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출판된 이래 개정판이 2015년 출판되어 2024년 현재 출판이력만 10년이 넘은 책입니다.

동양철학자 임건순 작가의 책으로 제가 읽은 2015년 개정판은 본문만 558쪽에 이릅니다.

잘알려진 유가책도 아닌데다 560쪽에 이르는 분량이기 때문에 중국 고대사상에 처음 접하는 분들에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책에는 작가가 선정한 중요 문구가 해석과 원문이 병기되어 나옵니다. 책의 일부는 분명 일반적인 중국 고전 강설(講說)의 형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저는 묵자(墨子)라는 중국 전국시대 초기 사상가에 대해 이 책으로 처음 접해 솔직히 임건순 작가의 해석에 대한 판단은 내릴 자격이 없습니다.

다만, 제가 느낀점과 생각한 것을 위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첫째, 책은 논어(論語), 맹자(孟子) 등 전통적인 유학의 전통과 묵사의 관계를 비교 설명합니다. 따라서 논어 맹자에 대해 조금이라도 아는 편이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둘째, 묵자라는 사상가는 사회전체의 이익증대에 관심이 많았던 사상가로 계급의 고하와 관계없이 모든 사회구성원이 제몫을 하고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받는 것을 추구했던 사상가입니다. 따라서 사회에 대한 분배정책을 중시했으며 소수의 엘리트가 기득권과 물질적 부를 장악하는 불평등을 용납하지 못한 사상가이기도 합니다. 명분조차 없이 이익을 위해 죽고 죽이던 살벌한 전국시대에 이런 식으로 사회전체의 복리증진을 강조하는 사회정책(social policy)를 강조하는 사상가가 나왔다는 건 매우 놀랍습니다.

셋째, 민주주의와의 유사성입니다.

군주가 통치하는 수직적인 전제왕권을 인정하지만 민중의 의지(즉 민의, 民意)로 대변되는 하늘의 의지( 천지, 天志)가 통치를 정당화합니다. 유교가 하늘의 며, 즉 천명(天命)으류받은 군자의 통치정당성을 주장한 사실과 대조됩니다.

천명이 일종의 숙명 (destiny)혹은 이미 정해진 삶을 의미하는 매우 수동적인 개념이라면 천지는 의지가 들어가 있는 능동적 주체적 개념인 것도 인상적입니다.

민중의 의지가 최고 권력자에게 올라간다는 아라로부터의 하향식 의지 천명이라는 점에서 놀랍게도 민주주의와의 유사성이 발견됩니다.

셋째, 기독교와의 유사성입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하늘의 의지가 정치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기독교의 통치정당화와 매우 유사한 논리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감히 추정컨데, 기독교의 지식인들이 일찍부터 묵자에 주목했던 건 이런 유사성에 기인한 걸로 추정합니다.

이와 관련해서 추후 읽어볼만한 책 한권을 찿았습니다. 재야 한학자 기세춘 선생과 돌아가신 문익환 목사께서 묵자와 예수에 대해 쓰신 책입니다.

예수와 묵자, 문익환 기세춘 홍근수 지음 (바이북스,2016)

이 책은 기회가 되면 읽고 다시 글을 올릴 예정입니다.

다른 모든 걸 떠나 가장 인상적인 구절은 이것입니다

義, 利也

의로움은 즉 이익이다. 즉 ‘사회구성원에게 경제적 실질적으로 이롭지 않으면 의로운게 아니다’라는 주장입니다.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꺼리고 멀리한 공맹의 유학 그리고 조선 성리학과는 대척점에 있는 주장입니다.

묵자를 잘 알지 못하지만 이 문장은 묵자의 경제적인 사고를 볼 수 있었습니다.

공맹유학의 가장 치명적인 약점은 지나치게 윤리와 당위만 강조하고 실질적인 생활의 기반인 농업과 상업을 천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묵자처럼 이익을 중시하고 그 이익이 사회전체에 배분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은 시사하는 점이 크다고 봅니다.

경제적 불평등 심화와 소수에 의한 경제력 독점이 어제 오늘 일이 아니고 더욱 더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더 그렇습니다.

고전이 고전인 이유는 그 주장이 당시를 넘어 현재까지도 유효하기 때문이고 묵자의 경우 사회정책( social policy)자체에 대한 개념도 논의도 결여된 2024년 현재 좋은 가이드를 준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서구 주류 경제학계에서도 오류를 인정하고 폐기한 신자유주의 경제학( neoliberal economics)를 아직도 고수한체 낙수효과 (trickle down impact)만을 종교적으로 숭상하는 고위공직자 집단과 집권층은 본인들의 이익 수호를 위해 정책을 이용하는게 아닌지 의심됩니다.

특히 경제의 세 주체인 가계 기업 정부 중 사실상 현재 정부는 경제개입의 의무를 사실상 방기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의도적으로 정부는 경제에 대한 보도에서 전부의 역할을 은폐하고 잇다고 의심합니다.

묵자가 오랫동안 중국사상계에서 잊혀졌던 이유도 국가의 사회정책을 강조하고 계급보다 능력을 강조하는 급진성때문에 전제정치 체제였던 중국에서 특히 기득권세력들에 의해 경원시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추후 기회가 된다면 묵자라는 텍스트 원문 전체에 대한 주해를 읽어보려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