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신자의 불행을 잘 알고, 평생 독신자의 불행에 대해서 생각한 카프카는 왜 독신자로 살아야 했을까? 첫 번째 이유는 글쓰는 자유를 위해서다. 펠리체 바흐어와 결혼생활을 하면서 카프카는 글쓰기를 계속 할 수 있을지 시뮬레이션을 여러 번 돌려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견적이 안 나왔다. 카프카의 글쓰기는 자유이자 생존인데 그것이 위협받을 바에는 차라리 독신자의 불행을 선택하는 게 나았을 것이다.
내가 궁금한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카프카는 약혼을 두 번이나 했느냐 하는 것이다. 약혼을 깬 것보다 약혼을 한 것이 나는 더 궁금하다. 카프카는 가족들과 관계가 좋지 못했다. 형제 관계도 별로였다. 마음의 집이 될 사람이 필요했을 것이다. 만약 결혼생활과 글쓰기가 공존할 수 있다면 약간의 자유를 희생하면서도 해볼만 했을 것이다. 실제로 카프카는 결혼생활과 글쓰기 생활이 공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이제까지의 연구와 비평은 카프카의 파혼에 집중한 반면, 두 번의 약혼에 대한 관심이 너무 적다. 영화 <올드보이>에서도 '왜 가뒀느냐?'가 아니라 '왜 풀어줬느냐?'는 질문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유지태가 말하지 않았던가?
두 번째 파혼 원인은 아버지와 연관된 것이 아닌가 싶다. 억압적인 환경에서 아버지의 강력한 통제력 하에서 별 저항도 하지 못하고 살았던 장남 카프카에게 결혼이란 것은 아버지의 영향력이 강해지는 것을 말할 것이다. 결혼은 펠리체 바우어와의 결합도 있지만, 카프카 집안과 펠리체 집안의 거래적 성격이 강하다면 글쓰기의 자유는 더욱 제약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결혼한 사람들은 알겠지만 '시댁의 구속'과 '처가의 구속'은 실체가 있는 구속이니까.
카프카는 마음의 집이 될 사람을 애타게 찾음과 동시에 독신자의 불행에 대한 공포를 느끼고 있었고, <독신자의 불행>에는 그런 감정이 상세히 묘사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