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은 활짝 피었을 때, 달은 훤하게 밝은 보름달이 정취가 있는가? 빗속에서 보이지 않는 달을 그리워하고, 좁은 방에 들어박혀 봄이 가는 것도 모르고 지내는 것이, 직접 꽃이나 달을 보기보다 더욱 깊은 정취가 느껴진다. 이제 막 봉오리가 터지려는 가지나, 벚꽃이 흩어진 마당이 오히려 정취가 있다. 와카 머리말에, "벚꽃 구경을 갔더니 이미 다 져서"라든가, "사정이 있어 벚꽃 구경을 못 가고"라고 하면, "벚꽃을 보고"라고 읊은 것보다 정취가 없을까? 꽃이 지고 달이 기우는 것을 아쉬워하는 것은 자연스럽지만, 특히 풍류를 모르는 사람이, "이 가지 저 가지 꽃은 다 졌구나. 이젠 무엇을 볼꼬?"라고 하던가?

   모든 일은 처음과 나중이 멋있다. 남녀간의 사랑도 그저 만나 밀회를 나누는 것만이 의미있는 것은 아니다. 못 만나서 그리워하고, 이루지 못한 사랑을 탄식하며, 긴긴 가을밤을 혼자 지새며, 멀리 있는 연인을 그리며, 연인을 만나던 허름한 초막에서 옛날을 그리워하는 사람만이 사랑의 정취를 안다고 할 수 있으리라.

  천리 멀리까지 비치는 보름달을 하염없이 보는 것보다, 오랫동안 기다리다 새벽녘에야 겨우 올라오는 새벽달을 보는 것이 더욱 정취가 있다. 특히 깊은 산속 나뭇가지 사이로 보이는 푸른 달빛, 소낙비가 오고 구름 사이로 숨은 달은 더욱 감동적이다. 참나무와 상수리나무의 반짝이는 잎에 달빛이 빛날 때, 사무치는 그리움을 나눌 친구를 생각하며, 교토가 그리워지기도 한다.

  대체로 달이나 꽃은, 꼭 눈으로 보아야만 하는 것인가? 봄에는 집에 들어 앉아, 달밤에는 잠자리에 누워서, 벚꽃이나 달을 마음속에 그려 볼 때야말로 한없는 정취를 맛볼 수 있다. 멋을 아는 사람은, 깊이 빠지는 것 같지 않으며, 감상하는 모양도 담백하다. 교양없는 사람들은 무엇이나 요란하게 즐긴다. 꽃을 볼 때도 사람들을 비집고 바싹 다가가, 꽃을 뚫어지게 쳐다보고, 술을 마시고 렌가를 짓기도 하며, 흥에 겨운 나머지 꽃가지를 함부로 꺾는다. 여름에는 더위를 피한답시고 샘물에 손발을 마구 담그고, 눈을 볼 때도 뜰에 내려가 일부러 발자국을 남기는 등, 무엇이나 멀찌감치 두고 감상할 줄을 모른다.

  그런 촌놈들이 가모 축제를 구경하는 꼴이란 실로 가관이다. "행렬이 참 더디 오는군. 그 동안 관람석에 있을 필요가 없지"하며, 집안에 마련된 방으로 들어가 먹고 마시며, 바둑을 두거나 쌍륙을 치며, 관람석에는 망보는 사람을 둔다. "축제 행렬이 지나갑니다"하면, 모두 허둥지둥 관람석으로 나와 난간 밖에까지 몸을 내밀고, 하나도 빠짐없이 다 보려 든다. 그리고 행렬이 지나갈 때마다 이러쿵저러쿵 떠들어대다가, 행렬이 다 지나가면 다음 행렬이 올 때까지 또 먹고 마시며 논다. 그들은 그저 축제행렬만 보면 그만이다.

  그러나 교토의 지체높은 분들은, 행렬을 별로 눈여겨보지 않는다. 젊은 하인들은 윗사람들 시중드느라 바쁘고, 옆에서 모시는 사람은 꼴사납게 몸을 빼고 볼 수도 없으므로, 억지로 보려고 하지도 않는다.

  주변이 온통 접시꽃으로 꾸며서 우아하고 아름다운데, 날이 밝을 무렵이면 여기저기서 조용히 모여드는 수레 주인을 알고 싶어서, 누구일까 하고 보노라면, 아는 소몰이꾼이나 하인이 보인다. 우아하고 꾸민 수레가 오가는 모양을 보고 있노라면 지루하지 않다.

  해질 무렵이 되면, 쭉 늘어섰던 수레와 꼭 찼던 사람들이 어디로 갔는지 곧 한산해진다. 사람들이 뜸해지면 관람석의 발이나 못자리를 치우고, 어느새 한산해지는 모양은, 이 세상의 덧없음을 보는 것 같아서 마음이 숙연해진다. 이러한 큰 길 풍경을 보아야, 축제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축제 관람석 앞을 오가는 많은 사람들 중에, 아는 사람이 제법 많은 것을 보면, 세상 사람도 그다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사람들이 모두 죽은 다음에 내가 죽는다 해도, 그 때는 곧 닥쳐올 것이다. 큰 그릇에 물을 담고 작은 구멍을 뚫으면, 구멍으로 새는 물이 지금은 조금이지만, 계속 샌다면 물은 곧 다 없어지고 만다. 장안의 이 많은 사람들이 하루도 안 죽는 날이 없다. 그것도 어찌 하루에 한 두명 뿐이겠는가. 화장터나 공동묘지, 그 밖의 야산에 장례가 많은 날은 있어도 하나도 없는 날은 없다. 그래서 관을 파는 사람은 묵힐 틈이 없다. 나이나 건강에 상관없이, 불쑥 찾아오는 것이 죽음이다. 오늘날까지 죽음을 모면하고 살아온 것이 오히려 이상하다. 그러니 어찌 잠시라도 이 세상을 느긋하게 보낼 수 있겠는가?

  마마코다테(같은 수의 흑백 바둑돌을 둥글게 늘어놓고, 몇 번 째 되는 돌을 치워 나가다가, 마지막으로 하나 남은 돌이 흑백인가를 맞히는 놀이)에서 쌍륙 돌을 늘어놓고, 잡히는 것이 어느 돌인지 모르지만, 맞혀서 돌을 하나 치우면 다른 돌은 잡히지 않을 것 같다. 그러나 하나씩 차례로 지우는 사이에, 돌은 모두 치워진다. 세상살이도 이와 같다. 무사가 전쟁에 나갈 때는, 죽음이 닥친 것을 알고 집이나 자기를 잊는다. 속세를 떠난 사람이 암자의 조용한 분위기에 젖어서, 죽음이 닥친 것을 남의 일처럼 생각하는 것은 참으로 한심한 일이다. 한적한 산골이라고, 죽음이라는 적이 갑자기 달려들지 않는다고 할 수 있을까? 그가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것은, 싸움터로 나가는 무사와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