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16년 4월
평점 :
문학은 금기와 판단을 넘어서는 영역이다. 쉽게 한 마디로 이야기할 수 없다. 김영하가 그랬던가. 간단히 몇 개의 문장으로 요약되는 소설은 좋은 소설이 아니라고. 그건 나쁜 소설이라고. 동의한다.
다른 사람의 판단에만 의지해서 살 수는 없지만, 다른 사람의 의견을 마냥 무시하며 살 수도 없다. 하루키에 대한 세간의 평가는 극과 극이다. 일본 문단은 한결 같이 하루키를 냉대하고 무시했지만, 하루키는 이제 일본을 넘어 아시아, 미국, 전 세계에서 출간이 기대되는 베스트셀러 작가 중의 하나가 되고야 말았다. 하루키를 좋아한다는 말을 작가들이 내놓고 하기 부끄러워했다는 얘기가 종종 들려오지만, 평일 오전 시간에 사람들을 광화문 교보문고에 줄세울 수 있는 작가로서 유일하다는 이야기 또한 들려온다. 이제는 노벨문학상도 기대해 볼 수 있지 않나,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결국 하루키의 작품이라는 건 고급 포르노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고 간단히 정리하는 사람도 있다(내가 좋아하는 사람, 강아무개). 하루키의 많은 작품 중에서 『상실의 시대』와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만 읽었기 때문에 잘 모르겠지만, 내가 느끼는 하루키만의 특이점은 성적인 면에 대한 묘사가 불편하게 읽힌다는 점과 우유부단한 남자 주인공이 매력적으로 느껴진다는 거다.
소설을 읽을 때마다 항상 주인공=작가,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는데, 이런 구절이 있었다.
일인칭 소설을 쓸 때, 많은 경우 나는 주인공인(혹은 화자인) ‘나’를 대략 ‘넓은 의미에서 가능성으로서의 나 자신’으로 인식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실제의 나’는 아니지만 장소나 시간이 바뀐다면 어쩌면 이렇게 되었을지도 모르는 나 자신의 모습입니다. 그런 형태로 가지를 쳐나가면서 나는 나 자신을 분할하고 있었다는 얘기인지도 모릅니다. (246쪽)
그렇다면, 우유부단하지만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소설 속의 남자 주인공들은 어느 정도 작가를 투영하고 있다 판단해도 되겠다. 그럼에도 나는 하루키의 소설 속 남자주인공들보다 하루키가 더 좋은데, 그건 이런 구절 때문이다.
이사크 디네센은 ‘나는 희망도 절망도 없이 매일매일 조금씩 씁니다’라고 했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나는 매일매일 20매의 원고를 씁니다. 아주 담담하게. ‘희망도 절망도 없다’는 것은 실로 훌륭한 표현입니다. 아침 일찍 일어나 커피를 내리고 네 시간이나 다섯 시간, 책상을 마주합니다. 하루에 20매의 원고를 쓰면 한 달에 600매를 쓸 수 있습니다. 단순 계산하면 반년에 3,600매를 쓰게 됩니다. (151쪽)
어쨌거나 작가에 대해 그런 ‘반세속적인 이상상’을 원하시는 분께는 참으로 죄송하지만, 그리고―누차 되풀이하는 것 같지만―어디까지나 나로서는 그렇다는 얘기지만, 육체적으로 절제하는 것은 소설가를 지속해나가기 위해서는 불가결한 일입니다. (194쪽)
하지만 그런 게 아니라면, 즉 당신이 (안타깝지만) 희유의 천재가 아니라 자신이 가진 (많든 적든 한정된) 재능을 시간을 들여 조금이라도 높이고 힘찬 것으로 만들어가기를 희망한다면, 내 이론은 나름대로 유효성을 발휘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의지를 최대한 강고하게 할 것, 또한 동시에 그 의지의 본거지인 신체를 최대한 건강하게, 최대한 튼튼하게, 최대한 지장 없는 상태로 정비하고 유지할 것―그것은 곧 당신의 삶의 방식 그 자체의 퀄리티를 종합적으로 균형 있게 위로 끌어올리는 일로 이어집니다. (200쪽)
사람이 어떻게 매일 똑같이 살 수 있겠나. 저번주에는 아이들 봄방학이어서, 중학생은 수요일부터, 초등생은 목요일부터 어제까지 장장 4-5일을 학교에 가지 않았다. 계획을 세워놓지 않아 여행을 가기에는 그렇고, 어버이날도 있고 해서 멀리 갈 수 없었다. 집에만 있으면 핸드폰과 뽀뽀하며 등으로 거실 바닥청소할 게 뻔하기에 나가기 싫다는 애들의 등을 떠밀고 밖으로 나갔다. 규칙적인 생활,이라는 게 쉽게 않다. 항상 소소한 일이 생기고, 신경이 쓰이고, 만나고, 헤어지고, 화를 내고 화해를 한다. 그 와중에도 자신의 일을, 정해진 시간에 꿋꿋히 해나가는 건 정말 대단한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소설가, 보통 생각하는 ‘예술가로서의 소설가’라기 보다는 ‘기술자로서의 소설가’로 느껴진다.
아침 일찍 일어나 커피를 내리고 네 시간이나 다섯 시간, 책상을 마주합니다.
에서는 장인의 품격을 느낀다. 책상을 마주하고 유투브에서 음악을 듣거나, 팟캐스트(요즘 나의 페이버릿은 ‘정봉주의 전국구’)를 듣거나, 책을 읽거나 하는 건 그래도 쉬운 일. 네 시간이나 다섯 시간 책상을 마주하고 앉아 보이지 않는 세계를 창조한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닐테다. 이 어려운 일을 ‘희망도 절망도 없이 담담하게’, 그것도 매일 해나간다는 건 정말 대단한 일이다. 쓴다는 것, 쓰고 있다는 그 사실 만으로도 칭찬받아야 한다.
쉽게 성공한 사람의 이야기는 재미가 없다. 주어진 것을 가지고 있어서, 가지고만 있어서 얻게 되는 기쁨이란 건 크게 부럽지 않다. 진구 구장에서 다카하시가 던진 제1구를 힐턴이 깔끔하게 띄워 올려 2루타를 쳤을 때, 하루키는 ‘그래, 나도 소설을 쓸 수 있을지 모른다’라고 생각했다. 소설을 썼고, 그리고 소설을 출판사에 보냈다는 사실조차 잊어버렸다. <군조> 신인상을 수상했고, 그리고 소설가가 되었다. 간절히 원하지 않았는데도, 마음을 다해 갈망하지 않았는데도 그에게는 이런 일이 이렇게도 쉬웠나. 나는 아주 작게 속으로만, ‘흥!’했다.
하지만, 그의 말 그대로 ‘소설이라는 장르는 누구라도 마음만 먹으면 쉽게 진입할 수 있는 프로레슬링 같은 것’이다(16쪽). 링에 오르기는 쉬워도 거기서 오래 버티는 건 쉽지 않다. 30년 이상 소설을 쓰고, 게다가 재미있는 소설을 쓰고, 자신을 투영한 주인공을 만들고, 그리고 아침마다 커피를 내리고 네 시간, 다섯 시간 책상을 마주하는 하루키가 특별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링에 오를 수 있었던 건 그가 잡은 행운이었을지 모르지만, 지금까지 현역으로 뛸 수 있는 건 불굴의 노력 때문이다.
이제 제일 좋아하는 구절이 남았다.
내가 오랜 세월에 걸쳐 가장 소중히 여겨온 것은(그리고 지금도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은) ‘나는 어떤 특별한 힘에 의해 소설을 쓸 기회를 부여받은 것이다’라는 솔직한 인식입니다. 그리고 나는 어떻게든 그 기회를 붙잡았고, 또한 적지 않은 행운의 덕도 있어서 이렇게 소설가가 됐습니다. 어디까지나 결과적인 얘기지만, 나에게는 그런 ‘자격’이 누구에게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주어진 것입니다. 나로서는 일이 그렇게 된 것에 대해 그저 솔직히 감사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내게 주어진 자격을 ― 마치 상처 입은 비둘기를 지켜주듯이 ― 소중히 지켜나가면서 지금도 이렇게 소설을 계속 쓸 수 있다는 것을 일단 기뻐하고 싶습니다. 그다음 일은 또 그다음 일입니다. (5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