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있어요를 정리해 둔다.














<the idea of you>는 지난주에 읽었다. 영화를 먼저 보고 나중에 책을 읽었는데, 나처럼 영화를 보고 좋아하셨던 분이 또 다른 감동을 기대하신 거라면, 책은 그보다 훨씬 더 현실적이라는 점을 알려드리고 싶다.


노력하지 않아도, 애쓰지 않아도 <the idea of you>는 앤 해서웨이의 영화라서, 이런 아름다운 여성이라면, 얘가 셋이든 넷이든 상관없이, 이 사랑은 반드시 이루어질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게 된다. 앤은 너무 예쁘고, 너무 사랑스럽고, 너무 핫하다. 책 속의 화자는 앤이 역할을 맡았던 ‘Solen’인데, 소설 속의 솔렌은 딱 엄마다. 헤이즈를 바라보는 눈빛이, 그의 행동을 관찰하는 시선이, 내면의 목소리가 모두 엄마로서의 솔렌이다. 두 명의 솔렌 중에 나는 확실히 소설 쪽의 솔렌이어서(당연하지 않은가, 영화 쪽으로는 얼씬거릴 수 없음이다) 소설을 읽는 내내, 나는 훨씬 덜 행복했다. 내가 앤 해서웨이가 되고 싶었다는 그런 이야기가 아니다. 40살의 싱글맘이 20살의 청년을 연인으로 앞에 두었을 때의 심경이 너무 적나라했다는 뜻이고, 그 마음이 잘 이해되었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직진남의 귀여운 돌진은 이어지고.  





계속해서 칭송되는 헤이즈의 특질은 젊음이다. 그가 가지고 있는 바로 그것이 그를 가장 빛나게 하는데, 그걸 가지고 있는 그는 그 소중함을 알지 못한다. 다만, 그는 자랑한다. 자신이 바로 그것을 가지고 있음을 말이다. 나는 남자들이 어린 여자를 좋아한다거나, 나이 든 여자도 젊은 남자를 좋아한다는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니다. 나는 차은우만큼 블랙핑크의 제니를 좋아한다. 나는 김수현을 좋아하고, 뉴진스의 민지를 좋아한다. 우리가 사랑하는 건, 젊음이다. 내가 사랑하는 건 그가 가진 젊음이다. 헤이즈가 가진 젊음. 솔렌에게 작동하는 헤이즈의 힘은 그의 젊음에서 나온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단장의 아픔을 주는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과 영속성을 잃어버린 사랑의 위치가 어디쯤인지에 관해서도 쓰고 싶지만, 그건 다음 기회에.
















정보라의 <저주토끼>가 유행했을 때, 나는 그 책을 읽어볼 생각도 하지 않았는데, 오히려 인터뷰 기사를 읽고는 정보라 작가의 팬이 됐다. 모든 사람이 사회 정의를 위해, 대의를 위해, 신념을 위해 자신의 삶을 갈아 넣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런 사람들. 대의를 위해 자신의 시간을, 자신의 에너지를 바치는 사람들에 대해 마음 깊이 존경심을 가지고 있다. 나는 그런 사람들이 더 존중받아야 한다고, 사회의 발전을 위해 애쓰는 만큼 일정 정도의 생활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보완책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술은 고독한 작업이고, 사회는 예술가들의 그런 고립과 고독을 이해해 준다. 예술가들은 마음을 흔드는 노래로, 그림으로, 연주로, 작품으로 고립과 고독의 결과물을 사회에 돌려준다. 그 사회를 풍요롭게 한다. 그 누구보다 혼자이고 싶은, 그 누구보다 고립되고 싶은 예술가가, 작가가, 소설가가 길 위에서 써 내려간 이 기록이 특별한 이유다. 세월호 농성과 오체투지와 전장연 투쟁 이야기 등은 한 단어, 한 단어 모두 절절해서 이 얇은 책을 30여 페이지 읽는 동안 자주 덮을 수 밖에 없었다. 더 읽을 수가 없었다부당한 현실에 몸으로 부딪치는 사람들. 소중한 사람들. 고마운 사람들.

















<가부장제와 자본주의>를 알라딘 이웃님들과 같이 읽던 그때, 지금 사는 이 집으로 이사를 왔다. 막 코로나가 시작된 때였고, 모든 사람이 마스크를 쓸 때였다. 사회활동의 마지막 근거지였던 교회까지 가지 못하게 되자, 장보기 이외에는 외출할 일이 없어졌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끼는 죄책감과 무력감에 힘입어 올해는 옷을 사지 않겠다는 결심을 하게 됐다. 초반에는 잘 되는 듯했지만, 1+1 행사 때문에 요가 레깅스를 두 개 샀고, 여름 원피스를 하나 샀다. 굳은 결심은 작년에 일을 하게 되면서 유야무야 되고 말았다.


책을 펼치자마자 또다시 밀려오는 죄책감의 파도. 먹을 것을 줄일 수 없다면 다른 소비를 줄여야 한다. 소비 행태를 바꿔야 한다. 덜 먹고, 덜 사야 한다. 덜어내고 더 덜어내야 한다.



















<일류의 조건>은 자기 계발서다. 예전에 출판된 책이 절판된 상태에서 박문호 박사의 추천으로 화제가 되어 재출간 되었는데, ‘일류가 될 수 있는 조건이 따로 있는가 하는 의문으로 읽기 시작했다. 첫 번째 원칙은 훔치기인데, 도제식 교육법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기술을 훔치는 비법이란, '암묵지'와 그것을 활성화한 '형식지'의 순환을 기술화하는 것이다. 이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확한 '요약력'과 전문가를 상대로 하는 '질문력', 그리고 '코멘트력'과 같은 중요한 능력들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일이라는 것 자체는 '과정'에 따라 진행하기 때문에, 결국 기술을 훔치는 것은 과정을 훔친다는 뜻이기도 하다. 자기 스스로 일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정리하며, 그것을 제대로 추진할 수 있을 때까지 수련하는 것은 '일의 추진력'을 단련하는 일이기도 하다. (49)




나는 이런 생활이 아직도 익숙지 않아서 오늘 내내 놀았는데도 더 놀고 싶다. 한없이 오래오래 놀고 싶다. 내일 출근한다는 생각은 마음을 무겁게 하지만, 처리해야 할 일 하나를 화요일 퇴근 전에 급하게 처리했던 터라 딱 그만큼은 마음이 가볍다.


아침에 흰 빨래 한 판 돌려서 저녁에는 청소기 돌리고, 지금 검은 빨래를 한 판 돌리고 있다. 시간은 흘러가고 이제 곧 잘 시간. 그리고는 아침이다. 아침이 찾아올 테다.


그래서 책을 샀다. 나도 책을 샀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4-05-15 22:4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네 맞습니다. 우리는, 인간은 젊음을 사랑합니다. 저는 아이들을 향한 돌봄과 노인을 향한 돌봄이 다른 것에서도 그것은 나타난다고 생각해요. 우리는 우리보다 젊은 사람들을 향해 더 열리는 종족인듯 합니다.

저도 그걸 깨달았어요, 단발머리 님. 우리가 젊음을 사랑한다는 것을요. ‘우리는 젊음을 사랑한다‘고 제가 1년 전에 써둔 글을 링크합니다.

https://blog.aladin.co.kr/fallen77/14299700

단발머리 2024-05-16 13:31   좋아요 0 | URL
아이에 대한 돌봄과 노인을 향한 돌봄이 다른 부분에 대한 다락방님 이야기 너무 좋았어요. 이달의 당선작의 위용이랄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다락방님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근데, 저는 이 부분에 대해 이렇게도 생각할 수 있을 거 같아요. 그러니깐 이걸 간단히 표현하자면요.
아이들이 덜 아파서(아파도 빨리 회복되어서) 노인을 향한 돌봄보다 아이를 향한 돌봄이 덜 힘들다고요.

이런 식입니다. 아이들도 강도 높은 돌봄이 요구되는 ‘질병‘의 상태에 도달할 때가 있지만, 아이들은 상대적으로 그 시기가 짧습니다. 어른들, 노인들은요? 우리 다 아다시피, 무릎이 나으면 허리가 아프고, 어깨를 치료한 후에는 혈압 체크가 필요하고... 뭐 이런 식입니다. 끝이 안 납니다. 계속 되요. 물론 돌봄 대상자의 미적 아름다움이나 삶에 대한 태도(대부분 아이들이 명랑하고 긍정적이죠, 노인들보다요)도 중요하겠지만요.
전 최근에 읽은 <사랑에 따라온 의혹들>을 읽고 그렇게 느꼈거든요. 아이의 병이 위중하고 요구사항이 많다보니 돌보는 사람이 거의 쓰러지기 직전이에요. 내 자식이니깐 견디고 참을 수 있었던 것 같고요.

하지만 그 무엇보다 저도 젊음을 사랑합니다. 이미 어느 정도 ㅋㅋㅋㅋㅋㅋㅋㅋ 지나가 버렸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나라의 중위 연령이 45.6세래요. 그니깐 중간 어느쯤에 우리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우리 아직 젊네요!!

(추신) 헤이즈의 젊음을, 제가 좋아합니다, 많이..............

다락방 2024-05-15 22:4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아, 그리고 책 사러 가겠습니다. 슝-

단발머리 2024-05-16 13:20   좋아요 1 | URL
절대 찬성입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독서괭 2024-05-17 13:4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젊음, 너무 좋죠. 전 딱히 시간을 돌려 가고 싶지는 않지만 그 젊었던 나를 다시 느껴보고 싶긴 합니다.. 그땐 그게 소중한지 몰랐죠.. ㅠㅠㅠ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저는 소비가 많지는 않은데 물건을 잘 관리하지를 못해서 ‘좋은 걸 사서 오래 쓴다‘ 이게 안되더라고요. 신발도 툭하면 앞이든 뒤든 까져버리고.. 남편이 아예 세무 이런 건 못 사게 해요 ㅡㅡ;; 흰빨래고 검은빨래고 그냥 다 한번에 처넣고 돌리는 저는~ 워우어 .. 모르겠음다. 현명한 소비와 유지 너무 어려워요.
그래도 소비 중엔 역시 책 소비가 최고죠. ㅋㅋ 구간 처리도 많이 못했는데 두꺼운 세트를 선물로 받아버려서 어쩌지 싶던 것도 잠시, 그 책이 재밌어서 행복합니다 크하하, 단발님 행복한 독서하세용♥

단발머리 2024-05-22 09:59   좋아요 0 | URL
전 물어보면ㅋㅋㅋㅋㅋㅋㅋ 누군가 물어보면 잠깐 다녀올 용의가 있습니다. 전.... 너무, 너무 놀았거든요. 대학다닐때, 시험 기간에도 도서관 안 갔다면 말 다했죠. 다시 돌아가고 싶습니다.
저도 물건을 잘 관리하지 못하는 편이기는 한데, 요즘 의류... 특히 의류에 저가 제품이 많아서 더 쉽게 소비하는 거 같고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저는 책소비는.... 걔 중에 제일 윤리적이고 정직하고 착한 소비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독서괭님의 그런 자세(구간 읽고 신간 사기)는 반드시 본받아야할 거 같아요.
이상 주문할 때 맘이랑 책 쌓아둘 때 맘이 다른 단발머리였습니다.

2024-05-24 07:4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