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원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인생의 가장 중요한 의문에 답하다
정천구 지음 / 인라잇먼트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많은 소원을 가진다. 물론 모든 사람이 소원을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의 상태에서 바람직한 미래 상태로 가기 위해 또는 꿈꾸는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 소원을 가진다. 왜 소원을 가지게 되는가? 인간의 삶이 행복해지는 데에는 재앙이 없어야 하고 주로 그 재앙을 없애는 데에 소원을 가진다. 그리고 자신이 바라는 바를 성취하게 해달라고 소원을 발한다. 보다 구체적인 원을 세울수록 그 일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우리는 어떤 원을 세우고 소원을 비는가? 거기에는 바른 방향이 필요하다. 물질세계에도 인과의 법칙이 작용하듯이 마음의 세계에도 인과의 법칙이 작용한다. 자신의 복은 적은 데 큰 소원을 세우게 되면 이루어질 가능성이 적다. 또한 바른 소원을 세워야 한다. 남을 해치는 소원이라든지 우주 진리와 진화에 역행하는 소원은 이루어질 가능성이 거의 없다. 그래서 저자는 스승이었던 백성욱 선생님의 지로하에 공부하며 바른 발원과 소원의 실천과 성취를 경험했고 그를 통해 소원의 성취에 대한 책을 쓰게 되었다.

 

  소원은 간절한 바램이고 바른 바램이며 우주의 법칙에 어긋나지 않는 바램이다. 그럴 때 우주의 기운에 공명하여 주변 여건이 자신이 바라는 바대로 정렬되며 그 일이 성숙해지면 일로서 결과를 맺게 된다. 원은 구체적이어야 하며 그래서 청각의 세계에서 이루어진다. 금강경 독송의 원리도 그와 같다. 마음을 향하여 간절하게 독송하고 그 소리를 또한 마음에 되돌려서 깊은 곳으로 자국을 남기는 과정이다. 그러면 무의식의 과정에 자신이 성취하고자 하는 바가 깊숙히 각인되어 그와 같은 생활과 마음으로 그 여건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공부하는 인연을 짓는 행위이다.

 

  "깨진 유리창의 법칙"이라든지 "공부하는 공명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라든지 모두 이러한 과학적 원리가 불교적 진리와 맞닿아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불교의 경전을 암송, 독송한다든지 명상을 하는 행위나 기도의 행위가 결국 일을 이루어낼 수 있는 원리도 이 안에 있다. 이러한 소원은 튜닝의 원리를 따른다고 한다. 결국 소원은 청각을 활용해야 한다. 청각은 사람이 죽은 후에도 몇 일간 유지되는 능력이고 혼수상태나 무의식 상태에서도 지속되는 감각이다. 그런 청각은 진리와 소원을 이루어낼 때에도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소리는 진동이고 파동이다. "감각의 천재는 오직 음악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키에르 케고르의 말처럼 우주의 지고지순한 기운과 일치되는 청각을 활용하는 기도와 명상은 우주의 힘을 가져다 준다. 그러하기에 우리가 바른 소원을 세우고 원하면 그것이 이루어지는 원리를 설명한다. 좀 더 우주의 기운과 깊이 연걸되도록 나의 아상을 더욱 비워내고 더욱 맑고 간절한 마음으로 소원을 세워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