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을 근간으로 한 판단이 '신화' 혹은 '오해'일 수 있다는 생각은 최근 읽은 버섯책 <세계 끝의 버섯>에서도 확인된다. 성교를 통해 번식가능한 '종'의 범위가 변화무쌍하게 변환되는 현상 혹은 현실. 큰 덩어리의 염색체 전체에 도입되는 이종교배와 완전히 새로운 것이 만들어지는 다배체화 또는 염색체 복제도 공생화의 일면이다.


성차. 인간과 인간 사이의 차이에 대한 논고.

성차는 특이한 종류의 차이이다. 왜냐하면 성차는 서로 다른 정체성들 사이의 차이로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의 공간(여기서 정체성 또한 발생한다)을 유일하게 열어주는 존재론적 불가능성(섹슈얼리티 속에 함축된)으로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성차 개념에 연루된 이러한 존재론적으로 결정적인 부정성은 정확히 이 성차 개념이 "젠더 차이" 개념으로 대체되면서 상실된 것이다.(75쪽)

그 뒤의 문단에서는 이를 설명하고자 하는데, 그게 더 어렵고. 하여 일단 여기까지 써 두고.

그 다음에 성차와 차이가 같이 등장할 때는 라캉의 도표와 함께 온다.

성차는 그 모든 차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배치하는 데 있는 차이이며, 이 모든 차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거세 기능으로서의 팔루스 기능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그 마이너스이다. (다음 도식은 라캉 2006c에서 가져온 것이다.) (101쪽)



이 도표에 대한 설명은 그만두고. (그만 둘 수 밖에 없음. 당최 무슨 말인지....) 오른쪽 아래 부분을 설명하는 부분에만 밑줄을 그어본다.

첫째, 여성은 "성적관계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 의미에서 타자"이다(Lacan, 1999, 81). 그리고 둘째, "타자의 타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성이 남성의 타자라도, 남성은 여성의 타자가 아니다. 타자의 타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 타자는 타자의 성으로서의) 타자 안에 포함되어 있다. 이것이 다음의 역설적 공식에 의해 표현된 것이다. "타자이기 때문에, 여성은 저 타자와 관계하는 것이다"(ibid). 다시 말해, 타자에 대한 관계는, 말하자면 그 타자 안에 포함된다. 그것은 타자의 "부분"이다. (106쪽)

당최 알 수 없는 말들을 다 뒤로한다. 나는 밑줄 긋는 나마저 기특해하기에. 이제 프로이트에게 간다. <죽음충동 1: 프로이트>.

죽음충동을 여러 각도에서 설명하던 저자 알렌카 주판치치는 물리학자 김상욱과 비슷한 주장을 이어간다. 즉, 생명은 무생물에 어쩌다 생긴 어떤 것으로서, 무생물에서 일어난 하나의 우연(189쪽)이라는 것이다. 우연적 상태, 무생물 자체의 단순한 도착이자 이상한 쾌의 상태로서 생명이 존재하는 것이며, "성충동들"은 쾌락원칙과 무생물로 회귀하려는, 삶과 죽음의 순환을 벗어나려는 유일한 충동들(192쪽)이라는 설명이다.

라캉의 설명으로 다시 돌아오자. 죽음이 생명보다 더 일상적이며, 생명이 죽음보다 더 ’특이한‘ 상태인 걸 이해하게 된다면, 죽음이 생명의 소멸, 생명의 마지막 목표가 아니라는 걸 이해하게 된다면, 죽음은 이미 생명 안에 내속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197쪽)

라캉이 ’모든 충동은 잠재적으로 죽음충동이다‘라고 했을 때, 성적충동의 중심에 위치한 것은 다름 아닌 죽음충동이며, 모든 부분적 충동들 역시 죽음충동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나는, 이런 뜻이라 이해한다.











『How to read 라캉』에서 슬라보예 지적은 '죽음 충동'을 이렇게 설명한다.

생명의 기괴한 과잉, 삶과 죽음, 생식과 부패의 (생물학적) 순환 너머에서 지속되는 '죽지 않는' 존속에 붙여진 이름인 것이다. (『How to read 라캉』, 259/555)

상상계-상징계-실재계는 너무 어려워보여 '죽음충동'만이라도 이해해 보려 했으나, 실패. 나는 실패하고 말았다. 너무 상심할 필요가 없는 것은 여기저기 검색하며 찾아본 바에 의하면, 프로이트의 제자들도 이 '죽음충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나는 마음이 매우 편안해지고.












죽음충동을 설명하기 전에 프로이트는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애정과 살의의 양가감정'에 대해 설명했다고 하는데, 그 부분은 우치다의 『유대문화론』 뒷부분에 자세히, 아주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언젠가, 마음이 여유롭고, 심심하고, 손이 근질근질해질 때, 찾아보리라 다짐한다.


아래 사진의 제목은 <엄마와 책>이다. 추석 연휴에 백화점에서 식사하고 커피 한 잔 마시러 갔을 때 찍었던 사진이다. 저 때는 도서관 책으로 읽고 있었고, 후에 내 책을 사기는 했지만, 왓이즈섹스 사진 중에서 나는 이 사진이 제일 좋다. 왓이즈섹스의 왓도 제대로 밝혀내지 못했지만(하긴 뭐, 누가 밝히라고 나한테 그런건 아니고 ㅋㅋㅋㅋㅋㅋ), 그래도 즐거운, 그게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뭔가를 조금은 배운, 배운 듯한 ㅋㅋㅋㅋㅋㅋ 유익한 독서 시간이었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쟝쟝 2024-11-03 20: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단발님 미안…. 저도 저 성차 공식 이해하느라 3일 공부했어요!! 성차와 젠더를 어케 믹스매치 할 것인지에 대한 결론을 내기위해 11월 들어서도 3일 째 아침마다 고민했는데… 그러다 보니 점심밥을 너무 많이 먹게 되고…. 냠냠!

단발머리 2024-11-03 20:40   좋아요 1 | URL
미안할 거는 없어요. 나는 내가 해야 할 일을...
저는 저 공식을 사진 찍어서 편집하고 올렸어요. 저 공식이 중요하다는 거는 알아봄 ㅋㅋㅋㅋㅋㅋㅋ
결론 나면 페이퍼 써주세요~~ 기대만발 개봉박두!

공쟝쟝 2024-11-03 21:0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 공식 사진... 진짜엄청 나이브하게 설명할게여. (사실 제가 제대로 이해했는지 모르겠어요. 근데. 설명을 해둬야지. 안까먹을 거 같아요. 완독한지3일지남) 일단 여남 모두 상징계질서 안으로 들어가야해여(언어를 가져야한다라고 거칠게 설명할게여) 그러면서 뭔가를 잃죠(결여=거세) 여남모두 거세라는 조건인디, 남자는 여자를 타자화해서 자기의 거세땜에 잃어버린 뭔가를 여자가 있다고 하고 거기서 향락을 찾으려고 해요. 남자에겐 대상a가 되죠. 근데 여자는 아님. 모든 여성이 상징계에 진입할 수 있는 건 아니거든여. 그래서 여자는 자기가 자기를 타자화해요. (여성의 주이상스..) 여성은 스스로를 주이상스화하죠.. (응? 그러니까 남성의 욕망의 대상이 되고자하는 욕망이랄까요?) 그래서 여성은 계속해서 자신을 여성화... 하는 구조에 빠지는 것 같아요... 정말의 여성성은 ‘없죠‘ 그러니까.... 가면으로서의 여성성.. 접때 단발님이 글쓰신거.. 여성은 여성을 계속해서 연기하죠.

근데 이게 생물학적 본질주의가 아니라.. 상징구조 안에서예요. 즉 관계에서. 그래서. 남자가 여자가 되기도, 여자가 남자가 되기도해요. 실제로 그렇다는게 아니라 위치가 바뀌는 거죠. 스스로를 주이상스에 위치시킨 주체는 자기가 가면을 쓰고 있다는 걸 알아요. 내가 사실은 그게 아니라는 걸. 그치만 연기를 하는 거져... 근데 이게 실존적, 존재론적, 혹은 이 불안이. 주체(타츠루 말로 으른)의 특권이라고. 라캉이 말하는 거 같아여... 그게 좀 더 라캉적 주체에, 욕망에 가깝다?.. 두번째 문단은.... 좀 더 공부필요함.. 아닐 수 있어여 ㅋㅋ

단발머리 2024-11-03 21:20   좋아요 1 | URL
저기 위에, 106쪽에 ˝여성이 남성의 타자라도, 남성은 여성의 타자가 아니다.˝가 쟝님의 설명 전에 읽어야할 문장이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여자가 자기를 타자화한다는 것. 저는 그게 여성의 여성화,쪽으로만 작동한다고는 안 보는데, 이를테면 외양에 대한 인간(털이 없는 동물)의 집착 같은 것에서는, 여성화가 아닌 다른 모양, 형식으로도 나타난다고 생각해요. 그게 남자들에게서는 왜 덜 나타나는가,는 다시 쟝님의 설명과 닿아있고요. 코르셋의 측면에서도 설명가능할 테고요.

두 번째 문단은 진짜 모르겠고 ㅋㅋㅋㅋㅋ 알쏭달쏭 무지개. 공부 더 필요해보이네요 ㅋㅋㅋㅋㅋ 촤라락! 채찍은 나한테 있고, 공부는 쟝님이 해야 함 ㅋㅋㅋㅋㅋㅋㅋㅋ 메롱!

공쟝쟝 2024-11-03 21:39   좋아요 0 | URL
음 뭐라고 뭐라고 썼다가 아직 쓸 수 없는 수준인 것을 깨닫고.. 지웠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분명한 건 라캉의 ‘여성성‘은 비관계를 드러내는 부분이며.. ‘남성성‘보다 열등한게 아니라 더 ‘욕망(혹은 실재?)에 가깝다는 거고... 이 비관계가 정신분석의 존재 이유라는 것인데....(현실에서의 권력은 비관계를 전유하므로..) 그러므로 페미니즘 멋지다. 짝짝. 이러고 그냥 끝... ㅜㅅㅜ
여튼 저 공식에서 여남은 본질주의가 아니라 고정되어 있지 않은 위치다. (물론 성차이론이 본질주의에 정박할 혐의를 갖고 있어서 일부 페미니스트들이 싫어한다고 합니다. 근데 전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아직 결론 안냈어요.)라는 정도만 강조하고 이만 물러가겠습니다. 저는. 이해의 밀도를 높이는 것으로. 아니면 이해를 더 정확히하거나.......

단발머리 2024-11-03 22:02   좋아요 1 | URL
페미니즘 멋지다. 짝짝!에 저도 찬성합니다.

여남은 본질주의가 아니라 고정되어 있지 않은 위치다...의 주장에 저도 동의 혹은 그 주장을 조금 이해는 합니다만 그렇다고 수행성의 개념으로만 묶어 두기에는 저는 그래도 ‘성차가 아예 없는 건 아니다‘ 쪽이고요, 그러면 라캉의 주장 쪽으로 가고 있는 것만 같은 느낌적 느낌.

잠깐 쉬세요. 밤이 깊었습니다.
오늘도 수고많았어요. 큰일이다, 내일도 수고할 예정 ㅋㅋㅋㅋㅋㅋㅋㅋ

공쟝쟝 2024-11-03 21: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성차공식만큼이나 중요한... 유니콘과 섹스에 대해서........... -_- 쓸........ 쓰......지못하고있다고합니다. 실재. 실재란 무엇인가.

단발머리 2024-11-03 21:21   좋아요 1 | URL
더 하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 이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죽음충동 아닙니까. 죽고 사는 일입니다. 실재란 무엇일까요? ㅋㅋㅋ

수이 2024-11-04 09: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머님 얼굴 안 보이는데 단발님 누구 닮았어요? 어머님? 아버님? 궁금하다. <엄마와 책> 마음에 들어 오늘 따라 하렵니다!

단발머리 2024-11-04 18:37   좋아요 0 | URL
저는 전체적으로 아빠 닮았구요 ㅋㅋㅋㅋㅋㅋ 눈만 엄마 닮았어요. <엄마와 책> 사진이 아직 안 올라오네요.
취침 시간 얼마 안 남았어요. 서두르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