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사회 - 증오는 어떻게 전염되고 확산되는가
카롤린 엠케 지음, 정지인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 혐오범죄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여성혐오라는 낯선 표현 때문에 처음에는 거북했지만 왜 '혐오(hate crime)'로 표현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공부할 수록 명확해진다.

다소 강한 단어인 '혐오'를 통해 나의 사소한 행동, 차별이 당사자에게는 얼마나 크게 다가 가는지 알려주기 위해서다.


작가 엠케가 성소수자이기 때문에 특히 책에서는 성소수자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만약 한국사람이 썼다면 여성혐오가 더 부각되었을 것이다.

이렇듯 혐오는 그 사회적 맥락과 문화와 매우 밀접하게 닿아 있다.


혐오를 대응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유롭고 열린 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217쪽) 현대의 세속적이고 다원적인 유럽은 공격을 받더라도 현대적이고 세속적이며 다원적이기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 사람들 사이의 유사성을 더욱 중시하는 연대적 동맹이 필요하다. (217) 

실제로 복수로 존재한다는 것은 모든 사람들이 각자의 개인성과 독특함을 서로 존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25)


증오와 폭력은 만들어진다. 특히 IS의 사례를 통해서 얼마나 IS가 모순적인지 알 수 있다. IS는 자기인식으로 스스로 국가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동시에 그 국가는 기존 국민국가들의 국경을 존중하지 않는 잠재적으로 열린 영토로서 구상된 것이다. IS의 증오에서 제일 먼저 평등주의를 주장한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으며 피부색도 사회적 출신도 아무 의미 없고, 고등학교를 중퇴했든 졸업했든, 사담 후세인 치하 이라크 군대에서 장교를 지낸 이든 군대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이든 상관없다. 가담하는 자에게 개방성을 주장하지만 동시에 더 높은 지위도 약속한다. 언제나 2등 시민으로 대접받아서 사회로부터 배제되었다고 느끼는 사람, 자유와 평등과 형제애라는 개념이 빈말로밖에 느껴지지 않는 사람, 실직 상태거나 범죄적 환경 속에 있어 직장도 구하지 못하고 하릴없이 나날을 보내는 사람 등에게 그런 약속은 무척 희망적으로 들릴 것이다. 그들은 모두를 환영한다고 주장하는 공동체 흉내에 매혹되지만, 사실 그 공동체는 너무나 반개인적이고 권위적인 질서로 조직되어 있어서 결국 모든 사람에게서 각자의 고유함을 앗아가 버린다. (2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례한 사람에게 웃으며 대처하는 법 (양장 특별판) - 인생자체는 긍정적으로, 개소리에는 단호하게!
정문정 지음 / 가나출판사 / 2018년 1월
평점 :
품절


시의적절한 책이다. 나도 사회생활 하면서, 아니 심지어 친인척 간에도 참 못된 사람이 많다라고 생각했고 나만의 대처 노하우도 있지만 작가의 대응방식도 참고할 만 하다.

무엇보다 무례하게 군 사람에게 바로 그 자리에서 "나 불편하다. 그건 부적절한 발언이다"라도 알려주는 게 필요한 것 같다.

요즘 갑질에 대해 뉴스도 많이 나오고,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일수록 뇌 구조가 바뀐다는 연구가 나온다는 등 사람이 사람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우리사회에서 어느 정도 용인해야 하는지 이제서야 논의가 되는 것 같다.

신분 사회가 아니라고 하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는 불평등, 상하관계, 차별 등이 존재한다.


물론 처음부터 무례한 사람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초반에 이를 제지하지 않는 것이 더 큰 문제인 것 같다.

공감이 높은 사회, 역지사지가 당연한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저자가 언급했듯이 '당당하다, 기가 세다, 당차다 등' 주로 여성에게 사용한 단어들을 더 이상 쓰지 않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당당하고 당찬 여성들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 이런 것이 단지 개인적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적 문제이기도 하다. 열심히 일해도 성공할 수 없거나 의식주가 해결되지 않는 사회에서는 공감대를 느끼기엔 점점 어려워진다. '불행하면 남에게 관심이 많아진다' 폭언, 일베, 혐오 등 모두 같은 원인이다.근본적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이런 행위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하는 것도 필요하다.


물질적 빈곤보다 더 고통스러웠던 것은 안정감과 소속감을 느낄 대상의 부재, 목표의식의 부재라는 정신적 빈곤이었다. 밴스 <힐빌리의 노래>, 49쪽

어른이 되어서 좋은 것 중 하나는 싫은 사람을 덜 봐도 된다는 것과 친구에 덜 연연하게 된다는 것이다. 좋은 사람을 만나며 깊이 있는 관계를 맺기도 하고 나쁜 관계 속에서 내가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도 관찰해보니 행복감은 관계의 양이 아니라 관계의 질이 결정한다는 걸 알게 되었다. 깊이 있는 관계는 함께한 시간과 비례하는 것이 아니다. - 202쪽

예전에 열렬히 좋았던 것이 시시해지기도 하고 취향도 변하듯 사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일 수밖에 없다. 인생의 주요 시기마다 목표와 우선순위가 바뀌기 때문에 같이 있고 싶은 사람도 계속 바뀌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인주의자 선언 - 판사 문유석의 일상유감
문유석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알쓸신잡3에서 유시민 작가가 우리나라 집단주의를 비판하고 개인주의를 강화해야 한다는 말이 기억난다. 

100프로 동감한다. 사람들이 도시에 사는 이유가 뭘까? 바로 농촌사회의 지나친 공동체주의, 집단주의 때문 이닐까? 인간은 어느 정도 독립된 공간/익명성이 필요하다. 관계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진정한 연대는 바로 개인주의에서 나온다. 합리적 개인주의는 공동체에 대한 배려, 사회적 연대와 공존한다. 자신의 자유를 존중받으려면 타인의 자유도 존중해야 하기 때문이다. 톨레랑스, 즉 차이에 대한 용인, 소수자 보호, 다양성의 존중은 보다 많은 개인들이 주눅들지 않고 행복할 수 있게 하는 힘이다. (37쪽)


원래 행복의 원천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인데 집단주의 문화가 오히려 불행의 원천으로 작용한다. 요즘은 집단주의가 많이 줄긴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70%는 넘는 것 같다. 제발 개인의 다양성을 존중해주자.


최근에 <카운터스>라는 다큐를 봤다. 일본의 혐한 분위기에서 한 청년의 말이 떠오른다. "우리 친하게 지내요"

사람 사는 거, 복잡하지 않다. 서로 다르더라도 인정하고 간섭하지 않고 그냥 있는 그대로 놔두면 된다. 

왜 굳이 반감을 드러낼까? 


"제발 우리 서로 사이좋게 지내요. 어차피 한동안은 이 땅에 다 같이 발붙이고 살아야 하잖아요. 그러니 서로 노력을 해나가자고요"


작가는 판사이기 때문에 그 어떤 직업보다 중립적이어야 하고 쉽게 말을 믿지 않고 비판적이어야 한다. 

작가의 가치관과 나의 가치관이 한 80% 일치하는 것 같다.

앞으로는 이런 개인주의가 당연한 것처럼 인식될 수 있게 이와 같은 책이 안 나오면 좋겠다. 그런 세상에 살고 싶다.



누구나 자기 몫의 아픔을 안고 살고 있다. 13쪽
"네 능력은 뛰어난 것에 있는 게 아니다. 쉬지 않고 가는 데 있어"
개인의 행복을 위한 도구인 집단이 거꾸로 개인의 행복의 잣대가 되어버리는 순간, 집단이라는 리바이어던은 바다괴물로 돌아가 개인을 삼킨다.
우리에게 부족한 것은 근대적 의미의 합리적 개인주의
한 개인으로서는 위축되어 있으면서도 익명의 가면을 쓰면 뻔뻔스러워지고 무리를 지으면 잔혹해진다.
인간이 가장 행복을 많이 자주 느끼는 원천은 인간이다. 인간은 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가장 많은 쾌감을 느끼는 뼛속까지 사회적인 동물이었던 것이다. 51쪽
북미나 유럽 국가들의 행복감이 높은 이유는 높은 소득보다 개인주의적 문화 때문. 행복의 원동력은 넘치는 자유, 타인에 대한 신뢰, 그리고 다양한 재능과 관심에 대한 존중이다(56쪽)
개미연구자 에드워드 윌슨 : 이론은 훌륜한데 종이 틀렸다.

황현산 : 미학적이건 정치적이건 한 사람이 지닌 감수성의 질은 그 사람의 현재가 얼마나 두터우냐에 따라 가름될 것만 같다.
세 황금문 : 그것이 참말인가? 그것이 필요한가? 그것이 친절한 말인가?
실제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은 코끼리를 먼저 정확히 이해하고, 그것과 맞서 싸우기보다 슬쩍 다른 길로 유도하는 방법을 택했다. 거창하고 근본적인 해결책만 고집하지 않고 당장 개선가능한 작은 방법들을 바로 적용했고 작지만 끊임없이 균열을 일으켰다. (163쪽)
조너선 하이트 : 사람들은 도덕적 판단을 하는 데 있어 자신이 속한 사회집단의 의견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함.
68혁명 금지하는 것을 금지하라
저항의 목적인 휴머니즘보다 저항 그 자체를 더 신성시하는 근본주의에 빠져? 24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학교 | 일 - 일에서 충만함을 찾는 법 인생학교 3
로먼 크르즈나릭 지음, 정지현 옮김 / 쌤앤파커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나에게 현 상황에서 딱 필요한 책이다.

사회생활 갓 첫발을 디딜 때 나에게 다짐한 내용이 있다. 이 업계에서 10년을 일해보자. 그러면 전문성이 쌓이겠지... 

그게 화근이었 나보다. 10년이 지나고 나니 앞으로 어떻게 해야 될지 모르겠다. 물론 전문성은 쌓였다. 재미도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 이 일을 계속 하고 싶은 마음이 없다. 그래서 요즘 가장 고민인 것이 이직과 일. 

노무사 공부를 해볼까 해서 시작했다 2차 떨어지자 포기...내 길이 아닌가보다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설령 자격증을 딴다고 해도 영업을 할 자신이 없다. 그래서 요즘 새로 시작한게 번역공부.  


무엇보다 '가장 몰이이 잘된 일은 무엇인가?'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이 저자가 얘기했듯이 가지치기 프로젝트를 시도 중이다. 회사를 다니면서 번역 공부를 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이일이 나에게 맞는 것 같다. 물론 제대로 된 출판, 영상번역을 하진 못했지만.


결론적으로 21세기에는 최초로 인간은 자신에 맞는 직업을 창출할 기회가 생겼다.

우리에게는 인간이 경험한 이래 최초로 인생을 알에 맞추는 대신 인생에 맞춘 일을 창출할 기회가 생겼다. 이 기회를 놓친다면 미치고 말 것이다. - 경영사상가 찰스 핸디

그리고 천직은 찾는 것이 아니라 키워나가는 것이다.

나의 천직을 키우기 위해 이제 부터 시작이다! 


먼저 행동하고 나중에 고민하라


사람은 긍정적인 자극보다 부정적인 자극에 훨씬 더 민감하다. 우리의 기분을 좋게 해줄 수 있는 것들은 한정돼 있지만, 나쁘게 만들 수 있는 것은 무궁무진하다. - 심리학자 아모스 트버스키와 대니얼 카너먼

불안을 극복하려면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한다:
1. 두려움의 심리, 즉 직업진로를 바꾼다는 생각이 왜 불안을 일으키는지 그 이유를 알아야 한다.
2. ‘근본적 안식기‘ ‘가지치기 프로젝트‘ ‘대화 리서치‘처럼 실험적인 프로젝트로 잠재적인 자아를 직접 시험해봐야 한다.
3. ‘몰입‘은 의미, 자유와 함께 일의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는 요소다.

여러 분야에 널리 도전해서 성취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동시에 여러 직업에 도전하는 ‘르네상스 제너럴리스트‘와 한번에 하나씩 차례로 시도해보는 ‘연속 스페셜리스트‘가 그것이다.

순간의 안전을 얻기 위해 자유를 포기하는 자는 자유도 안전도 누릴 자격이 없다 - 벤저민 프랭클린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때일수록 사람들은 안전한 직업을 선호한다.
노동을 하지 않으면 삶은 부패한다. 그러나 영혼 없는 노동은 삶을 질식시킨다. - 알베르 카뮈
사람은 누구나 봉사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위대해질 수 있다 - 마틴 루터 킹
살아야 할 이유가 있는 사람은 그 어떤 것도 견딜 수 있다. - 니체
인간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고통이 적은 상태가 아니라 자신에게 가치 있는 목표를 위해 노력하고 투쟁하는 것이다. - 빅터 프랭클

천직은 성취감(의미, 몰입, 자유)를 주는 직업일 뿐 아니라, 매일 아침에 일어나야 할 이유가 되는 명확한 목표나 목적이 들어 있는 직업이다.

일 중독 판별법:
1. 점심을 먹으면서 메모를 한다든지 한꺼번에 두 세 가지 일을 하는가?
2.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보다 일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Stranger (Paperback) - 『이방인』영문판
알베르 카뮈 지음, Ward, Matthew 옮김 / Vintage / 198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이방인 번역 논란 글을 본 적이 있다.

그래서 요즘 번역으로 읽어보기 전에 원문을 읽어보고 싶었다. 물론 불어를 못하기 때문에 사실 원문은 못읽고 영어로 읽고 싶었다.

하지만 놀랍게도 영어번역도 새로 나왔단다.

번역도 시대에 따라 기류가 변하나 보다. 새로 번역한 이방인은 의역보다 직역에 보다 가깝게 했다고 한다. 

미국의 번역은 Stuart Gilbert 의 "Britannic" 버전이라고 한다. 그의 번역 중에서 이 책의 번역과 다른부분:

Il  était avec son chien. As usual, he had his dog with him -> He was with his dog.


참고 : "섬세한 번역으로 새로 타오난 카뮈의 '이방인' " 기사 바로가기 :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0629010015758



                            


알베르 카뮈(1913-1960) 노벨문학상 수상자

Mersaults는 친구를 협박하는 아랍인을 살해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장례식에서 울지 않았다고 도덕적으로 문제있는 인간으로 낙인 찍혀 결국 사형에 처해진다.

내용은 단순하다. 이 책이 왜 그리 유명할까?

결국 이방인은 뫼르소를 말하는 것 같다. 그는 사회적으로 용인된 행동을 전혀 하지 못한다. 물론 그가 사람을 살해한 것은 사실이다. 그것도 총 1발이 아닌 4발을 쏜다. 그를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어쩜 그를 사형하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른다.

결국 이방인에서 남는 것은 그 유명한 첫 구절: 


Maman died today, 그리고 It was because of the sun.



Camus acknowledged employing an American method in writing the Stranger. short, precise sentences; the depiction of a character ostensibly without consciousness; and in places, the tough guy tone. Hemingway, Dos Passos, Faulkner, Cain
In the second half of the novel Camus gives freer rein to a lyricism which is his alone as he takes Meursault, now stripped of his liberty, beyond sensation to enforced memory, unsatisfied desire and finally to a kind of understandi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