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 138억 년 전 빅뱅에서 시작된 별과 인간의 경이로운 여정 ㅣ 서가명강 시리즈 9
윤성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월
평점 :
♡ 빅뱅에서 시작된 별과 인간의 경이로운 여정,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
『하나, 책과 마주하다』
인간의 별의 먼지에서 탄생했고 우주의 진리는 평범한 인간 안에 있다. _윤성철 교수
해가 지고 어둑어둑한 밤이 찾아오면 마당에서 하늘을 쳐다본다. 어렸을 때부터 지금까지 똑같은 그 자리에서.
이유는 하나다. 새까만 도화지에 콕콕 박혀있는 별을 보기 위해.
지금은 고작 몇 개에 불과하지만 어렸을 때 시골 외할머니집 마당에서 하늘 가득히 빼곡하게 채워져있던 별무리들은 지금도 잊혀지지가 않는다.
별 보는 것을 이렇게도 좋아하니 자연스레 천문학에도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다. 천문학은 참 신비로운 학문이다.
양이 방대하는 것은 물론이고 단순하면서도 복잡하게 얽혀있는데 그 속에 결국 답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그래서 가끔씩 천문학과 관련된 도서도 읽곤 하는데 그 중에서 칼 세이건이나 스티븐 호킹의 책은 정말 추천한다.
그런 나에게 감동적으로 다가온 책이 있었으니! 바로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이다. 신비롭고 아름다운 천문학 강의를 수강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코스모스』같은 경우는 한 번 읽고선 이해가 되질 않아 곧바로 재독했었는데 두어번은 읽어줘야 그 맥락의 흐름이 이해가 간다.
(『코스모스』보다는 어렵지 않게 읽었지만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도 두어번은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엇보다 『코스모스』는 한 번 읽고서는 전공자가 아닌 이상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는데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는 천문학 입문자들에게 딱 제격일 것 같다.
고대인들에게 우주는 이데아의 영역이자 신의 영역이었고, 인간은 신에 의해 창조된 우주의 중심이었다.
그러나 실제 우주는 정적이고 영원하며 무한한 공간이 아니며, 인간은 우연히 만들어진 우주 변방의 생명체일 뿐이다.
과거에는 우주의 상태를 생명이라 여겼다면 지금은 그와 반대인 죽음으로 여기고 있다.
아마 시대의 흐름에 의해서 고대인들과는 정반대의 생각을 가지며 질문을 던지게 된 것 같다.
그런데 만약 우주의 상태를 죽음으로 전제한다면 하나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우주가 죽음의 공간이라면 어떻게 우주에서 생명이 탄생하는 기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일까?
분명 우주는 죽음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탄생의 공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뜨겁고 조밀한 점이었던 태초의 우주는 빅뱅을 통해 138억 년이라는 긴 역사를 시작한다.
빅뱅은 우연적이고 단회적인 사건으로부터 우주와 지구, 생명이 탄생했음을 말해준다.
올베르스의 역설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우주는 끝이 보이질 않는 영원하고 정적인 공간이다.
우주 속에서 태양이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을) 향하면 낮, 반대쪽을 향하면 밤이라 지칭한다.
왜 밤이 되면 하늘은 어두울까? _이러한 질문들이 바로 올베르스의 역설이라 말한다.
세워진 법칙 아래 모든 것이 옳은 것은 아니다.
뉴턴 또한 그의 우주관이 만유인력의 법칙과 모순되었었으니깐. (중략)
지금도 우주 내에서 크고 작은 별들이 탄생과 죽음을 반복하고 있다.
전문가들의 말을 빌리자면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다는데 지구 또한 영원히 지금의 상태로 남을지도 미지수이다.
우주 전역이 암흑으로 흩뿌려질 수도 있는 것이고 여느 별의 죽음처럼 지구 또한 멸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생명이란 무엇인가? 우주에는 외계 생명체가 존재하는가?
첨단 과학기술이 밝혀낸 우주의 신비 속에서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행성은 항상 별 형성 영역 주변에서 만들어지고 별 주변을 공전하기 때문에 행성을 별과 독립적으로 생각할 수 없다.
지구와는 달리 목성과 같은 행성들을 태양과 같이 구성원소들이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지구형 행성은 전혀 다르다.
수소, 헬륨 주 구성 요소인 강착원반의 물질들 중에서도 중금속이 많은 먼지들만 선택적으로 응집되어 만들어졌다.
즉,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으로 본디 만들어졌는데 저자는 인간 또한 우주 역사의 일부라 일컫으며 우리 몸은 빅뱅의 순간을 기억하는 우주 그 자체인 동시에 별에서 온 먼지라고 말한다.
이 모든 내용을 축약하고 축약해서 써보긴 했는데 재독하고나면 좀 더 풍성해질 것 같다. (다음 달에 재독하고선 또 리뷰를 쓸 예정이다.)
빅뱅은 왜 일어났는가? 우주 안에서 우리는 어디에 위치하고 있을까? 우리의 존재는 무엇을 의미할까?라는 원초적인 질문에 해답을 찾고싶다면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TV를 안 보다보니 몰랐는데 JTBC의 '차이나는클라스 강의'와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로 굉장히 유명하시다고 한다.
천문학은 단순히 우주와 그 천체의 모든 것을 다루지만 (철학적인 관점에서) 그 이상의 의미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쉽지 않은 내용이지만 어렵지 않게 읽은 것 같고, 이해한 것 같지만 일부만 이해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개인적으로, 서가명강 시리즈는 전부 읽어봐도 좋을 필독서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