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본 것을 당신이 알게 됐으면
박연미 지음, 정지현 옮김 / 21세기북스 / 2015년 11월
평점 :
품절


♡ 내가 본 것을 당신이 알게 됐으면

 

 

 

 

『하나, 책과 마주하다』

​앞으로 4일 후인 12월 10일은 세계인권의 날이다. 전에 TV에서 인권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고나서 나 또한 이 날을 기억하게 되었다.

인권은 인간의 기본 권리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권리말이다.

하지만 이 인권조차 누릴 수 없는 나라가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북한이다. 우리나라와 가깝고도 먼 나라인 북한에서는 인권이 철저히 무시당하고 있다.

저자인 박연미는 탈북여대생이다.

​저자는 어린 나이였던 열세 살에 탈북하여 한국에 정착하며 살게되었는데 용기를 내어 평범한 대학생이였던 그녀가 인권운동가가 되었다.

그리고 그녀는 호소했다. 북한 주민들의 참상을. 작은 움직임마저도 억압되어 있는 북한인들의 이야기를 읽고있으니 말문이 턱턱 막혔다.​

그렇게 그녀가 북한 주민들의 참상을 알리니 가만있을 북한이 아니였다. 공식적 위협을 가하기 시작하며 그녀를 코너로 밀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녀는 꿋꿋하게 견디며 알리고 있다.

부끄럽지만 나는 솔직히 북한이 한 나라로 생각하지 않았다.

영토만 하나일 뿐이지, 사상과 제도도 다를 뿐더러 각각의 이름을 쓰고있고 지도자 또한 다르지 않는가!​

이러한 생각으로 북한을 한 나라로 생각하지 않는 이들도 분명 많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런데 그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줘야 한다.​ 그들은 정말 사람같지 않은 대접을 받으며 하루하루를 살고있다.

sbs에서 하는 희망tv같은 프로그램을 보며 저 멀리 아프리카같은 나라를 위해 많은 이들이 성금을 하고 도와주기 위해 관심을 갖는데

정작 한 나라였던, 북한에게는 너무 관심이 없는 게 아닌가싶다. 물론 정치적·사회적인 면에서 보면 괘씸한 면도 없지않아 등 돌리고 싶지만

북한 주민들만을 생각하면 전혀 그렇지않다. 그들도 우리와 같은 한민족이 아닌가!​

저자 또한 따뜻한 밥 한 그릇을 먹기 위해 북한에서 나왔다. 다른 것도 아니다. 그저 따뜻한 밥 한 그릇만이 너무나도 간절했다.

너무 배가 고파서 도망쳤다. 중국으로 그렇게 도망쳤어도 되려 고난의 연속이었다. 그렇게 그 시간부터 한국으로 오기까지의 2년은 그녀에게 있어서

지옥이였던 것이다. 하지만 한국에 왔어도 탈북자라는 꼬리표때문에 많은 차별을 받았다. 하지만 그녀는 그렇게 견디고 견뎠다.

물론, 내 주변 지인들 중 탈북자도 없고 탈북자를 만나본 적도 없다. 하지만 어떤 선입견과 편견때문에 그들은 철저히 무시당하고 차별받고 있다고한다.​

그저 우리가 따뜻한 말 한마디라도 걸어준다면 그들은 살아있음을 느끼지 않을까?

우리가 북한 주민들을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은 없지만 일단 그들의 이야기를 아는 것만으로도, 듣는 것만으로도 그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않을까싶다.

그들에게 관심을 기울여주는 것, 그것이 가장 필요한 일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