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개불처럼 또 한 편의 글을 썼네요. 시간을 들여서 심도 있게 동서양의 논구술 역사를 정리해 봐야 되겠다는 생각을 잠깐 했습니다.^^

 

논구술의 역사 - 서양


태초에 ‘로고스’가 있었나니.


서양의 지성사는 빛나는 이성을 통해 신화적 세계관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대립과 반발을 통해 구습을 타파하고 혁신적인 사고방식을 자꾸 발굴해냅니다.


대화의 첫 번째 주인공은 소피스트입니다. BC 5세기 무렵부터 BC 4세기에 걸쳐 그리스에서 활약한 지식인들의 호칭으로 이들이 주로 가르친 과목은 ‘변론술’이었습니다. 즉 '일신(一身)을 위해서나 국가를 위해서 선(善)을 도모하고, 언론이나 행위에서도 유능한 사람이 되는 길'을 가르치는 것이죠. 하지만 그러나 그들이 실제로 가르친 것은, 개인이나 국가에 대해 선이란 이런 것이라는 지혜가 아니라, 선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면서 선한 자인 체하는 기술만을 가진 데 불과했습니다.


진정한 의미의 ‘대화’는 소크라테스와 그의 제자 플라톤에서 시작합니다. 특히 플라톤은 그의 책을 모두 대화 형식으로 썼으니까 논구술의 혼합이죠. 많은 것을 알고 있다고 자부하는 사람을 차아가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착하다는 것은 무엇인가, 용기란 무엇인가’에 관하여 묻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전문 분야를 들먹이며 지식을 자랑하지만 결국 ‘아직도 그것은 모른다’라고 하는 무지(無知)의 고백을 하게 됩니다. 결국 진정한 철학이란 ‘물음’에서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서양에는 예전부터 살롱(salon)이란 문화가 정착되었습니다. 귀족 부인들이 일정한 날짜에 자기 집 객실을 문화계 명사들에게 개방, 식사를 제공하면서, 문학이나 도덕에 관한 자유로운 토론과 작품 낭독 및 비평의 자리를 마련하던 풍습을 말하죠. 사랑 ·정념 ·재능 ·명예 ·야심 등 인간 본성에 관한 문제들을 즐겨 화제로 삼아 생각과 말을 세련시키던 살롱은 점점 인간성과 도덕에 관한 심도 있는 성찰이 주를 이루는데, 이런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을 모랄리스트라고 합니다. 서양의 토론 문화가 크게 활성화될 수 있었던 이유도 바로 살롱에서 연유하는 바가 큽니다.


서양에는 오래 전부터 에세이(essay)라는 장르가 있었습니다. 이것을 우리말로 수필(隨筆)이나 산문(散文)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에세이는 ‘격식을 갖춘 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로 이해하자면 논문이나 비평에 가깝습니다. 사고를 논리적으로 전개하면서도 창의적인 표현력과 문장력을 자랑합니다. 여전히 서양에서는 ‘에세이’를 시험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서양의 학생들도 ‘논술 시험’을 보는 걸 알았습니다. ‘에세이 시험’이 우리나라로 따지면 ‘논술 시험’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우리만 논술 시험 본다고 불평할 것은 아니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 무자게 많은 글을 써대네요. 이건 좀 고등학생들이 보기 어려울 것 같은데... 어떠세요? 

 

논구술의 역사 - 동양


논구술의 핵심 키워드는 ‘토론’입니다. 동양은 기나긴 왕권 체제를 유지해왔기 때문에 권위주의적일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동양만큼 활발하게 토론문화가 형성된 곳은 없습니다. 동양은 수천 년 동안 토론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춘추전국시대를 지나면서 봉건적 체제는 완전히 무너지고 새로운 정치체제를 만드는 것이 커다란 과제였습니다. 난세에 영웅들이 많이 나온다는 이야기 많이 들어보셨죠.


세상을 구할 방도를 찾아 오랜 시간 고민하고 수련한 군자들이 세상을 주유하며 올바른 군주를 찾습니다. 그들의 머리에서 법가, 유가, 도가 사상이 굳어졌으며, 정치체제는 강력한 중앙집권으로 변모해갑니다. 진(秦)․한(漢) 제국의 탄생에는 그들의 역할이 절대적이었습니다. 그 중에는 권모술수와 임기응변에 능한 전략가도 있었고, 정도를 걷는 도덕주의자도 있었습니다.하지만 국가의 안위를 걱정하고 온몸을 바친 것은 다르지 않습니다. 유세의 성패 여부는 군주를 설득해내는 능력에 있습니다. 군주의 비위에 거슬리면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었다고 하니 구술 실력이 쟁쟁했다고 할 수 있겠죠. 그 당시에도 구술 시험이 있다면 이들이 1등으로 합격했을 것입니다.


이제 우리나라로 가볼까요. 논술의 대표적 시험은 ‘과거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시험은 고려 광종은 958년 중국 후주에서 온 쌍기라는 사람이 제의해 처음으로 실시되었는데, 유교사상에 관한 생각과 능력을 지닌 인재를 등용하여 능력 있는 인재를 고루 등용하겠다는 취지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때 보는 시험은 경전을 얼마나 잘 외우는지를 보는 것이 생진과(生進科:小科)였습니다. 그런데 주자학이 정식 교과서로 채택되면서 천편일률적인 사고방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과거시험에는 또 다른 종목이 있으니 그것은 우리가 보는 논술처럼 시제(試題)를 주고 날이 어둡기 전까지 써서 제출하는 시험이었습니다. 시험의 주제는 주로 국가적 문제에 대한 진단이나 시문(詩文)을 창작하는 것이었습니다. 정치인의 덕목은 현실 문제에 대한 명확한 입장과 서민들의 애환에 대한 세심히 아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시(詩)를 모르는 사람은 정치가의 자질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온갖 고전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오늘날의 논술 성격과 거의 일치합니다.


시험의 마지막 관문은 시무책(時務策)이었습니다. 이는 "당면한 정치 현안에 대한 국가정책(策)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묻는 시험, 곧 국가의 나아갈 바를 묻는 정치적 관문이자, 왕의 정치 파트너를 고르는 방식이었습니다. "지금 가장 시급한 나랏일은 무엇인가"(광해군)", "처음부터 끝까지 잘하는 정치란 어떤 것인가"(중종), "인재를 어떻게 구할 것인가"(세종), "정벌이냐 화친이냐"(선조) 등의 질문에서 볼 수 있듯, 책문에서 왕은 당대의 문제를 솔직하게 드러내며 절박하게 물었고, 이에 젊은 인재는 정치적 목숨을 걸고 정면으로 답했습니다. 전국시대의 유세가를 떠올리는 대목입니다. 이와 같은 오래된 기원을 안고 있는 시험이 논구술이므로, 여러분들은 이미 논구술 유전자를 타고났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번에 우리 회사에서 '논술캠프'를 엽니다. 그에 대한 여는 글로 써봤는데, 고등학생들이 보기에 어렵진 않나요? 해서 올려 봅니다. 좋은 말씀 부탁드려요...^^ 

 

‘나’에서 ‘나’로 돌아오는 논술 여행



‘여행’은 ‘떠남’이자 ‘돌아오는 과정’입니다. 여행을 간 사람이 아주 떠나지는 않으니까요. 3일간의 논술 여행은 똑같은 일상 속에서 별 감흥 없이 지내던 ‘나’에서 잠시 벗어나는 경험이 될 것입니다.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 여러분의 인생으로 보면 결코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자신의 인생관과 공부법, 대입 전략, 사고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찾아올 것입니다. 공부는 머리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머리와 가슴으로 동시에 하는 것이라는 점을 알게 될 것입니다.

 

이 캠프를 끝내고 나서 생활로 돌아가면, 그 때의 나는 전과는 전혀 다른 ‘나’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여행을 통해서 느끼고 배우고 성숙한 나의 모습을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 전에 한 가지 약속할 것이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관습과 타성, 경직된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실, 감춰진 진실을 받아들일 준비를 하시기 바랍니다.


어떤 것이 새로운 사고방식인지 궁금하시다구요? 그것은 본질과는 상관없이 왜곡된 진실의 이면을 끊임없이 찾아내려는 노력을 통해서만 성취할 수 있습니다.


‘선각자(先覺者)’라는 말을 다 아시죠? 이는 ‘남보다 먼저 사물이나 세상일을 깨달은 사람’을 뜻합니다. 이 말은 ‘맹자’에 나옵니다.


하늘이 이 사람(선각자)을 세상에 나게 한 것은 ‘먼저 안[先知]’ 이로 하여금 ‘나중에 안[後知] 이’를 일깨우기 위함이며, ‘먼저 깨달은[先覺]’ 이로 하여금 ‘나중에 깨달은[後覺] 이’를 일깨우게 하기 위함이다.

天之生此民也 使先知覺後知 使先覺覺後覺也 《맹자》, <만장 상, 7장>


위 말에 의하면 ‘선각자’라는 말의 본뜻은 ‘나중에 깨달은 사람을 일깨우는[覺後覺] 이’입니다. 그렇지만 현대에 와서는 ‘먼저’라는 것에 치중하다 보니, 과열경쟁이 벌어지고, 사회양극화가 생깁니다. 돈을 많이 번 사람은 그보다 적게 번 사람들을 위해, 배움의 혜택을 많이 받은 사람은 그보다 못 배운 사람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힘써야 한다는 것이 ‘진정한 선각자’의 의미입니다.


세상에는 이처럼 ‘가려진 진실’이 많습니다. 이번 캠프는 ‘가려진 진실’에 대해 반성하고, 그 이면을 밝히는 일을 주로 하게 될 것입니다. 이번 캠프가 여러분의 참신한 생각을 일깨우는 기회의 장이 되었으면 합니다.

- 캠프 운영위원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너넷 생활을 오래하다보니, 즐겨찾기가 하나씩 둘씩 쌓입니다.

그런데도 많이 모자라다고 생각하는 까닭은 내가 원하는 주소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혹시 나의 즐겨찾기가 누군가 애타게 찾던 즐겨찾기가 될 수도 있겠죠.

그런 의미에서 '즐겨찾기 대 공개'를 제안합니다.

자신의 즐겨찾기 목록을 정리할겸 한 번 보여주세요.

혹시 내가 애타게 찾던 사이트가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제가 먼저 시작해볼게요.

내용구성

 우리말

국립국어원 : http://www.korean.go.kr/

한국언어정보처리연구실 : http://klpl.re.pusan.ac.kr/

우리말바루기(중앙) : http://news.joins.com/general/today/t_korean/list/general_today_t_korean_list.html

디지털 한글박물관 : http://www.hangeulmuseum.org/renew/

국어인증시험 : http://www.goket.com/

한국어능력시험 : http://www.klt.or.kr/

 

언론

경향(블로그) : http://blog.khan.co.kr/97dajak

분수대(중앙) : http://news.joins.com/opinion/opinionews/boon/list/opinion_opinionews_boon_list.html

프레시안 : http://news.joins.com/opinion/opinionews/boon/list/opinion_opinionews_boon_list.html

연합뉴스 : http://www.yonhapnews.co.kr/

민언련 : http://www.ccdm.or.kr/

교수신문 : http://www.kyosu.net/

중앙프리미엄 섹션(교육) : http://service.joins.com/asp/list_brand.asp?serv=brand§=bn_premium&cont=bn_pedu

비교만평(한겨레포청천) : http://bbs2.hani.co.kr/board/ns_euthanasia/List.asp?Stable=NSP_005066000&rp=43

오마이뉴스 : http://www.ohmynews.com/

조선일보 : http://www.chosun.com/

언론재단 : http://www.kinds.or.kr/

신문가게 : http://www.newspaper.co.kr/

스포츠투데이 : http://www.stoo.com/

iMBC : http://icash.imbc.com/FreeTicket/FreeTicketAgreement.asp

교육관련기사스크랩(서울시교육청) : http://www.sen.go.kr/

국정홍보처(언론종합) : http://www.allim.go.kr/warp/webapp/news/list?category_id=now_news

 

도서

알라딘(서재) : http://www.aladin.co.kr/blog/mylibrary/wmyroom.aspx

마북(책가격비교검색) : http://www.mabook.com/main2/index.html

광진정보도서관 : http://www.gwangjinlib.seoul.kr/Slima/

100권의 책(동아일보) : http://www.donga.com/fbin/moeum?n=book100$j_665

yes24 : http://www.yes24.com/Main/default.aspx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main.jsp

인터파크 : http://www.interpark.com/bookPark/html/book.html?mbn=gnb&mln=book

책과 지성(한겨레) : http://book.hani.co.kr/

돛단책(북크로싱) : http://sailingbook.com/main.html

북데일리 : http://www.bookdaily.co.kr/bookdaily/

헌책사랑 : http://www.usedbooklove.com/

예문서원 : http://www.yemoon.com/

한길사 : http://www.hangilsa.co.kr/

문학동네 : http://munhak.com/

반디엔루니스 : http://www.bandibook.com/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ypbooks/WebHome/crm/pointcrm.jsp

리브로 : http://www.libro.co.kr/books/index.asp?mall_id=1

 

영화

우리폴더 : http://www.wfolder.co.kr/

모나리오(영화자막) : http://www.monario.com/main/inside.asp

 

대학입시지원센터

경희대학교 : http://iphak.khu.ac.kr/

아주대학교 : http://www.iajou.ac.kr/

인하대학교 : http://admission.inha.ac.kr/

한양대학교 : http://www.hanyang.ac.kr/admission/index.html

홍익대학교 : http://ibsi.hongik.ac.kr/

서울대학교 : http://admission.snu.ac.kr/index.html

 

입시사이트

유니드림 : http://www.unidream.co.kr/

메가스터디 : http://www.megastudy.net/

라이브티쳐 : (접속불가, 망한 것 같음)

시사이트 : http://www.sisite.co.kr/

진학사 : http://www.jinhak.com/

이투스 : http://www.etoos.com/Home/

비타에듀 : http://www.vitaedu.com/

에듀스파(박문각) : http://www.eduspa.com/

EBSi : http://www.ebsi.co.kr/

랭키닷컴(웹사이트 분석 평가 전문) : http://www.rankey.com/index.php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학진학정보센터) : http://univ.kcue.or.kr/

 

사전

두산세계대백과사전 : http://www.encyber.com/index.html

구글영어번역기 : http://www.google.co.kr/language_tools?hl=ko

동아경제용어사전 : http://www.donga.com/dict/stock.html

매일경제용어사전 : http://dic.mk.co.kr/dic_index.html

 

금융

국민은행 : http://ibn.kbstar.com/quics?page=s_ibn

비씨카드 : http://www.bccard.com/

우리은행 : http://www.wooribank.com/

ok 케쉬벡 : https://doorman.okcashbag.com/user/auth/jsp/userLogin.jsp?sid=PORTAL&returnurl=687474703A2F2F7777772e6f6b636173686261672e636f6d3A38302F6d792F696e6465782e6a7370

인터넷지로 : https://doorman.okcashbag.com/user/auth/jsp/userLogin.jsp?sid=PORTAL&returnurl=687474703A2F2F7777772e6f6b636173686261672e636f6d3A38302F6d792F696e6465782e6a7370

 

학문

철학아카데미 : http://www.acaphilo.or.kr/

디지털문화예술아카데미 : http://www.artnstudy.com/main.asp

사이언스올 : http://www.scienceall.com/index.html

진중권의 ex libris : http://phya.snu.ac.kr/~sk_eah/ex_libris.htm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http://hanphil.or.kr/index.htm#

각종공모전(아이좋아학교) : http://www.iloveschool.co.kr/frame/frame.asp

연구공간 수유+너머 : http://www.transs.pe.kr/

대학생지식포털 : http://www.reportbay.com/Text/Main.asp

과갤(과학갤러리) : http://kr.dcinside13.imagesearch.yahoo.com/zb40/zboard.php?id=science

부릭 : http://gene.postech.ac.kr/bbs/zboard.php?id=job

싸이엥 : http://www.scieng.net/zero/zboard.php?id=now

국가기록유산(왕조실록 검색) : http://www.memorykorea.go.kr/

무한공유더디스크팟 : http://diskpot.chol.com/museum

문화재청 유구라 연재 : http://www.cha.go.kr/

 

국가ㆍ시민

경실련 : http://www.ccej.or.kr/

국세청 : http://nts.go.kr/

청와대 : http://www.president.go.kr/cwd/kr/index.php?_sso_id_=511cbbfeecbe43647ae2c2dc5df3cafd

인터넷참여연대 : http://www.peoplepower21.org/

인권운동사랑방 : http://www.sarangbang.or.kr/kr/new/index.php

한국소보원 : http://www.cpb.or.kr/

 

개인

책말ㆍ북C(氏) : http://bookc.net/

울회사(거인의어깨) : http://www.estudycare.com/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dajak9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6-01-11 1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너무 많아서 정리 못합니다 ㅠ.ㅠ

승주나무 2006-01-11 1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만두님// 특이한 사이트라도 올려 주시지요. 남들이 잘 모를 것 같은 그런 거요^^
 

쑥스~하지만, 알리는 게 좋을 것 같아서요.

 

다름이 아니오라, 일간지(주요 일간지 또는 '알 만한 일간지라고 해두죠^^) 교육 섹션에

 

논술 연재를 하기로 했어요.

 

제 원고라지만, 이름은 우리회사 논술연구소로 나가구요,

 

고료는 없어요

 

그보다 연재로 인한 광고 효과가 7~800만원 정도 된다고 하니,

 

뭐 몇 푼 달라고 할 수도 없고.. 홍홍^^

 

오늘 첫 번째 원고를 넘겼습니다. 8회가 나가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아요^^

 

곧 보시게 될 거에요

 

 

 효과적인 글쓰기를 위한 논술 clinic

회차

게재

주 제

내 용

필자

비 고

1회

1/10

논술 clinic

◊ 논술적 글쓰기 방법론

◊ 논술 쓰기의 고질적인 습관들

오승주

 

2회

1/17

논술 clinic

◊ 논술에서의 맞춤법과 띄어쓰기

   - 논술에 있어서의 띄어쓰기

   - 논술 맞춤법

   - 맞추고 띄어 써야 할 때

오승주

 

3회

1/24

논술 clinic

◊ 띄어쓰기∙맞춤법 clinic

   - 잘못된 띄어쓰기∙맞춤법 사례 분석과 clinic

오승주

 

4회

1/31

논술 clinic

◊ 글쓰기 반성 1

   - 우리 문장의 기본 유형 소개

   - 모호한 표현

   - 만연체 문장

   - 중언부언 

오승주

 

5회

2/7

논술 clinic

◊ 글쓰기 반성 2

   - 문장 호응

   - 현학적 표현

   - 구어체 문장

오승주

 

6회

2/14

논술 clinic

◊ 글쓰기 반성 3

   - 비효율적인 요약 방식

   - 상투적인 서술 행태

   - 불리한 청유형 서술 방식

   - 불리한 설의법(設疑法) 사용 방식

오승주

 

7회

2/21

논술 clinic

◊ 글쓰기 전문가의 잘못된 글쓰기

   - 전문저술가의 언어오염 실태

   - 위험천만한 글쓰기 용례

오승주

 

8회

2/28

논술 clinic

◊ 글쓰기 전문가의 잘된 글쓰기

   - 단순 간결한 글쓰기

   - 안정되고 여유 있는 전문 저술가의 글들

오승주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주미힌 2006-01-05 1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중요한걸 빼셨네요..
어디 일간지인데요? ㅎㅎ
궁금합니다.

하늘바람 2006-01-05 11: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궁금합니다

승주나무 2006-01-05 1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로 댓글이 올라왔네요.. 말해도 되는지 모르겠네요.. 회사 연구소 이름으로 나가는 거라. 암튼 그렇게 알아주시면 감사하구요..
중앙일보 강남 섹션입니다. 동네 섹션이죠.. 동네마다 섹션이 다르더라구요(이번에 처음 알았어요^^) 동네가 아니면 지면으로는 만나기 힘들지만, 인터넷판은 며칠 있다가 게재하드라구요..
아마 http://service.joins.com/asp/list_brand.asp?serv=brand§=bn_edu
여기로 나갈 것 같아요. 이제까지 연재물들이 여기로 나갔으니깐..
암튼 뜨거운 관심 감사합니당^^

하늘바람 2006-01-06 1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게 많은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2006-01-07 00:4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