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롭게 읽은 책입니다.

서지학(書誌學)을 전문으로 하는 학자가 아니라 소설을 쓰시는 작가께서 책소개를 해주셔서 책만으로 느낄수 없는 여백을 메꿔주시는 역할을 하셨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책도 책에 관한 책이고, 근세와 근대시기에 멀게는 13세기 가깝게는 20세기 초까지 서구에 알려지지 않았던 조선을 그들 입장에서 서술한 책을 소개한 겁니다.

따라서 소개시켜 준 책들이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든지 기본적으로 유럽중심주의(Eurocentrism)와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들의 목적이 측량이든 탐험이든 선교이든 마찬가지입니다.

유럽인들은 태생적으로 13세기에 있었던 몽골의 침략에 대한 공포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들의 속도와 무자비함으로 그들이 몽골인들을 야만인(Barbarian)으로 보고 있었고 중세이후 터키를 포함한 서아시아 지역을 유럽에 비해 낙후된 지역으로 보고 있습니다.

모르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편견과 무지가 결합해 자신들의 기독교 문화이외의 문화를 폄하하고 야만으로 취급하는 문화우월주의 내지는 백인 우월주의( white supremacy)를 발전시켜 온 겁니다.

기본적으로 이런 시각은 영미권의 저작에 기본적으로 들어가 있는 그들만의 시각입니다.

21세기인 현재도 그러할진데 대항해의 시대인 17-18세기와 식민지 확장에 전념하던 19세기는 그 강도가 더 쎘고 편견도 대단했습니다.

이 책을 관통하는 중요한 공통점은 오랜 옛날 즉 14-18세기에는 예수회(Jesuit)를 비롯한 카톨릭 신부들과 상인들이 아시아와의 접촉을 선도했다면 19세기는 개신교 선교사들과 외교관 상인 군인들이 아시아의 이권을 노리는데 선봉을 선 것인데 거의 일관되게 같은 부류의 사람들이 아시아와 유럽 의 교류에 참여해 온 것으로 보입니다.

책에 관한 책인만큼 책 자체의 이야기도 빼놓을 수 없는데, 라틴어, 프랑스어, 이태리어 등으로 쓰여진 초기 판본들이 유실되거나 축약 혹은 편역되어 영어번역본으로 수세기가 지난 뒤에 출판되거나, 원본이 유실되어 필사본으로 전해지다가 역시 수세기가 지나 출판되거나 아예 출판 자체가 되지 않고 원고상태로 수세기동안 도서관에 처박혀 있거나 흩어져 있던 원고들을 모아 번역하고 출판이 되는 등 고서들만이 가지는 사연들이 눈길을 끕니다.

수백년이 지난 이야기가 분실되거나 폐지로 없어지지 않고 유럽이나 미국땅이 아닌 한국의 도서관에 소장될 수 있는 건 한편으로는 기적이라고 불러도 무방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런면에서 신간서적의 출판도 중요하지만 중고서점에서 팔거나 도서관에서 소장하는 고서적을 볼 수 있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래된 책을 보면 느끼는 것이지만 당대의 현실을 분석하고 기록한 책이 지금은 역사의 일부가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이책에도 언급하고 있듯 개인의 문집이나 편지 그리고 당시 나온 잡지를 보면 글쓴이의 생활은 물론 감정까지도 날 것으로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에 역사서나 사회과학서의 분석을 뛰어넘는 원래의 삶을 그대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역사에 있어 어떤 특정 사건이나 전쟁 등을 직접 목격하거나 경험한 것을 기록한 일기나 회고록 등은 사료가 포함하지 못하는 현실의 ‘생생함’을 느낄 수 있게 해줘 매우 중요한 자료이기도 합니다.


이 책에서 언급한 책 중 특히 몽골관련해서 유럽에서 14세기 경 출판된 책들 중에는 과거 여기에서 소개한 책들이 있습니다.

몽골제국기행 (까치,2015)

두권의 중세 유럽의 몽골여행기가 한국어판에서 합쳐져 나온 번역본이지만 이런 책을 한국어로 접힐 수 있는 건 그래도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구한말 조선을 방문했던 영국여류화가의 화집 역시 번역본과 연구서가 출간되어 있습니다.

조선을 찿은 서양의 세여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3)

영국화가 엘리자베스 키스의 올드 코리아 완전복원판 ( 책과함께,2020)

구한말 조선을 애정어린 시각으로 바라보고 기록했던 여류화가의 작품을 볼 수 있어 사진집과는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