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손의 힘
루시아 카파치오네 지음, 이경하 옮김 / 동서고금 / 2001년 8월
평점 :
품절


우리의 신체 중 가장 불균형의 상태에 있는 일부를 든다면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우리의 두 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러하듯이 오른손은 익숙하고 세련되며 모든 일을 할 때 동원되지만, 왼손은 그와는 반대로 서투르고 느리고 사용에 익숙하지 조차 않다. 루시아 카파치오네는 왼손의 사용에 의해 창조성과 상상력과 예술성을 고양시키고 우리가 가진 여러 가지 질병을 다스리고 치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면에 도사리고 있는 절대자인 신과의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말한다.

처음으로 왼손으로 오랫동안 글을 써가면서 누군가 뒤에서 나를 내려다보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그 느낌은 나인데도 내가 아닌 듯하여 때로는 머리칼이 쭈뼛 서기도 하고 때로는 머리 속에 한줄기 빛이 비치는 것 같기도 하였다. 하지만 써놓고 보니 너무나도 엉성하고 서투른, 이제 갓 글을 배운 아이의 글씨였다. 하지만 왼손을 통해 분명 나이지만 내가 아닌 내 속의 다른 소리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마음속의 억압과 분노를 드러내어 그것을 표현하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편해지고 복잡한 실타래가 풀리는 듯한 마음이 드는 것이었을까?

오른손은 뇌의 좌측과 연결되어 있고 좌뇌는 분석력과 논리력, 그리고 언어능력과 상관이 있으며 왼손은 뇌의 우측과 연결되어 있고 우뇌는 창조성과 예술성, 시각적 정보와 공간인식능력과 상관이 있음을 그녀는 말한다. 자신 또한 질병을 다스리는 과정에서 의사들의 신뢰감없는 치료의 희생자였음을 깨닫게 되었고 스스로의 생존의지로 병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왼손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스스로의 힘으로 병의 치유가 가능함을 알게 되면서 왼손의 힘을 신뢰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갈등상황에 접했을 때 이성적인 자아는 오른손이 되어 자신의 입장을 서술하고 내면적인 자아는 왼손이 되어 다른 입장을 서술하여 서로 드러내고 교류하게 함으로써 내면적 갈등을 치유하고 극복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바로 현실의 두뇌과학에 의해 뒷받침되고 증명되고 있음을 이 책은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저자는 왼손의 힘을 통해 자신의 내면 속의 절대적인 자아, 즉 신과의 만남으로 나아가고 있다. 우리가 죽음이나 스스로의 나약함을 극복하기 위해 의존하게 되는 절대적인 존재인 신은 외부에서 찾아지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자기 내면의 깊은 곳에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것은 왼손의 활용을 통해 좌,우뇌가 조화롭게 사용되면서 깊은 내면에의 응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자신의 몸속에 깃든 마음의 존재를 조용히 느껴 보라. 발끝을 타고 올라오면서 어딘가에 나의 마음과 영혼이 존재하고 있는지 천천히 느껴 보라. 그리고 그 내면의 또 다른 자아와 대화를 나누어 보라. 우리 속에 잠재하고 있는 절대의식은 분명히 존재한다. 마치 땅 속 깊은 곳에 뿌리내린 오래되고 커다란 나무가 가진 많은 가지 중의 하나 하나가 우리의 존재같지만 그 가지는 나무의 줄기를 통해 그 뿌리로 이어지듯이 내 속의 깊은 자아를 통해 우리는 신을 만날 수가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