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춘추전국이야기 7 - 전국시대의 시작 ㅣ 춘추전국이야기 7
공원국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공원국작가의 춘추전국시대사 7번째 책으로 중국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책입니다.
춘추(春秋)시대가 전쟁을 치루면서도 대의와 명분을 앞세우고 최소 등에 칼을 꼿는 비열한 속임수를 쓰지 않았던 시대인 반면에 전국시대는 대의명분이 사라진 체 오로지 국익(國益)을 위해 그 어떤 수단과 방법도 통용이 되던 시대를 말합니다.
기원전 5세기의 일임에도 작가의 전쟁묘사는 현재 세계가 처한 국제정세와 매우 유사합니다.
작사는 결론에 해당하는 제7장에서 ‘전략과 전술’을 설명하면서 프러시아의 철혈재상 ( Iron Chancellor) 비스마르크( Bismarck)위 독일 통일정책과 중국 전국시대 초기 상황을 비교하며 당시의 중국정세도 철저히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국가지도자의 냉정하고 객관적인 판단을 기반으로 국가가 정치의 중심으로 떠올라 군사와 조세를 관장하는 국가주의적으로 흘러간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오로지 실리를 기준으로 국익을 위해 어제의 적이 오늘의 동맹이 될 수도 있는 국제정치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현재 패착(敗着)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한국의 이념외교와는 정반대입니다. 알량한 도덕적 우월성을 전제로 실리를 망각하는 기본이 안된 외교라고 생각합니다.
이책은 전국시대 초기를 다루었는데 주요한 정세변화는 중원의 동쪽을 장악한 강국 진(晉)이 사실상 3국으로 나뉘어-삼가분진( 三家分晉)- 위(魏), 조(趙), 한(韓)으로 분열되고 위나라가 오기(吳起)의 병법을 채용해 서쪽의 진( 秦) 의 동진을 막았으나 위문후(魏文侯) 사후 위혜왕 (魏惠王)또는 양혜왕(梁惠王)의 실정으로 서쪽의 강국 진의 동진을 허용하게 됩니다. 위의 성급하고 무모한 동쪽 국가 공격을 역이용한 조나라에는 손빈(孫臏)이라는 전술가가 위니라에 치명상을 입힙니다.
서쪽의 오랑캐로 인식되어온 진(秦)나라는 위(魏)나라 출신 상앙(商鞅)의 병법을 채용해 위나라가 막고 있던 서하땅을 정복하고 진의 동진을 이루었고 이 진의 진출로 진의 천하통일의 기반이 마련됩니다.
위에서 보듯 이 책은 주로 법가(法家)를 중심으로 한 전략가들이 주인공으로 작가는 손빈병법의 주인공 손빈은 전략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오기의 유교적 법가를 계승했으나 철저히 법가적인 변법으로 일관했던 상앙을 오기의 후계자로 보았습니다.
유교적 명분론과 법가적 실리에 대해 논한 보론도 경제적 논설로 매우 흥미롭습니다. 특히 위나라 이회가 주장한 생산력의 증대가 바로 국력의 증대라는 주장은 현재의 국력의 척도로 보아도 무방한 현실론으로 중국의 청동기말기 철기 초기의 사상이라고 믿기 어려울만큼 구체적이고 현실적입니다.
특징적인 것은 농경사회인 전국시대 중국에서 오기도 상앙도 모두 중농주의(重農主義)를 기본으로 삼았다는 점입니다. 특히 오기는 단순하고 기본에 충실한 전략을 선호해 위문후 치하에서 국력의 확대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입니다.
전쟁의 전략 그리고 국력의 관점에서 봤을때 그 기본이 경제력 ( economic power)라는 건 중국의 전국시대인 기원전 5세기나 지난 20세기나 현재인 2024년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단지 경제력의 기반이 농업이냐 제조업이냐의 차이뿐입니다. 그리고 국력을 이야기하는데 있어 인구(人口)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인구가 많아야 노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건 당연한 이야기이고 단지 사람이 많아야 농사를 지을 여력이 크다는 말정도로 치부될 말이 아닙니다.
인류사상 최초로 인구감소로 인한 국가소멸 위험에 처한 한국은 노동력을 어떻게 확보해야 하는지가 관건이 되었습니다. 현재 이상한 방식으로 국가를 아마추어처럼 운영하는 집권세력들은 표면적으로 자유방임형 기업우선의 신자유주의를 우선하면서 사실상 국가의 역할을 방기(放棄)하고 있고, 인구가 주는 와중에도 국민들의 주거상황개선 노동환경개선 그리고 물가통제 등 기본적 국가경제정책에 관심도 의지도 없습니다. 무지에 기반한 방기입니다.
권력의 남용에 있어서는 매우 전제주의(專制主義)적이면서도 민생은 방기하면서 자유를 최우선의 가치로 삼는 자유방임적 정부형태를 유지하는 매우 기이한 정체(政體)를 가진 겁니다.
최고위층의 권력남용정도에 비해 국가의 역할이 너무 없어 권력의 사유화가 진행된 것이 아닌지 의심이 되는 지경입니다.
고대사가 정치사이면서 전쟁사인 사실을 다시한번 확인하고 중국식 국가주의의 뿌리를 중국의 법가에서 찿을 수 있다고 봅니다.
과거와 현재는 소름끼칠정도로 유사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