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인가, 부산국제영화제가 두 번째로 열렸을 때다. 두 번째 직장을 그만두고 백수 노릇을 하던 시절, 영화제 보러 간다고 큰맘 먹고 부산행 새마을호(!) 기차를 탔다(새마을호를 탄 건 이때가 처음일 거다). 천리안에서 동호회를 같이 하던 한 언니가 부산에 살아서, 내가 고른 영화 예매도 해주고, 집에 재워주고, 아침저녁까지 먹여주었다. ^^; 그때 씨네21이던가 컴퓨터 통신으로던가 아무튼 영화 소개 글만 보고 고른 영화 중에 <허우샤오시엔의 초상>이란 다큐멘터리가 있었다.

실은 허우샤오시엔이 누군지도 모르고, 그냥 제목에 끌려 무작정 골랐다. 대만의 영화감독 허우샤오시엔의 성장 과정과 오늘날의 모습을 담담히 보여주는 이 영화를 보고서 나는 그 사람이 <비정성시>라는 영화로 유명해진 사람이라는 걸 비로소 알았다. 이 다큐멘터리 중간에 허우샤오시엔이 젊은이들과 함께 노래방에 가서 “떼떼떼떼...” 하는 한국 노래(주주클럽이 불렀던)를 부르던 게 아직도 기억난다. ^^  

‘대만’은 자라면서 흔히 들어온 이름이면서도 내가 대만에 관해 아는 건 별로 없었다. 대만 사람에게 어떤 인상을 느낀 적도 별로 없고. 그냥 장개석 나쁜 놈 이 정도. -.- 장개석은 대만 사람도 아니지만... <비정성시>란 영화를 봐야겠구나, 생각했다. 그래서 영화제가 끝나고 서울로 돌아온 뒤 어느 날, 비디오로 빌려다 보았다.

그때는, 잘 모르겠다, 생각했던 것 같다. 이 영화가 말하려는 걸 아직 잘 모르겠구나. 그저 영화 속 풍광이 참 아름답고, 양조위가 연기한 청각장애인 사진가가 예쁘다고 느꼈을 뿐.

참으로 오랜만에 극장에서 큰 화면으로 다시 보았다. 두 번째 보아선지, 아, 이 영화는 일가족의 역사 이야기로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오래 전 처음 봤을 땐 양조위와 아름다운 풍광만 보였는데, 지금은 네 형제(중 한 사람은 한 번도 안 나오지만)가 다 보였다.

가부장제 문화 속에서 아들을 넷 두고 마을 유지 행세를 한다면 복 받은 집안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그러던 집안이 현대사의 흐름에 쓸려 비틀리고 무너지는 과정, 그러나 그래도 삶은 계속된다는 듯이 이어지는 일상.

1945년 일본이 항복한 뒤 대만은 묘한 위치에 처하게 되었다. 19세기 말 청일전쟁에서 진 청나라가 일본에 대만을 넘겨, 대만은 51년 동안 일본의 지배를 받았다. 일본군이 물러나자 다시 대륙에서 건너온 중국인들의 지배를 받게 된다. 대만 사람들은 대륙의 중국인들과 동등한 지위에 있지 않았다. 영화에서, 큰형이 경찰에 끌려간 둘째를 빼내려고 대륙에서 건너온 사람들과 협상을 하는 장면이 바로 대만의 묘한 위치를 알려준다고 생각한다.

이 장면에서 큰형이 대만어로 “최대한 협조하고 양보하겠다. 둘째를 도와다오.”(정확한 대사는 이게 아니지만 대충 기억하기로 -_-;) 하고 말하면, 큰형의 부하가 광둥어로 그 말을 그대로 옮긴다. 그러면 대륙 사람들 중 하나가 이 말을 다시 베이징어로 옮기는데, 앞뒤 다 잘라내고 “둘째가 풀려나게 해달라는데.”(이 역시 정확하지 않습니다;;) 하는 식이다. 자신들이 대대로 살아온 땅에서 자신들의 언어로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상황.

상영 시간이 두 시간 반을 넘는다. 두 시간이 넘으면 무릎이 쑤신다. ㅠ.ㅜ 좀 짧았으면 싶기는 하지만, 영화가 이렇게 긴 이유는 인상적인 장면들이 실시간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대만의 5.18이라는 2.28 사건 때문에 교도소에 갇혔던 이들이 교도관의 호출을 받고 주섬주섬 옷을 챙겨 입고 구두를 신는다. 그 장면은 실제로 사람이 옷을 갈아입고, 구두끈을 맬 만한 시간 동안 이어진다. 구두끈을 매느라 고개를 숙인 사람 등 너머에서 우리의 양조위가 불안한 시선을 이쪽으로 보내고 있다. 나는 양조위와 눈을 맞추고 왠지 모르게 가슴을 졸인다.

영화가 끝나고 자리에서 일어서니 나보다 한 서너 줄 뒤에 앉은 한 할머니가 손수건에 얼굴을 묻고 울고 있다. 같이 울어주지 못해서, 왠지 미안했다.

비정성시(悲情城市 ; A City Of Sadness) / 1989
감독 허우샤오시엔(侯孝賢 ; Hou Hsiao hsien) 

* 부산국제영화제 홈페이지에서 긁어온 <허우샤오시엔의 초상> 정보 *************************************

제2회 부산국제영화제 출품작 / 1997
허우 샤오 시엔의 초상 | Portrait of Hou Hsiao-Hsien
올리비에 아싸야스 | Olivier Assayas
Taiwan / 1997 / 96min / 35mm / Color



 프랑스 감독 올리비에 아사야스는 우리 시대의 가장 위대한 영화감독중 한 사람인 타이완 출신 허우 샤우 시엔에 관한 다큐멘타리를 만들었다. 아사야스의 기본적인 접근방식은 허우의 영화가 얼마나 미적인 천성을 흔들리지 않고 신념있게 전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허우에 대한 초상은 그의 모든 작품에 근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올리비에 아싸야스
1955년, 파리에서 태어난 올리비에 아싸이야는 미술학교를 졸업한 뒤, 1978년에서 1985년까지 시나리오작가 겸 단편 영화감독으로 활동했다. 그는 또한 1980년에서 1985년까지 「까이에 뒤 시네마」의 편집진으로도 활동했다. 작품으로는 [무질서](86), [겨울의 아이](1989), [파리는 깨어난다](1991), [새로운 삶](1993), [차가운 물](1994), [이마 벱] (1996), [허우 샤오시엔의 초상](1997), [8월말, 9월초]가 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히나 2005-05-11 0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감독이 장만옥의 남편이었던 올리비에 아싸야스군요..

키노 2005-05-11 07: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직 극장에서는 보지 못하고 비디오로만 들고 있는데 극장에서 보셨다니 좋겠습니다. 아무래도 큰 화면이 좋던데^^

숨은아이 2005-05-11 09: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노드롭님/아, 저 사람이 장만옥이랑 결혼했어요? 영화 소식 올리면 로드무비님도 누구랑 누구랑 부부인데... 하고 갈쳐주시는데, 어째 영화인들은 자기들끼리 결혼들을 많이 했는지. ^^;;
키노님/반갑습니다. 네, 좋았어요. ^^

로드무비 2005-05-11 1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헤헤. 연예계 소식은 제게 물으세요.^^
비정성시는 이상하게 분위기로 말하는 영화 같습니다.
격동하는 세월 속의 인간의 부침, 몰락......
추천해요.

숨은아이 2005-05-11 11: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드무비님/고맙슴다. ^^ 관영 관미 남매와, 또 관미 문청 부부를 생각하면 마음이 아파요.
 

인권백서, 청년백서, 국방백서 등등 어떤 주제를 놓고 그 실태를 조사해 발표하는 것을 흔히 “백서”라고 한다. 그런데 엄밀히 따지면 백서는 “정부에서 발표하는 각종 공식 보고서”만을 가리킨다.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의 설명이다.

백서(白書)
이 말의 기원은 영국 정부의 공식 문서에서 비롯된다. 17세기 영국에서는 정부의 보고서 표지에는 흰 표지를 붙이고, 의회의 보고서에는 푸른 표지를 붙였다. 여기에서 비롯되어 정부가 시정 내용을 국민에게 알리는 보고서를 백서라고 부르게 되었다. 재미있는 것은 나라마다 그 빛깔이 달라 프랑스는 황서(黃書), 이탈리아는 녹서(綠書), 우리나라․미국․독일 등은 백서(白書)라고 부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릴케 현상 2005-05-10 14: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들은 바로는 백자가 알리다 고하다 라는 뜻이 있다고 하던데요^^그래서 백서라고 한다고 들은듯...

숨은아이 2005-05-10 14: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게 일본어로 白 자에 그런 뜻이 있다고 저도 들었어요. 그래서 "주인 白"이라고 쓰는 게 일본식 표현이라고.
 

땅보탬 사람이 죽은 뒤에 땅에 묻히는 것을 일컫는 말.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

현대인들은 항생제, 방부제를 많이 먹어, 죽어서 잘 썩지도 않는다는 말을 들었다. 그때부터 웬만하면 약을 안 먹는다. 병원에서 처방받는 거야 먹지만, 웬만큼 아프지 않으면 감기약을 절대 먹지 않고, 한 달에 한 알씩 꼬박 챙기던 월경통 약도 먹지 않는다. (면 달거리대를 쓰면서부터는 월경통이 크게 줄어 약 먹을 생각도 들지 않는다. ^.^)

어릴 때부터 먹어온 약이 얼마던가. 밖에서 사먹는 밥이 얼마인가. 그것만 가지고도 과연 내 몸이 제대로 썩어줄지 걱정이다. 그래서 꼭 화장을 해야 할 터인데, 약을 많이 먹은 몸은 불에도 잘 사그라지지 않아 화장하는 데도 오래 걸린다고 한다. 땅보탬도 제대로 못하면 안 될 텐데.

(병을 앓아서, 또 몸이 약해서 약을 자주 드시는 분이 이 글 때문에 마음 다치실까 걱정됩니다. 저도 병원에서 먹으라는 약은 열심히 먹습니다. 그냥 건강한 사람이 견딜 만한 아픔은 견디자는 뜻에서 하는 소리입니다. 아시지요?     <(__)> )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superfrog 2005-05-06 1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저도 제 몸의 치유능력을 믿는 편인데요, 감기는 약먹으면 일주일, 안 먹으면 7일이라잖아요..^^ 큰 병이 아니면 가능하면 몸이 병균과 싸워 이길 수 있는 힘을 길러줘야죠.

릴케 현상 2005-05-06 1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땅보탬이라 흠

숨은아이 2005-05-06 14: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금붕어님/제 말이 그 말이에요. ^^
산책님/땅을 보태준다는 생각이 좋지요?

瑚璉 2005-05-06 15: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항균제는 중금속처럼 몸에 쌓이지 않기도 하거니와, 또 먹는다고 해도 온 몸으로 고르게 가지 않기 때문에, 항균제를 많이 먹는다고해서 사람이 썩지 않는 일은 없습니다요.

숨은아이 2005-05-06 15: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정무진님, 항생제와 항균제가 같은지요, 다른지요? 몰라서... ㅅ.ㅅ

瑚璉 2005-05-06 15: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같습니다요. Antibiotics를 항생제라고 옮기기도 하고 항균제라고 옮기기도 하지요. 어느 쪽이나 별 관계없지만 저희 업계에서는 항균제라고 부릅니다요(사실 이 이름에 대해 엄밀하게 따지면 꽤나 복잡한 이야기가 된답니다요).

그리고 이건 곁다리로 빠지는 이야기지만 죽어서도 시신을 보존하고 싶다면 보존제가 아니라 비소를 엄청나게 먹으면 됩니다요(물론 곧 사망하겠지만요 -.-;).

숨은아이 2005-05-06 17: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 그럼 나중에 내 몸이 타지 않을까 봐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어요. ㅎㅎ

울보 2005-05-06 17: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류약가지고 와서 감기약이요,,어느정도 먹이고 안먹여요,,,
요즘은 조금감기다 싶으면 의사들이 항생제를 주더라구요,,그래야 손님이 많은지,,그런데 아픈애를 보면서 병원에 가지 않을수도 없고,,,그저 이래저래 걱정이지요,,,

책읽는나무 2005-05-06 18: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겁나는 말이네요...ㅡ.ㅡ;;

저희 친정부모님 그리고 시부모님께서 약을 많이 드시는 편이신데...ㅠ.ㅠ
그모습을 보고 커온 신랑과 전 약을 되도록이면 안먹으려고 하죠!
그래서 저도 제아이 감기약 지어와서 차도가 보이면 남은 것은 그냥 버립니다.
일단 감기 안걸리게 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긴 한데...ㅠ.ㅠ

숨은아이 2005-05-06 19: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보님/호정무진님 말씀 보면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될 듯한데, 그래도 많이 안 먹는 편이 좋겠죠.
책나무님/감기가 마음대로 안 걸릴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어요. ^^ 그래도 아파봐야 면역이 생기려니 편하게 생각하자구요.

panda78 2005-05-06 2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음.. 조금만 아파도 바로 약부터 먹는 저로서는 상당히 뜨끔합니다.
안그래도 약 때문에 위가 좀 안좋아진 듯 해서 줄이려고 하고는 있는데.. ;;;

숨은아이 2005-05-07 0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판다님...
 

뭔가 굉장히 많을 때 “무진장 많다”고 한다. 전에, 무주 진안 장수에 소나무가 엄청나게 많아서 그 세 곳의 지명 첫 글자를 따 “무진장”이란 말이 생겼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럴듯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을 보니, 그게 아니라 이 역시 불교에서 나온 말이다. 무진장(無盡藏), 곧 다함(盡)이 없이(無) 들어차다(藏). 끝없이 넓은 부처님의 덕을 가리키는 말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딧불,, 2005-05-06 13: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로 많은 말들이 불교에서 왔더라구요.
어쨌든 처음 알았습니다^^;;

물만두 2005-05-06 1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불교용어가 많죠. 난리법석도 그렇고요^^

숨은아이 2005-05-06 14: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딧불님도 모르셨군요. ^^
만두님, 정말 그래요. "동냥"이란 말도 승려들이 탁발할 때 방울을 흔들던(動鈴 : 동령) 데서 나왔대요. "동령"이 "동냥"으로 바뀐 거죠.

책읽는나무 2005-05-06 18: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저도 예전에 얼핏 불교용어에서 유래된 말이 많다는 소리를 들은적이 있어서 참 신기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뜻도 모르고 그냥 막 써대는 말인데...다들 그런 어원이 있다는 것이 참 신기하더군요...오늘도 좋은 말 듣고 가네요..^^

숨은아이 2005-05-06 19: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위 사람은 언행이 방정하고 성적이 우수하여 타의 모범이 되므로 이 상장을 수여함.”

학교 다닐 적에 표창장이나 우등상에 있던 글귀다. 요즘에는 좀더 쉬운 말을 쓰겠지? 성적이 좋다고 다 언행이 “방정”하여 “타의 모범”이 되지는 않을 텐데, 왜 꼭 저렇게 썼는지 모르겠다.

그런데 “모범”이란 말은 원래 “무엇을 똑같이 만들어내는 틀”을 가리킨단다.

나무로 만든 틀을 ‘모(模)’라 하고 대나무로 만든 틀은 ‘범(範)’이라 한다. 반면에 흙으로 만든 것은 ‘형(型)’, 쇠로 만든 것은 ‘용(鎔)’이라 한다.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

오호라, 그러고 보니 모(模) 자에는 나무 목(木), 범(範) 자에는 대나무 죽(竹), 형(型) 자에는 흙 토(土), 용(鎔) 자에는 쇠 금(金)이 들어 있다.

그러나 이 말의 본래 뜻이 붕어빵틀처럼 똑같은 물건을 찍어내는 틀이라는 데 이르러서는 사람의 언행에 붙여 쓰기에는 그리 적당한 말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

어쩐지, 평소 “모범”이란 말이 맘에 안 들더라.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05-05-06 1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어쩐지 *^^*

숨은아이 2005-05-06 14: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감들 하시는군요. ㅎㅎㅎ

책읽는나무 2005-05-06 18: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