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책을 못 읽었다. 아침-빨래-설거지-점심-빨래-청소-저녁-설거지-다림질. 점심 시켜 먹었는데도 그랬다. 나처럼 살림에 손 안 대는 사람도 이럴진대, 야무진 살림꾼들은 다들 어떻게 사시는건지. 아니다. 그 분들은 나랑 다르지. 그 분들은 손이 빠르지. 빠르다, 그 분들은. 나는 느리고. 나는 손이 느린 사람이다.
소설을 읽을 때의 감동을 기쁨이나 즐거움만으로 한정짓는 건 불가능하다. 슬픔도 걱정도, 염려도 미움도 모두 소설이 주는 감정일테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내가 느끼게 될 기쁨이나 먹먹함이 10이라 했을 때, 나는 18페이지에서 그런 감정 총량의 4.3을 느껴버렸다. 먹먹하고 암담했다. 나만 그런 건 아니다. 올리브의 이야기를 듣고 있던 루시는 감정의 격동이 일어나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소설을 읽을 때, 소설 속 인물에게 자신을 대입하는 건, 소설을 재미있게 읽는 방법 중 하나다. 주인공에 자신을 대입시키기도 하고, 주인공이 아닌 사람에게 스스로를 대입시킬 수도 있다. 스트라우트의 문장을 따라가면서 나는 올리브가 될 수도, 루시가 될 수도 있다. 어제 읽었던 올리브의 이야기에서, 나는 R이 되었다. 쿵, 가슴이 내려 앉는 소리가 들리는 듯 했다.
나는 왜 R이 되었을까. 나는 왜, 상처 주는 사람이 아닌 상처 받는 사람이 되었을까. 나는 왜,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가 되었을까. 나는 왜 유령이 아닌, 유령과 같이 사는 사람이 되었을까. 나는 왜 S가 아닌 R이 되었을까.
올리브의 다음 이야기가 궁금한만큼 내 마음의 향방이 궁금해지는 순간. 나는 왜, 왜 R이 되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