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 (특별판)
로맹 가리 지음, 김남주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그는 이 책에서 인간의 정체성 문제를 화두로 우리에게 던지고 있다. 인간이란 도대체 어떤 존재인가? 인간이란 정말 선하고 아름다운 존재인가? 이 문제에 대해 그는 깊은 반성과 성찰을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다. 그가 설정한 여러 가지 풍경 속에는 인간의 적나라한 여러 가지 본성들이 나타나고 있다.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라는 작품에서는 삶의 끝이자 죽음의 공간인 페루 해변에서의 인간의 절망을 보여주고 있으며 [벽]이라는 작품에서는 벽을 사이에 두고 처절하게 외롭고 고독한 젊의 처녀의 죽음과 그 죽음을 벽으로 인해 오해하고 또 다른 절망으로 삶을 버린 한 청년의 이야기 속엔 삶의 또 다른 절망이 있다.

전체주의 국가에서의 인간성의 변질과 왜곡을 다룬 작품이 있는가 하면, 순수성을 찾아 헤매는 순수주의자의 마음속에 일그러진 물질주의와 이기심이 잠재되어 있는 자기 기만을 보여주고 있으며, [가짜]라는 작품에서는 진짜와 가짜의 구분 속에 담겨진 인간의 거짓된 욕망과 이기심과 더러운 본성의 거친 호흡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우리 고매한 선구자들에게 영광 있으라]는 작품에서는 과학 기술 문명과 인간성이 엮어낸 참담한 미래의 상이 담겨 있다.

그렇다면, 그는 왜 인간이 가진 좋은 면은 보지 못했을까? 그의 눈으로 본 인간과 세상은 왜 그토록 자신이 이 세상에 몸담고 호흡하기를 힘들게 한 것일까? 결국, 이 모든 것에 대한 그의 극복할 수 없는 절망과 고독과 모욕과 패배감과 배반과 역겨움은 그를 기어코 자살로 내몰았는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가 그의 작품에서 그리고 그의 자살에서 말하고자 한 것은 과학기술의 발달과 문명의 이기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더러운 본능들과 이기심, 욕망과 저급의 쾌락과 인간 자체에 대한 정체성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까발림으로써 우리에게 인간의 존엄성과 휴머니즘과 아름다움과 온화함으로 가득 찬 세상을 희망하고 있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즉, 그의 적나라한 인간의 자기 기만과 세상에 대한 고발과 풍자를 통해 그는 이 무섭고도 절망에 가득찬 세상에 대한 저항의 화살을 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