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미국 영어 회화 문법 1~2 세트 - 전2권 미국 영어 회화 문법
김아영 지음 / 사람in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문종합영어는 이제 그만 


말도 안 되는 편견이 마치 상식처럼 자라집기도 한다. 최근 내가 들은 말 중에는 이태리 커피 전문가가 한국의 커피믹스를 맛보고 감탄했다더라가 있다. 도대체 출처도 알 수 없는 이런 내용이 왜 공기처럼 떠다니는가? 한국 사람은 영어 문법은 강하지만 듣기와 말하기가 약하다는 말도 마찬가지다. 더 나아가 문법은 따로 배울 필요가 없다는 터무니없는 주장까지 나오는 지경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한국어와 영어는 문법이 완전히 다르기에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지 않으면 모래성이나 다름없어진다. 


문법을 따로 떼어 수험용으로 배우다보니 영어가 미스터리가 되어 버렸다. 현재완료, 과거분사, 동명사, 지시대명사 듣기만 해도 머리가 지끈거린다. 그렇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예문과 함께 직감을 키워야 한다. 예를 들어 설탕sugar은 어떤 때는 그냥 sugar로 다른 경우에는 the sugar로 쓰이는 이유는 대체 뭔가? 우리말은 구분을 하지 않는데. 이 문제를 불가산명사가 어쩌고 저쩌고로 설명하는 순간 바로 깊은 잠에 빠진다. 옳은 방법은 일반적, 구체적 의미로 분류하면 된다. 곧 Sugar is bad for you(설탕은 몸에 안 좋아)에서 설탕은 일반적인 뜻이고 채 Could you pass me the sugar(설탕 좀 건네줄래)는 구체적인 의미가 된다. 이처럼 예문을 보면 바로 이해할 수 있는데 암호문이나 공식처럼 외우니 영어가 늘 리가 있나? 


김아영은 콜럼버스의 달걀 원칙을 영어 학습에 적용해했다. 어쩌면 매우 쉬운 길처럼 보이지만 지금까지 다들 하지 못한 데는 이유가 있다. 이전에 써놓은 일본식 영문법 책을 마치 성경처럼 떠받들면 베껴 써도 대가 대접을 받았기 때문이다. 성문종합영어는 이젠 쓰레기통에 던져버려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 종류의 신문을 구독하고 있다. 한국일보와 뉴욕타임즈. 아니, 종이신문을 보는 사람이 아직도 있단 말인가? 그렇다. 내가 그렇다. 정성껏 읽는 건 아니다. 아침에 대충 큰 제목과 사진 정도만 보고 만다. 그렇게만 보고 버리기 아까워 오랜만에 책상위에 일주일치 신문을 쌓아두고 한 장씩 넘기며 읽었다. 이상하다. 잘 읽히지가 않는다. 눈이 나빠져서 인가? 물론 그런 이유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뭔가 보다 구체적인 원인이 있을 것 같은데, 라고 곰곰 생각하다 앗하고 떠올랐다. 종이신문은 신체, 특히 눈의 구조와 맞지 않는다. 기사들이 이곳저곳 전사들의 시체처럼 잘린 채 나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미국 신문은 그 정도가 심하다. 글 말미에 relate라는 단어가 신호등처럼 대기하고 있다. 곧 기사 하나를 제대로 읽으려면 몇 페이지를 이동하면서 보아야 한다. 그나마 온전히 한 면에 볼 수 있는 건 광고나 사설 정도가 전부다. 


반면 인터넷 신문은 온전히 한 번에 볼 수 있다. 쓸데없이 제목 따위를 크게 해서 눈을 현혹하지도 않는다. 그냥 리스트에 올라와있는 타이틀을 보고 클릭하면 그만이다. 보다 큰 장점은 심층 읽기가 가능하다. 한 기사를 읽고 관심이 생긴다면 관련 글이나 구체적인 내용을 손가락 놀림 몇 번만으로 찾아 볼 수 있다. 도대체 지금까지 왜 이런 불편한 종이신문을 읽어왔는지 신기할 지경이다. 이유는 없다. 대체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종이에 이거저것 잡다하게 읽을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나온 고육지책이다. 그나마 우리 신문이 가로체제로 바뀌면서 가독성이 조금 나아졌을 뿐이다. 참고로 여전히 세로쓰기를 고집하는 일본신문을 보고 있노라면 답답해서 까무러칠 지경이다. 기사를 하도 잘게 잘라 여러 지면에 싣는 바람에 보물찾기가 따로 없다. 기술이 인간을 위해 존재한다면 종이신문은 이미 사명을 다했다, 고 나는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모차르트 : 신포니아 콘체르탄테 & 비오티 : 바이올린 협주곡 22번
모차르트 (Mozart) 작곡 / PHILIPS / 1999년 11월
평점 :
품절


그뤼미오의 비오티는 하루에 수십 번 반복해서 들어도 지루함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차르트 : 신포니아 콘체르탄테 & 비오티 : 바이올린 협주곡 22번
모차르트 (Mozart) 작곡 / PHILIPS / 1999년 11월
평점 :
품절


클래시컬 애호가라고 해서 모두 다 같은 취향은 아니다. 지휘자만 해도 카랴안을 숭배하는 이들이 있는가하면 카 소리만 들어도 진저리를 치며 고개를 젓는 사람들도 많다. 그 사람은 쇼쟁이일뿐이야. 연주자도 마찬가지다. 글랜 굴드야말로 바흐 음악의 재림이라고 칭송하는 분들도 있고 흥얼거림을 천재라고 여기는 미치광이라고 외면하는 이들도 분명히 존재한다. 이처럼 다양한 견해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사랑하는 바이올리니스트가 있다. 그는 아르투르 그뤼미오다. 


나는 헨델의 연주음반으로 그뤼미오를 처음 접했다. 깜짝 놀랐다. 평소 바이올린 하면 떠오르면 신경을 거슬리는 혹은 절정이라고 부르는 고음이 부담스러웠다. 웬만하면 독주 연주를 듣는 건 피해왔다. 그러나 그뤼미오는 전혀 달랐다. 마치 비올라를 떠오르게 하는 부드러운 저음과 그렇다고 바이올린 특기인 자유자재의 움직임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헨델의 바이올린 연주가 이렇게 좋을 수가 있구나, 라는 사실도 새삼 깨달았다. 


그뤼미오가 연주하는 <모차르트 신포니아 콘체르탄테와 비오티의 바이올린 협주곡 22번>은 소품음반이다. 사실 이 두 곡을 선택한 기준도 애매하다. 왜? 그럼에도 고른 이유는 비오티 때문이다. 그의 바이올린 곡은 연주자에 따라 수준차이가 많다. 그만큼 공을 들여야 하는데 그뤼미오가 딱이다. 이 곡만 하루에 수십 번 반복해서 들어도 지루함이 없다. 그러나 내가 이 음반을 선택한 이유는 따로 있다. 표지 때문이다. 사실 전집을 구하면 이 두 곡 말고도 더 다양한 음악을 접할 수 있다. 그러나 고개를 비스듬히 하고 바이올린 활을 사선으로 세운 장면은 어느 유명화가의 작품 못지않게 멋있고 근사하다. 바이올린 연주자의 전형이라고나 할까? 이 사진 한 장만으로도 값어치는 하고도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자와 나오키 4 - 이카로스 최후의 도약, 완결 한자와 나오키
이케이도 준 지음, 이선희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기에 부딪쳤을 땐 생각을 하고 또 하고 우군을 모아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