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 말은 합니다

저자 희렌최

다산북스

2021-08-26

자기계발 > 협상/설득/화술 > 화술





아무렇지도 않게 선을 넘는 사람들이 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호신의 언어다.

해결되지 못한 울분이 무력감으로 변해 나를 좀먹지 않도록 호신의 언어 기술을 익혀보자.



결국 나를 건강하게 지켜내고, 적당히 받아주면서 끊어내는 대답의 기술이 필요해진다. 하지만 어른에 대한 말대답이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사회에서는 성인이 됐다고 해서 갑자기 자신만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게 아니다. 어른 위엔 언제나 더 높은 어른이 있기 때문이다. 예의를 차려야 하는 분위기를 고려하여 나만의 대응 매뉴얼을 미리 만들어두지 않으면, 무례한 말에 즉각적으로 대처하기가 쉽지 않다. 이불 뒤집어쓰고 혼자 발길질하는 상황을 더는 맞지 않으려면 자신의 성향에 맞춰 상황별, 대상별 대화의 기술을 미리 익혀둬야 한다.



나에게 선플을 달 때, 나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인 자존감이 높은 척 말해볼 것을 추천한다. 스스로 자아 존중감이 높지 않다고 느껴질지라도, 내가 아는 사람 중 가장 자존감이 높아 보이는 사람처럼 나에게 말을 걸어보는 것이다.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받아들이며, 비록 마음이 편하진 않지만 자책을 하는 대신 다음을 기약하는 격려의 말을 해보자. 지금 떠오르는 부정적인 생각을 멈추고 이를 긍정적인 상황으로 대체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싫은 사람과 말을 해야 한다면, 꼬투리나 흠집이 잡힐 빌미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때 좋은 방법은 나의 호불호에 대한 언급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어떤 것을 좋아한다 또는 싫어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나를 괴롭히려는 상대에게 그 반대를 선택할 힌트를 주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상대가 마음먹기에 따라서는 나를 싫어하는 분야의 부서로 보낼 수도 있고, 내가 좋아하는 일만 빼놓고 제안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싫은 사람 앞에서는 나를 되도록 드러내지 않는 것이 좋다.



뻔하지 않은 표현으로 매력을 느끼게 하고 싶다면, 먼저 부사의 사용을 줄여보자. 부사 대신 이를 대체할 다른 표현을 넣으면 평범한 말에 개성이 생긴다. 예컨대 “너무 좋아”라는 표현에서 ‘너무’를 대체하는 나만의 언어를 만들어보는 것이다. 뭔가를 표현할 때 입이 쉽게 떨어지지 않을수록 부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부사를 점검해보고 일상적인 말 습관에서 이를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은, 말로 나만의 개성을 드러내는 데 꼭 필요한 과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