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책도 읽을 수 있는 이유는, 다 이해하겠다는 결심을 뒤로 하고 읽기 때문인데, 어찌되었든 글자는 읽을 수 있고. 게다가 이 글자란 한글. 자랑스러운 우리의 글자. 2024년도 노벨문학상 수상작은 한글로 읽어야 제맛.
이 책이 어려운 이유를 곰곰히 생각해 보자면, 내가 섹스를 섹슈얼리티로만 이해해서 그러한가, 이런 생각을 제일 먼저 하게 되고, 아니면 섹스가 무엇인지에 대해 잘 몰라서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기는 하는데. 섹슈얼리티란 무엇인가,에 대한 저자의 답은 이렇다.
섹슈얼리티는 인간성을 동물적이거나 자연적인 유산에 연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탈구시키고 탈정향시키며 인간 사회의 특징들(정치, 예술, 과학, 사랑, 종교 등)에 탐닉하게 만드는 것처럼 보이는, 문제적인 존재의 영역이다. (72쪽)
아... 탈구와 탈정향의 정의를 먼저 알아봐야 할 듯.
오늘 읽은 부분에서는 여기가 눈에 띈다. 『가면으로서의 여성성』을 쓴 리비에르의 주장인데, 그는 여성성이 본질적으로 가면이고, 여성성을 '걸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 여성의 충동적인 추파와 교태는] 그녀가 지적 성과를 낸 이후 아버지와 같은 인물들로부터 받을 보복 때문에 뒤따르는 불안을 떨쳐내려는, 무의식적 시도였다. 그 자체로 성공적인 성과로서 공적으로 자신의 지적 능력을 보여주는 것은, 아버지를 거세하고 아버지의 페니스를 소유하게 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을 의미했다. 그녀는 아버지가 행할 응징에 대한 끔찍한 두려움에 사로잡혔던 것이다. (<리비에르, 1929, 305>, 109쪽)
지적 성과를 낸 이후 불안을 떨쳐내려는 무의식적 시도로서의 추파와 교태에 대한 표현을 나는 마리 루티의 책에서 읽었다. 읽은 기억이 난다. 잠깐, 책 좀 꺼내 올게요.
<여성성의 가장Masquerade>. 아, 리비에르의 이름이 이 책에 나온다는 걸, 지금 알았다. 마리 루티는 프로이트의 제자인 리비에르의 이론을 이렇게 설명한다. 성공적인 여성들의 방어 기제. 여성스러운 인상과 섹시한 외모, 애교 부리는 태도 등등. 이는 성공한 여성을 목격한 후 실망하게 될 남성들을 위로하기 위한 보상 작용이라는 것이다. 마리 루티 역시 그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말한다.
철학 같은 남성 중심의 영역에 대해 강의할 때, 특히 이 구역에서 숭배받는 관념에 도전할 때 내가 미니스커트와 하이힐을 선택하는 이유도 이것이다. 웃긴 일이지만, 남성 동료들이 내가 그들의 진열장에서 황금 팔루스를 몰래 치마 밑으로 빼내 간다고 느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공격보다는 낫다. 봐라! 그런 위허한 절도 행각을 벌이기에는 나의 치마가 너무 짧고 구두는 위태로워 보이지 않는가. (『남근선망과 내 안의 나쁜 감정들』, 169쪽)
'훔친 것'에 대한 두려움은 벌 받을까 하는 두려움을 넘어 존재에 대한 불안으로 이어진다. 이런 것(훔친 물건, 훔친 지위) 안에 '내'가 없으면 어떡할까 하는 두려움. 내가 가진 것은 가식, 가면일 뿐인가 하는 의문. 존재에 대한 불안. 라캉은 이를 '주체성 그 자체의 특권'이라고 부른다.(112쪽) 그건 또 대체, 무슨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