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어. 이젠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대. 거실 한복판에서 외친다. 엄마, 10번째야. 엄마는 맨날 그 얘기만 해? 아롱이가 말한다. 끊이지 않는 확산의 고리, 확진자 발생과 방역, 건물 폐쇄가 이어진다. 언제쯤 끝날지 아무도 알 수 없는 상황. 전문가들이라는 사람들조차 말끝을 흐린다. 우리 모두 내일을 알 수 없는 그런 상황을 산다. 거리를 스쳐가는 사람들은 모두 마스크를 쓰고 있다. 영화에서나 본듯한 장면. 황사와 미세먼지에 예민해 항상 마스크를 챙겼던 내가, 이제 마스크를 쓴 한 무더기의 사람들을 본다. 이젠 정말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걸까. 얼굴에 부딪히는 시원한 바람을 느낄 수 없게 된 걸까.


대구 집단 감염으로 신천지가 주목받았을 때, 자료화면으로 집회 장면이 나왔다. 기자가 말한다. 바닥에 다닥다닥 붙어 앉아 장시간 열광적인 찬양을 하고. 쩜쩜쩜. 내가 그랬다. 바닥에 다닥다닥 붙어 앉아 장시간 열광적인 찬양을 하고 기도를 했다. 이십여 년 전 일이다. 여름마다 있는 전체 집회에는 전국에서 천 명 이상의 참석자들이 모였다. 일주일을 함께 먹고 자고 아침, 점심, 저녁 하루에 세 번씩 집회를 했다. 이젠 옛날 일이 되어버렸다. 식당에서는 반드시 개인 접시를 사용해야 한다. 유흥업소, 노래방, 피씨방 등에서는 곧 QR코드를 활용해 출입자를 체크해야 한다.



오프라인수업 3일차 고딩은 저녁 식사 자리에서 자기는 온라인 수업이 더 좋은 것 같다고 말한다.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여러가지 이야기하다가 딱 수업에 관한 내용만 들을 수 있는점이 좋다고 말한다. 동석했던 어른은 온라인 수업에도 장점이 있지만, 그게 곧 단점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 수업 이외의이야기를 할 수 없다는 것. 수업에 관련된내용만 말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덧붙인다. 그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이들이 아는지 모르겠다. 수업내용 아닌 것에서 배웠던 것, 느꼈던 것, 그리고 기억나는 것에 대해서 이 아이들은 알고 있을까. 오프라인수업 3일차 고딩은 그래도 온라인수업이 더 좋다고 마무리한다.


그래, 학교가 싫겠지. 예전만큼은 아니겠지만 군대처럼 학교도 교도소와 비슷하다. 학생을 학교생활의 주체로 보기보다는 관리의 대상으로만 이해하기 때문에 당연히 억압이 존재하고, 억압의 장소에 가기 싫어하는 것은 당연지사다. 이미 학업이라는 임무는 공교육이 아닌 사교육이 담당하고 있다. 선생님들도 아이들이 이미 학과수업에 대해 선행을 해왔다는 전제하에 수업을 진행한다. 아이들이, 그리고 학부모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수행평가와 중간, 기말고사의 출제방향과 채점 형식 뿐이다. 이미 사교육이 학업의 역할을 다 하고 있다면, 현재 우리의 삶에서 학교란 어떤 의미인가. ‘선생님에게 기대할 수 있는 역할이란 무엇인가. 친구도 학원에서 사귀는 현실에서 학교는 어떻게 기능해야 하는가. 당장 내일의 상황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이 장기화되면, 학교는 도대체 어떻게 변모할 것인가. 먹물 리조또를 앞에 두고 잠시 생각에 잠긴다.






한달 전쯤에 마이페이퍼가 1편인 모르는 사람이 댓글을 남겼다. <미드 영어회화 233>이던가 하는 책에 대한 리뷰를 읽으려고 들어왔는데, 책에 대한 이야기가 전혀 없는데 왜 책을 링크했느냐는 항의성 댓글이었다. 여기는 내 공간이라 내 맘대로 꾸려도 된다고 생각했지만, 그 사람 입장에서는 그럴 수도 있으려니 했다.


하여 오늘은 코로나 책을 하나 걸어두려고 하는데, 앞의 이야기 모두 코로나 이야기니 참으로 적합하다 하겠다. 부디 이 연관성을 보라. 한달 전에 관심있게 들었던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코로나 19, 신인류 시대>라는 방송내용이 책으로 편집되어 나왔다.
















정관용 : 아까 금융화 설명하시면서도 그런 얘기하셨잖아요. 예측을 못 하기 때문에 금융시장에서 어떤 액터들이 어떤 플레이를 해야할지 방향을 못 잡겠다는 거 아니에요. 지금 그런 현상이죠?


홍기빈 : 그러면 예측이 안 되는 상황에서는 미래를 우리가 대하는 방식은 결단이에요. 그건 우리가 이 상황에서 어떤 가치를 중요시하고 어떤 식의 미래를 만들고 싶은가라고 하는 우리의 이성과 양심으로 되돌아가서 어떤 미래를 만들까라는 그림을 우리 스스로가 결단하고 만들어야 됩니다.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방송일: 2020 4 20일 월요일)



읽고 싶은 책도 걸어둔다. 여기는 내 방인지라, 그래도 좀 되겠다.

기본소득, 2050 거주불능지구, 불혹의 페미니즘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은빛 2020-06-03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늘 책 얘기 없는데 책 표지 걸어두는 편인데요

남의 서재에 와서 그런 사람이 있군요.

단발머리 2020-06-04 11:08   좋아요 0 | URL
알라딘 서재라는 공간을 모르는 사람인 것 같아요. 리뷰라서 들어왔는데 다른 이야기만 있고. 그래서 심통이 난듯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나 자신을 바꿔야 한다고는 생각지 않고요. 감은빛님도 책 이야기 없이 책 걸어두셔도 괜찮을듯 합니다.
남의 서재,라는 개념 자체를 모르는 사람 같았어요. 아, 저 대인배인가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감은빛 2020-06-04 18:38   좋아요 0 | URL
대인배 맞으세요! ㅎㅎ

지난 번엔 여유가 없는 상태에서 댓글 남기느라 저 부분만 썼는데,
앞쪽에 쓰신 내용인 코로나19로 인한 낯선 삶과 사회에 대한 부분들.
또 학교에 대한 부분들도 무척 공감합니다!

최근에 (당연히) 지인들과 코로나19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할 수 밖에 없는데,
많은 사람들이 한국형 방역(일명 k-방역) 이라는 국뽕에 취해 있는 것 처럼 느껴져서 깜짝 놀랐어요.
다른 분야였다면 국뽕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사람도 그래서 더 놀랐어요.


블랙겟타 2020-06-03 2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 며칠전에 저 홍기빈소장님 나오는 시사자키 방송 봤었거든요.. 단발님 글에서 다시 만나니 반갑네요 ㅋㅋ 그 시리즈방송에 벌써 책으로 나왔나보네요 ㅎㅎ

단발머리 2020-06-04 11:10   좋아요 1 | URL
네, 그러합니다. 참 빠르더군요. 저 방송이 4월 중순에서 말까지였는데, 이렇게 묶여서 책으로 나왔답니다.
전 홍기빈 소장 이야기 듣고 급관심생겨서 칼 폴라니연구소도 좀 찾아보고, 칼 폴라니 책을 하나 대출했으나, 했으나, 했으나....쩜쩜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