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의 종말 - 평균이라는 허상은 어떻게 교육을 속여왔나
토드 로즈 지음, 정미나 옮김, 이우일 감수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흔히 산업화시대의 산물로서의 학교교육의 부정적인 측면을 이야기한다. 누구나가 대량생산공장에서 찍혀 나오는 빵과 같이 표준화되고 개성없는 산업현장에서 기계화된 인간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중요했던 시절의 산물이다. 그러나 세상은 변화하고 굴지의 세계기업들은 신입사원을 뽑을 때 학벌이나 스펙을 지워버리고 조직 내의 각 직원들과의 의사소통을 늘려나갔다. 그 결과 흙 속에 감추어진 진주같은 일꾼들을 뽑을 수 있었다.

 

  물론 평균주의를 비판한다고 해도 그것이 사회에 가지는 의미와 그것을 폐기해야 할 부분들에 대해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재난에 대해 표준화된 매뉴얼이 필요하고 직무능력을 기를 때 표준화된 교육방법과 그것을 달성하고자 하는 능력에 대한 표준화된 단계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때로는 표준화된 지식과 능력에 대해 일정 단계까지 그것이 필요하다는 논리도 또한 의미는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들이 조기교육으로 김연아나 박태환이 될 수도 없을 뿐더러 그렇게 모든 국민을 길러내는 것이 바람직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평균의 종말은 이 사회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구 잔재로서 남아있는 영역에 대한 메세지로는 분명하고 의미가 있다. 대표적으로 학교 교육은 그러한 평균적 인간을 길러내는 중요한 통로로 사용되어 왔다. 달라진 사회의 요구, 개개인의 들쭉날쭉성에 따른 개인성장의 불규칙성과 인생의 각각의 의미와 성장을 생각할 때는 평균적 강요가 폭력이 되고 인생의 학살이 될 수 있다. 이미 세상은 많은 학교 교육을 거부하고 있다. 피라미드식 학교교육과 컨베이어벨트식 학교 교육에서는 승자는 늘 소수의 한 명이 될 뿐이니까.

 

  우리의 교육 현실에서도 변화는 감지되고 있다. 전체순위와 석차를 만들지 마라고 한다든지 학생참여식 자기주도적 학습과 수업으로의 전환이라든지 진로와 연계한 학습동기부여와 그에 따른 적성에 맞춘 진학의 유도 등 교육계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변화는 세계의 변화에 따라 그저 겨우 바뀌고 있을 따름이다. 교육은 늘 속성 자체가 보수적이고 따라서 다른 모든 사회 변화의 끝에서 변화하지 않을 수 없어 꼬리를 자르는 식으로 늘 변해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기에서 말하는 학벌과 계층의 되물림이 사라진 사회에서는 자신의 직무능력과 열정에 따라 직업을 구하게 된다.  거기에 따라 교육적 비효율성의 상징인 종합대학에서 4년의 비싼 등록금과 세월을 낭비할 필요없이 자신에게 맞는 자격증을 취득하여 미래사회에 대비해야 하는 점은 우리 교육계에 많은 것을 시사해준다.

 

  하지만 미래 사회가 이러한 평균의 종말을 전 사회적으로 가져올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오히려 전 사회계층은 부의 되물림 교육의 되물림을 또 다른 형식으로 재생산해내게 될 것이고 또 그런 과정에서 평균주의의 이데올로기는 우리 사회를 다른 방식으로 지배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분명 보다 많은 부와 좋은 지위를 가진 사람은 이러한 미래 사회의 능력을 갖추는 데 있어 평균이상의 기회를 갖게 될 것이고 그것은 또 다른 평균주의를 낳게 될 가능성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 스스로가 깨인 자각으로 그런 것에 마음을 뺏기지 않고 스스로 당당하게 삶을 살아가게 될 때 비로소 허상없는 가치가 세상을 지배하지 않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