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에서 말한다 - 당비생각 02
우에노 치즈코.조한혜정 지음, 사사키 노리코.김찬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4년 7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은 이유는, 조한혜정과 우에노 치즈코를 좀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조한혜정 선생의 이름은 익히 들었지만, 글은 제대로 읽은 적이 없다. 우에노 치즈코 선생의 글은 [내셔널리즘과 젠더] 한 권 읽은 게 고작이다. 두 사람이 일본의 월간지 [세카이(世界)]와 (지금은 폐간된) 한국의 계간지 [당대비평]에 공동 연재한 공개편지라면 두 사람의 현실 판단과 지향점을 잘 알려주리라 생각했고, 내 생각은 틀리지 않은 것 같다.

그런데 두 사람은 내내 우애와 친분을 드러내며 서로의 글을 칭찬하고 다정하게 화답하지만, 나는 왠지 매번 우에노 치즈코가 조한혜정을 한 방 먹여준다는 생각이 들었다. ^^ 이를테면 조한혜정이 “서울의 엘리트 여자 고등학교에서 공부를 잘했던, 또한 식자층 어머니를 가진 의욕적인 딸들이 택할 수 있는” 코스로서 미국 유학을 했던 경험을 들려주며 우에노에게 “여행을 좋아하고 자유분방한 편인 당신은 대학을 졸업하면서 분명 멀리 떠나고 싶었을 터이고, 그래서 서양으로 유학을 가고자 하는 욕망이 있었을 터인데 유학을 떠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요?” 하고 묻자, 우에노는 1969년 전공투의 싸움이 끝나고 황폐해진 일본의 대학을 떠나 유학을 가고 싶었으나 “평범한 중산계급의 딸에게는 후원자 없이는 유학 같은 것을 생각하지도 못하던 시대”였기에 어느 재단의 유학생 시험을 보았는데 그 시험에서 떨어지고 말았다고 이야기한다.

또 조한혜정이 첫 저서인 [한국의 여성과 남성]의 서문에서 미국의 마가렛 미드가 [남성과 여성]이란 책을 쓸 때 “제목에 ‘미국의...’라고 붙이려는 생각이 정말 조금이라도 머리를 스쳤을까” 하고 쓴 데 대해, 우에노 치즈코는 자신의 저서 [내셔널리즘과 젠더]가 영어판으로 간행되었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거기에 ‘일본의 경우...’라는 말을 덧붙이자는 제안을 나는 거부했습니다. 어떤 연구에든 ‘한국 사회’라든가 ‘일본의 경우’ 같은 말을 붙이게 되면 지역 연구의 하나로 특수화되어버려, 아무도 뭔가 보편적인 메시지를 취하려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고 말하는 식이다.

그러나 네 번째 편지에서는 조한혜정이 제대로 역공을 펼치는데(http://www.aladin.co.kr/blog/mypaper/833278 참조), 그것을 보며 어쩌면 조금 더 불리한 위치(좀더 뒤떨어진 나라, 좀더 불이익이 많은 사회, 좀더 불편한 몸...)에 있는 사람이 그만큼 더 예리할 수 있지 않나, 그것이 바로 약자의 이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이런 것은 모두 관객인 나의 제멋대로 해석일 뿐이다. 그런 건 신경쓰지 말고 알맹이만 보자. 이 책에서 얻을 것은 새로운 ‘답’이다. 나는 그동안 교과서와 사회생활을 통해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법칙에 근거한 ‘모범답안’에 길들여져 왔다. 남자도 아닌데 남자라는 병에 걸렸던 모양이다(http://www.aladin.co.kr/blog/mypaper/833279 참조). 고령화 사회, 노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 나 자신의 미래를 두렵게 하는 이런 문제에 대해 우에노 치즈코는 “누구든지 노년을 맞이하게 되는 초고령화 사회는 돈과 권력이 결국 모든 것을 말한다고 할 수 없는, 약자가 계속 살아가기 위한 사회를 설계하는 기회(chance)”라고 말한다. 노인, 곧 약자가 다수가 되는 사회, 그러니까 약자들이 서로 도와가며 살 수 있는 사회가 바로 고령화 사회라는 생각! 그렇다면 약육강식의 피라미드 사회보다 훨씬 살 만할지도 모르잖아!

우에노 치즈코가 약자들이 ‘보살핌의 유대’를 맺는 공동체의 실례로 든 곳 중에 ‘베델의 집’이 있어서 반가웠다. [지금 이대로도 괜찮아]란 책에서 소개하는 베델의 집, 바로 그곳이다.

우에노 치즈코는 바이링궐이니 글로벌리제이션이니, 영어를 직수입한 표현을 많이 쓴다는 점이 조금 불만.

* 궁금증 하나. 이 책 89쪽에서 우에노 치즈코는 여성해방 다큐멘터리를 찍는 영화감독 구리하라 나나코(栗原 奈奈子)의 [룩킹 포 후미코]라는 영화를 잠깐 언급한다. 후미코? 최근 개봉한 영화 [메종 드 후미코]와 무슨 관계가 있을까?


댓글(7)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6-03-06 0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상하게 저는 YWCA 같은 단체의 간사와 같은 사람들에게
호감이 안 가요.
조한혜정 씨는 Y와 관계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상하게 그런 쪽으로 비호감.
숨은아이님의 리뷰를 보니 이 책 재미있을 것 같은데요?^^

숨은아이 2006-03-06 1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리뷰를 늘 후하게 봐주시는 로드무비님... ^^ 재미있어요. 편지 글이라 술술 읽히고... 조한혜정 선생은 Y하고는 관련이 없어요. 인류학자이면서 여성학자이면서 문화 운동에도 관여하는 분이지요. Y 활동가들 중에서는 존경스러운 분도 많지만 저도 YWCA YMCA는 별로 좋아하지 않네요.

숨은아이 2006-03-06 18: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치요, "또 하나의 문화" 동인으로 활동하셨지요. 개인적인 호오는 그다지 없는데, 탈학교 청소년을 위한 대안 교육장 "하자 센터" 운영하신 이야기를 듣고는 꽤 좋은 쪽으로 기울었어요. ^^ 아이를 낳았기에 청소년 대안 교육에 관심 갖게 된 조한혜정 선생과 아이를 낳을 만큼 무모하지 않았기에 고령 노인의 삶과 권리에 관심을 기울이는 우에노 선생의 충돌(?)도 재미있습니다.

로드무비 2006-03-06 18: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또 하나의 문화>가 요즘도 나오나요?
또문에 실린 그의 글을 읽으며 뭔지 비위가 좀 안 맞았던 듯해요.
부분적으로.ㅎㅎ

숨은아이 2006-03-07 1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또 하나의 문화, 동인지는 요새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단행본은 내는 것 같던데... 사실 또문은 겉표지만 구경해서, 거기 실린 글들을 잘 몰라요. ^^a (소곤소곤 : 또문 사람들이 거개 "있는 집 딸"로 유학파들이라선지 엄청 현학적이란 얘기 많이 듣긴 했어요.)

숨은아이 2006-03-08 0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런저런. ^^

2006-04-18 15: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경계에서 말한다 - 당비생각 02
우에노 치즈코.조한혜정 지음, 사사키 노리코.김찬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4년 7월
품절


그가 일본 중등학교의 변화에 대해 일러준 이야기가 아직 인상 깊게 남아 있습니다. 1990년대 초반 교실에 들어가면 머리 염색을 하고 짙은 화장과 피어싱을 한 저항적 모습의 아이들이 많았답니다. 그런데 그런 모습을 하고 있어도 그들은 필기를 하고 공부는 했었다고 합디다. 1990년대 후반 교실에 가보니 상표가 있는 똑같은 옷을 입은 아이들이 얌전하게 앉아 있었는데, 전혀 필기도 않고 가끔 거울을 보곤 하더라고 했습니다. 몸을 교실에 있어도 마음은 딴 곳에 가 있더라는 것이지요. - 조한혜정의 다섯 번째 편지-210쪽쪽

학생들이 졸업식 때 교사의 자동차를 부수거나 수업 중에 저항의 몸짓을 보이는 한 학교는 건재하다고 봐도 될 것입니다. 아이들이 더 이상 저항을 하지 않을 때가 바로 정말 학교가 붕괴된 시점일 테지요. 학교는 ‘대량 국민 생산적인 국가 통제’에서 벗어나 새롭게 태어나야 하지만 어쩌면 다시 태어날 시간을 갖지 못한 채 거대한 자본의 물결 속에서 묻혀 버리고 말 것 같다는 생각을 그때 얼핏 했던 것 같습니다. - 조한혜정의 다섯 번째 편지-212쪽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적오리 2006-03-06 13: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번째 글이 맘에 와닿네요.
전 반항이라고는 해본적이 없지만, 그래서 그 의미가 어떤 건지 요즘 더 절실한것 같아요.

숨은아이 2006-03-06 14: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첫 글에 대한 글쓴이의 해석이 두 번째 글이지요. 반항... 제대로 반항할 줄 알았더라면...
 
경계에서 말한다 - 당비생각 02
우에노 치즈코.조한혜정 지음, 사사키 노리코.김찬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4년 7월
품절


누구든지 노년을 맞이하게 되는 초고령화 사회는 돈과 권력이 결국 모든 것을 말한다고 할 수 없는, 약자가 계속 살아가기 위한 사회를 설계하는 기회(chance)이기도 합니다. 사회를 변혁하는 힘은 언제나 젊은이들로부터 온다고 할 수 없습니다. 고령이라는 미지의 경험에 접어들어 그곳에서 다가오는 새로운 세계, 그리고 고령자가 스스로 열어가는 변혁의 실천에 나는 언제라도 가슴이 뜁니다. - 우에노 치즈코의 다섯 번째 편지-199쪽쪽

장애인 자립운동과의 만남만큼 나의 마음을 뒤흔든 것은 없었습니다. 그들은 "자신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기 결정권을 뺏길 이유는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입니다. 당사자 주권이라는 것은, "내 일은 내가 가장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내 일은 내가 결정한다"라는 권리를 말합니다. ‘자립’의 개념을 180도 바꾼 그들의 주장에, 저의 여성운동의 ‘자립’ 개념이 흔들렸습니다.
고령화 사회는 많든 적든 나이를 먹어감과 함께 장애를 경험하는 사회를 말합니다. 그때 ‘타인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사는 것’을 ‘자립’이라고 여겨 온 사람들은 후에 뼈아픈 보복을 맛볼 것입니다. - 우에노 치즈코의 여섯 번째 편지-245쪽쪽

‘양육’ 유대, ‘보살핌’ 유대는 혈연이 아니어도 좋고 가족은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좋다. 친밀한 관계는 가족이건 아니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친밀한 관계와 의존을 분리시키면 좋다. - 우에노 치즈코의 여섯 번째 편지 -247쪽쪽

보살핌의 유대는 쇠퇴해 가는 자신을 받아들이고 편안하게 늙어가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시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거기에서는 상호의존이 창피한 일이 아니고 위안과 즐거움이 되는 사람과 사람의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당신은 압축 근대화 과정에서 국가와 자본이 결탁해서 일으키는 변화의 속도에 뒤처져버리는 것은 아닐까 하고 한국인들은 두려워하고 있다고 썼었습니다. 그 속에서 ‘반자본주의 운동’이 일어나길 기대한다면 뜬금없는 몽상일까요? 고령화 사회 이야기를 (남자) 경영자 단체에서 할 때마다, 똑같은 패턴의 반응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 참, 무섭군요"라고 그들은 두려운 기색을 보이며 그리곤 이렇게 말하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의지하게 되는 것은, 결국 돈이네요."
이런 말을 들을 때마다 참, 남자라는 병은 죽을 때까지 고쳐지지 않아 하고 저는 한숨을 내쉬며 이렇게 대답합니다.
"돈만 지불한다고 반드시 질이 높은 서비스를 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것이 바로 개호인 것입니다."
실버산업 사반세기의 교훈은 가격과 서비스 상품의 질이 연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자신이 정말로 원하는 서비스는 자신이 만들어 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시민의 손으로 사업체를 만들어 온 사람들의 신념이고 실천이었습니다.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은, 어차피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 철저한 자본의 흐름에 농락당하는 것이지요. 그 속에서 보는 것은 돈으로는 살 수 없는 것의 가치입니다.
아무튼, 청소년들이 새로운 모험에 뛰어들듯, 우리들도 포스트모던한 노후라는 모험을 향해 출항하기로 할까요? - 우에노 치즈코의 여섯 번째 편지-250쪽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계에서 말한다 - 당비생각 02
우에노 치즈코.조한혜정 지음, 사사키 노리코.김찬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4년 7월
품절


때때로 "지금의 한국은 일본의 1980년대와 비슷하다"는 말을 듣습니다. 1980년대의 일본에서도 종종 미국의 여성학 연구자가 "지금의 일본은 꼭 1960년대의 미국과 비슷하군요"라고 말했습니다. 당신의 편지에서 구미나 일본의 학생운동의 세대적 경험은 한국에서는 1980년대에 대응한다고 쓰고 있지만, 실은 나는 그런 식으로 말하는 것을 신뢰하지 않습니다. 어느 사회든 글로벌한 동시대성 속에 놓여 있습니다. 어느 사회가 ‘개발도상’으로 보이는 것은 언젠가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서가 아니라, 선진국이 선진국이기 위해서 ‘저개발’의 상태에 멈추게 한 결과에 다름 아닙니다. 양자는 동시대의 양면을 살고 있습니다. 전자가 언젠가 후자처럼 되는 것이 아니고, 전자는 후자와 동시에 생겨나 그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입니다. - 우에노 치즈코의 네 번째 편지-157~158쪽쪽

내가 그간의 편지에서 ‘시차’를 강조한 것은 실은 문화적 상대주의적 시각을 무시해서라기보다 진화론적 시각을 강조해서입니다. 물론 이때의 진화는 ‘진보’를 말하지 않으며, 또한 ‘단선 진화’를 뜻하지도 않습니다. 내가 강조한 것은 복합적인 사회 진화의 양상, 특히 물적 조건에 기반을 둔 사회 분석의 차원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다수가 대학에 가는 것이 가능해진 경제적 조건과 그렇지 않은 것 사이의 차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집안에 한 대의 텔레비전만 있는 경제 수준에서는 온 가족 성원들이 한데 모여서 드라마를 보게 되고, 그때 그들은 스토리를 중시하는 영상읽기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각자 텔레비전을 갖게 된 상황에서 개별화된 관객은 스토리나 계몽주의적 메시지가 아니라 패션과 풍경과 음악 등 디테일을 ‘소비’하는 사람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가 ‘시차’라는 개념으로 강조하려고 한 것은 바로 경제적 조건을 충분히 고려한 이러한 경제, 정치, 문화 간의 상동성을 중시하자는 뜻이었지요.
(중략)
내가 ‘시차’라는 개념 아래 부각시키려 한 것은 ‘동시대성’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한 ‘비동시성의 동시성’입니다. 이제는 ‘동시성’과 함께 ‘비동시성’이 강조되어야 할 때인데, 그때 우리는 국가 간의 비동시성만이 아니라 국가 내에 존재하는 비동시성을 주목해야 할 것이고, 세계화된 세상에 일고 있는 다종다기한 ‘비동시성의 동시성’에 주목을 할 필요가 있을 겁니다.
- 조한혜정의 네 번째 편지-171~173쪽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6-03-06 09: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에노 치즈코의 네 번째 편지 좋군요.
저도 그런 식으로 말하는 것 좋아하지 않습니다.^^

숨은아이 2006-03-06 10: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에노 치즈코가 말한 "동시대의 양면"이란 말에서 새삼 깨달았어요. 그러나 조한혜정 선생이 말한 "다수가 대학에 가는 것이 가능해진 경제적 조건과 그렇지 않은 것 사이의 차이"에도 공감합니다. 우에노 치즈코의 말은, 후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소득 수준이 전혀 높아질 수 없다는 뜻이 아니라, 이른바 선진국과 다른 나라들 사이의 소득 격차는 계속된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야겠지요.
 
경계에서 말한다 - 당비생각 02
우에노 치즈코.조한혜정 지음, 사사키 노리코.김찬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4년 7월
품절


작년에 내가 「시민권과 젠더」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국가는 포괄귀속을 요청하는 공동체가 아니라, 부분귀속을 전제로 하는 집단이라고 생각하면 어떨까"라고 발표하자 보수논객으로 알려진 젊은 남성이 "그런 국가를 위해서는 죽을 수 없다"라고 논평한 적이 있습니다. "어머나, 잘 알고 계시는군요"라는 게 나의 감상입니다. 우익적인 멘탈리티를 가진 사람이 이런 논의의 핵심을 역설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는 것 같지요?

‘몸을 바칠 정도의 조국’을 갈망하는 것보다 본래 "국가라는 것은 목숨을 바칠 정도의 것은 아니다"라고 생각하면 어떨까요? - 우에노 치즈코의 마지막 편지-38~39쪽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