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 1
김형경 지음 / 문이당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결혼할 준비가 되었는가? 과연 나는 누군가를 사랑할 수 있는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는가? 한 여자를 그리고 그 여자로 인해 생길 나의 아이에 대해 나는 과연 사랑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이 책은 우리들에게 이러한 질문을 하게끔 만든다. 세진과 인혜라는 두 독신여성의 눈을 통해 본 자아와 자아 속에 내재한 무의식의 심층적인 분석, 그리고 그들의 눈으로 바라본 여성과 남성 그리고 성에 대한 일련의 이야기 흐름은 이 세상의 솔로들뿐만이 아니라 완전하지 못한 자아상을 갖고 부부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자신의 자아를 내면 깊숙히 들여다볼 수 있게 하는 눈을 준다.

세진의 남자들에 대한 거부감과 분노는 자신이 어릴적 부모로부터 받았던 사랑의 결핍으로부터 시작되었고 그 결핍에서부터 사랑받고 싶다는 간절한 욕망이 싹이 트게 된다. 하지만 동전의 뒷면처럼 자신의 입장은 부모로부터 그리고 사람들로부터 버림받으면 안된다는 강박관념과 노이로제에 의해 이타적인 행동습관이 몸에 베이게 된다.

그러나 정작 자신은 그 누구도 사랑하지 못하고 오히려 사랑의 반대감정인 미움과 분노와 스트레스만을 무의식 속에 억압시켜 놓음으로써 그 억압에 저항하는 신체적인 이상현상을 체험하며 그 문제를 극복하려고 안간힘을 쓰면서 비로소 자아에게 다가가면서 무의식 속에 잠재된 여러 가지 감정들을 밖으로 표출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진 후에야 비로소 자신의 추악한 면까지도 인정하게 되고 그제서야 다른 사람의 내면에 깃든 여러 가지 상처들을 읽을 수 있게 되고 그들을 사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자신의 내면에 깃든 추악함과 비열함과 나쁜 감정들을 수용하고 포용하듯이 다른 사람들의 나쁜 면들도 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비로소 사랑하는 감정의 문을 열 수 있었던 것이다.

세진의 섬세하고도 상세한 내면의 심리묘사는 마치 작가 자신이 그렇게 느꼈던 것을 그대로 서술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으며 세진의 여행과 자아에 도달하기 위한 여정 역시 작가 자신이 노력하며 애써가며 도달하고자 한 인생의 깨달음이 아니었는가 하는 의문을 갖게 된다.

인혜의 눈으로 들여다 본 세진의 이야기와 세진의 눈으로 들여다 본 자아와 사랑에 대한 여러 가지 인식과 깨달음은 바로 작가 자신의 내면묘사와 자아의 물화의 기법이 아닌가? 자아에 눈을 뜨게 된 작가는 비로소 사랑의 깨달음을 얻게 되고 비로소 결혼을 할 마음의 준비를 갖게 된 것이 아닐까? 이제야 비로소 자신의 분신인 자식을 가질 자신이 생긴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나도 이 책을 덮는 그 순간 비로소 오랫동안 마음 속에 품어 오던 의문 하나가 서서히 해결의 용액에 녹아드는 느낌을 갖는 것은 왜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