다.

어쨌거나 나는 이 글을 읽으면서 비록 직접 글쓰기를 주된 일로 삼지는 않는다 할지라도 '많이 쓰고 많이 읽어라'는 그의 말처럼 독서하면서도 작가의 글쓰기의 패턴과 그의 기술들을 엿볼 수 있을 것이고 나 또한 읽으며 나의 문체를 가다듬어 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우선은 글을 많이 읽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