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덕 작가는 임진왜란을 전공하신 문헌학자이신데 몇년전부터 도시관련 답사기를 출간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유튜브 삼프로티비에서 도시관련 방송을 몇번 본적이 있습니다.
물론 그전에 내신 임진왜란 관련서적과 도시답사 관련 서적을 읽은 적이 있는데 그 내용은 추후 이야기하기로 하겠습니다.
이 책은 2024년 1월 출간된 작가의 최신간입니다. 임장(臨場)이라는 일본식 한자어를 이책 제목에서 처음 보았는데 그 의미가 ’현장에 임하다‘ 즉 답사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이 책은 한국의 중요 3대 메가시티와 소권역을 저자가 답사해 미래를 예측한 책입니다.
몇가지 이전 저작과 달라진 점을 우선 말하고자 합니다.
저자가 현재 알려진 정보와 답사를 통해 미래를 예측한 것으로 과거 저작에서 보여준 역사적 기원에 대한 언급이나 과거에 대한 언급이 훨씬 줄어들었습니다. 두가지 예측이 가능한데 일단 좀더 대중적인 목적으로 쓰여졌다는 점과 역사적 인문지리적 과거보다 현재와 미래의 공간에 대한 가치가 중점이 된 것이 책의 서술방향을 정하지 않았을까 추측합니다.
두번째 남한 전역을 대상으로 하다보니 전작에 비해 피상적으로 보입니다. 시간적인 측면에서 일본측 자료를 통해 접근하던 식민지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 지역의 발달초기 모습 등에 대한 설명이 많이 약화된 걸로 보입니다. 저지의 강점이 잘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공간적인 측면에서도 남한 전체를 대상으로 하다보니 서술의 밀도가 낮아지고 깊이가 없어졌습니다.
한국의 도시개발계획과 산업화 경제개발을 흔히 박정희때부터 보는데 그 뿌리가 일제시대부터 이어졌다는 역사적 사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몇 안되는 도시답사가라고 생각했는데 특유의 관점이 이 책에서 많이 없어진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역사학자이자 문헌학자인 저자의 시각이 사라진 건 아니고 과거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려는 경향은 알 수 있습니다. 각 장에 달린 미주에 보면 수많은 언론사 기사가 나옵니다. 도시계획에 대한 일차문헌이나 좀더 전문적인 자료가 인용되면 논의가 좀더 정밀해지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저자가 삼프로타비에 출연한 이후 두번째 나온 책인데 아무튼 저자 입장에선 대중독자를 위해 노력한 책으로 보입니다.
저자께서 삼프로 티비 출연 이후 처음 나온 책은 <우리는 어디서 살아야 하는가,2022>인데 이 책은 어떤지 추후 글을 올릴 예정입니다.
저자의 도시답사기 중 제가 가장 인상적이었던 책은 서울선언 시리즈 첫번째 책입니다.
서울선언 , 김시덕 지음 ( 열린책들,2018)
서울의 서민들의 살림집을 주로 살피면서 일제시대의 도시계획이 남긴 현대 서울의 흔적을 일제가 만든 경성지도와 일제시대와 현대 남한 군사정권의 연속성을 확인하면서 현재 서울에 남겨진 일제의 흔적을 찿아가는 여정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관료들이 일제를 지운 체 조선의 지배층 건물들만을 중시한다는 관점을 보여준다는 것과 일제 당시 서울을 덥쳤던 ‘을축년 대홍수(1925)’ 에 대한 기록을 소개한 점은 인상적이었습니다. 또한 강남을 개발한 영동개발계획이전 일제가 사대문 밖에 세운 이촌동과 휴양지로 만들었던 노량진 지역 그리고 공업지역으로 개발한 영등포 지역에 대한 설명도 매우 인상적으로 기억합니다. 잊고 있지만 사실상 최초의 서울근교의 신도시 개발이었습니다.
문헌학 연구와 함께 도시답사를 오래다녔던 저자의 저력을 느낄 수 있었던 책이고 그 이후 나온 저자의 도시관련 책을 읽었던 계기가 된 책이기도 합니다.
저자가 주장하는 메가시티에 대한 개념은 <대서울의 길,2021> 에서 처음 소개한 걸로 기억합니다. 서울이라는 지역이 단지 행정적 경계를 뛰어넘어 서울과 강원 일부까지 포함하는 생활권이라는 저자의 주장은 이책에서도 반복적으로 강조되는 핵심입니다.
이책에서 정치인과 행정가들이 도시공간에 대해 바라보는 관점과 다른 선으로 연결된 인접지역과의 교류여부를 중요하게 봅니다.
끝으로 이책의 구성을 살피면 본문 총 13장에 459쪽에 이르는 책으로 저자가 생각하는 3대 메가시티 권력과. 지역별 소권역을 중심으로 설명되고 인구와 교통의 측면에서 해당도시와 도시의 미래를 예측합니다.
단순한 지역별 부동산 투자유망지 예측을 원한다면 다른 책을 보시는 게 나을 겁니다. 이 책은 저자의 답사와 언론의 보도 그리고 과거의 도시계획 등에 근거한 지극히 상식적인 예측을 할 뿐입니다. 지극히 현실적이고 담백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