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적으로 제목에 이끌려 읽은 책입니다.
도시에 대해 관심이 원래 있었지만 여태 읽어온 모든 책에서 도시에 사는 주체는 늘 인간(Human)이었지, 인간이 아닌 생물(Non-Human)인 경우는 없었습니다.
도시에 사는 주체의 관점(Perspective)을 인간과 비인간으로 확장해서 도시생활을 살핀다는 점, 그리고 생태학(ecology)과 야생동물보존 (Conservation)의 입장에서 왜 미국의 도시에 야생동물들이 모여들어 살게되었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생태학이 자연상태라고 간주하는 도시가 아닌 지역(Rural Area) 라는 공간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인간이 건설한 인공적인(Artificial)환경에 야생동물이 살게 된 이유를 설명한 겁니다.
서울만에도 도심하천인 청개천이나 한강변에서 수많은 물고기들과 물새를 목격하고 살지만 거의 늘 보는 것이니 당연한 듯 여겼지만, 야생동물이 도시로 모여드는 이유는 사람들이 도시로 몰리는 이유와 상당히 유사합니다.
한마디로 먹고 살기가 좋다는 이유이죠. 하지만 우리는 이런 이유를 도시에 사는 사람에게만 적용했지 야생동물도 그럴 수 있다는 생각을 못했습니다.
저지는 인간사회에 도시가 발달한 이유가 먹을거리를 쉽게 찿을 수 있고 물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강이나 호수 주변에 주러 발달했다고 했고, 도시가 경제활동에 따라 먹을거리를 생산하기도 하고 다른 지역의 먹을거리가 모이기도 하기 때문에, 그리고 미국의 경우 도심(Downtown)과 교외(Suburbs)의 경계가 불분명(blurred)한 경우, 또 도시발달로 도심에 공원과 자연보호구역이 늘어나 야생동물의 이동이 용이해진 점도 지적하고 있습니다.
즉 사람들이 경제지리(Economic Geography)적 입지론을 입장에서 도시의 발달을 생각하고 그 도시발달의 혜택이 단지 인간 뿐만 아니라 도시 주위에 살고 있는 야생동물에게도 돌아간다는 말입니다.
이런 혜택을 알고 도시에 몰려들어 살기 시작한 야생동물들은 그들이 원래살던 자연환경과 다른 인공환경인 도시에 살기위해 환경에 적응(adaptation)을 시작하고 행동과 형태의 변이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즉 먹을거리가 풍부해 대체로 더 오래 살고, 사람과 마주치지 않기 위해 주로 밤에 활동(Nocturnal)을 하는 등 도시에서 인간과 같이 공존하기 위해 생리적으로나 행동적으로 변화를 보입니다.
책 후반부에 이런 도시에 사는 동물들이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evolution)가 일어나는 경우가 목격되었다고 합니다. 대체로 다윈(Charles Darwin)이 주장한 진화론은 생물들의 진화가 오랜시간동안 천천히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왔는데, 일부 도시에 사는 야생동물들은 도시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가기 위해 진화속도도 빨라졌다는 점입니다.
마지막으로 책의 물리적 상태에 대해 소개하려 합니다.
본문은 총 14장과 마지막 Coda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장마다 미국의 도시에 살고 있는 하나의 야생동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릅니다.
서두에서 언급했다시피 단지 동물에 대한 이야기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 어떻게 도시가 발달되었는지, 도심의 공원 (Parks)과 요세미티와 같은 국립공원(National Parks)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야생동물 보존에 대해 미국은 어떤 입법과정을 거쳤는지, 도시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최근의 COVID 19 pandemic과 기후변화가 도시에 사는 야생동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 여러방면의 이야기들이 복합적으로 들어 있습니다.
저자는 특히 인간과 야생동물들이 어떻게 도시에서 공존(coexistence)할 수 있는 방안을 찿을까를 고민하고 있고 이 책을 집필한 목적이기도 합니다.
책 본문이 210쪽 정도니 작은 책이지만 저자가 집필에 5년이나 걸렸다고 하는 이유가 이런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기 때문입니다. 2022년 캘리포니아대학 출판부에서 발간한 책인데 같은 해 한국어 번역본이 발간되었습니다.
어쩌다 숲, 피터 S. 알레고나 지음, 김지원 번역 ( 이케이북,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