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사람의 도리
이황 지음, 이광호 옮김 / 홍익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퇴계의 사람 공부』,퇴계 이황의 일화로 보는 사랑 그리고 관계

 

 

 

『인연』을 읽고 쓴 리뷰가 금, 토, 일 내내 네이버 메인에 올랐었다.
문득 생각해보니 사랑과 연애를 주제로 한 책도 많이 읽고 있는데 정작 리뷰를 올리지 못한 게 너무 많다. 그만큼 읽었던 책들 중 소개하고 싶은 책들이 정말 많다.
허나 읽는 속도가 쓰는 속도를 따라 가지 못해, 매달 스무 권의 리뷰를 쓰면 열권의 리뷰는 못 쓰고 지나간다.

책을 읽고 감상문을 쓸 때 휘리릭 읽고 휘리릭 써본 적이 한 번도 없다.
어린 시절부터 베어 온 습관 때문인 것 같은데, 읽을 때는 인상 깊은 부분들이나 다시금 상기하면 좋을 부분들에 포스트잇을 붙여야 하고 감상문(리뷰)을 쓸 때는 읽은 책을 곱씹으며 생각하고 또 생각한 뒤에 글로 한 줄, 두 줄 써내려가기 때문이다.

대개 의식의 따라 쓰는 글들은 대부분 글쓰기 노트에다 따로 적어놓는데 이번에 글쓰기 노트 절반 이상이 망가지는, 버려지는 일이 생겨 이제는 블로그에 써보려고 한다. 리뷰도 마찬가지로.
(하아, 너무 속상하다. 차곡차곡 썼던 명언이나 자작글, 자작시, 글귀부터 감상문까지.)

암튼 책결산하면서 썼던 것 같은데 2-3년에 한 번씩 재독을 한다.
이번 주말에는 『퇴계의 사람 공부』를 재독했는데 문득 퇴계 이황에 대한 이야기가 떠올라서 적어보려고 한다.

결혼을 한다는 것은 개인과 개인의 만남이자 집안과 집안의 만남이다.
국적을 떠나 각기 다르게 살아왔던 집안이 만나는 것이기에 부부관계에 문제가 없다 해도 양가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퇴계 이황은 김 해허와 결혼하게 된다. 그러나 부인인 김 해허는 둘째 아들 이채를 낳고 산후병으로 죽게 된다.
이후 퇴계는 서른 살에 권질의 딸을 부인으로 맞게 되는데 그녀는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지적 장애인인 권 씨는 자주 실수를 저질렀는데 퇴계는 언제나 그녀를 공경하게 대했다고 한다. 그렇게 원만하게 부부 관계를 유지하며 생활했지만 권 씨가 먼저 세상을 떠나게 된다. 이 때, (이전 부인이 낳은) 두 아들을 시켜 장례를 치르게 하고 친부모와 같이 적모복을 입게 했다고 전해진다.

또 다른 일화가 하나 있다.
퇴계에게는 일찍이 과부가 된 둘째 며느리 류 씨가 있었다.
어느 날, 며느리 방에서 울음소리가 들리기에 살펴보니 짚으로 만들어놓은 인형에 술상을 두고선 대화를 나누며 흐느끼고 있는 것이었다.
퇴계는 이 모습이 안쓰러워 류 씨에게 심부름을 시키고선 귀가가 늦어졌다는 억지를 부리며 내쫓게 된다. 그렇게 쫓겨난 류 씨는 친정아버지에게 건네라는 퇴계의 서찰이 생각나 읽게 되었는데 그 서찰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이것을 전하면 친정에서 너를 재가 시켜 줄 것이다, 행복을 바란다.’
몇 년 후, 퇴계는 임금의 부름을 받고 평양으로 가다가 날이 저물어 어느 집에서 머물게 되는데 저녁상도, 아침상도 그가 좋아하는 반찬으로 상이 차려지자 며느리가 그 집에 살고 있음을 직감했다.
다음 날, 집주인은 한양 가는 길에 신으라며 버선 두 켤레를 건네었고 며느리를 만나보고 싶은 마음은 간절했지만 잘 지내고 있는 것 같아 마음속으로 행복을 빌며 길을 떠났고 그렇게 떠나는 퇴계, 즉, 시아버지의 뒷모습을 보면서 며느리 류 씨는 눈물을 훔쳤다고 전해진다.

퇴계는 진정 본받아야 할 남편 그리고 시아버지상이 아닐까.
배우자를 그리고 며느리를 진정으로 아끼고 존경하였기에, 부인과 며느리 또한 퇴계를 존경하고 사랑하며 감사함을 느끼지 않았나 싶다.
서론도 길었고 어쩌다보니 퇴계의 이야기를 하며 ‘사랑과 관계’에 관한 이야기를 하게 되었는데 문득 생각나서 쓴 글은 아니다.
지난 주, 병원에서 진료받기 위해 대기 중이었는데 들으려고 한 건 아니었지만 옆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 중 한 여자가 그런 말을 했다.
‘요즘은 마음에 안 들면 이혼도 쉽게 하잖아. 이혼하면 돼.’
만남이든, 이별이든 선택지에 놓일 때 정말 신중해야 한다.
(물론 난 아직 부부라는 관계에 대해 잘 모르지만) 부부 관계를 떠나서 사람과 사람의 관계는 ‘서로간의 존중’이 밑바탕으로 깔려 있어야 한다.
그저 나보다 상대방에게 좋은 말, 좋은 행동만 바라지 말고 일단 나부터 상대방에게 좋은 말, 좋은 행동을 해야 한다.
또한, 나를 위해 상대방이 사소할지라도 무엇인가를 해주었다면 당연한 듯이 받아들이지 말고 진심으로 감사해야 한다.
서로 그런 마음을 가지고 행동한다면 그 어떤 관계일지라도 양쪽 다 행복하지 않을까?
(덧붙여, 감사한 마음은커녕 그저 상대방에게만 당연하다는 듯이 무조건적으로 바라기만 하고 나쁜 말, 나쁜 행동을 하는 관계는 끊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