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항아리라는 출판사는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출판사입니다.

이전에 읽었던 김원중 교수님 번역의 ‘ 논어(2013)’도 이 출판사에서 나왔고, 태평양 군도에서 바라 본 근대를 조망한 ‘군도의 역사사회학(2017)’도 같은 출판사에서 나왔습니다.

책에서 이은혜 편집장이 언급했다시피 글항아리의 약 50%정도가 번역서이고 상당 수의 번역서가 유럽이나 미국보다 중국과 일본에서 나온 서적입니다.

기본적으로 독서를 좋아해야 할 수 있는 직업이고, 책 한권 기획하기 위해 편집자가 스스로 준비해야 하고 독서에 투자해야 하는 양이 상당해 보입니다.

하지만 꼭 내야 하는 책과 책 판매 사이에서 갈등해야 하는 측면이 있고, 천권 정도밖에 팔 수 없지만 500-600쪽을 넘어가는 두꺼운 책을 출간하는 건 출판사 편집자가 아니라면 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합니다.

더구나 번역을 위해 인용된 서적들을 모두 찿아보고 일본이나 중국에서 번역된 서양 서적의 경우 교차검증도 해야하는 일이니 만만한 작업은 아니라고 봅니다. 물론 이 일은 외서기획자라는 전문가와 함께 하는 일이지만 노력에 비해 알아주는 일이 아닌 건 분명합니다.

한국에서 신간들이 너무 빨리 절판(絕版)되는 상황이 이해가 되지 않았는데 현재 출판계에서 신간의 수명을 5년으로 보고 있고 출판 후 팔리지 않는 책들은 더 빨리 절판된다고 하니 책들이 빨리 사라지는 이유를 알 것 같습니다.

대중적 논픽션이 이러니 학술서나 연구서는 수명이 더 짧겠죠.

사실 1990년대 말에 나온 책들도 신간을 구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역사서나 경제서도 교과서를 제외하고 구하기가 매우 어려워 부득불 헌책방에 가야 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고 있는 고 손정목 교수님의 일제시대 도시발달사 같은 책들은 길어봐야 40년 전에 출판된 책이지만 현재 헌책도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도시사를 알기 위해 꼭 필요한 책이지만 절판이후 희귀본 취급을 받습니다.


영미권과 비교가 불가피한데, 아마존에서 보면 1960년대 출판된 책들이 아직도 신간으로(물론 복간이 된 책이지만) 출판되어 있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두껍고 각주 잔뜩 달린 책들이 인기가 있을 수 없지만 이런 책과 연구가 없으면 어떤 대중적 논픽션도 생산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안타까운 면이 큽니다.

영미권의 학자들이 쓴 책들이 100쪽 이상의 참고문헌과 색인 그리고 후주를 포함하고 본문만 최소 400쪽에서 700쪽에 이르는 경우를 봅니다. 특히 역사책의 경우 분야를 막론하고 두께가 상당합니다. 역사적 인물의 평전의 경우 2-3권 분량의 시리즈인 경우도 흔하고 1000쪽을 넘는 경우도 흔합니다. 놀라운 것은 이런 책들이 대학출판부 뿐만 아니라 대형상업출판사에서도 나옵니다.
솔직히 장사가 될까 싶지만 꾸준히 이런 책들이 나오는 걸 보면 놀랍습니다.
요새 인공지능 이야기하고 머신러닝 이야기 하지만 이건 지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없다면 무용지물입니다
인공지능이 학습할 컨텐츠가 없다면 기술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그런 의미에서 논픽션 전문 출판이 수익성을 떠나 매우 중요한 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세계최대의 영어사전을 출판하는 옥스퍼드대학이 세계최대의 영어사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는 건 그래서 우연이 아닙니다. 그리고 사전을 편찬할 수 있는 나라가 몇 나라 밖에 없는 것도 모든 것이 전자화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현재의 어두운 면입니다.

책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관심이 있을 책입니다.
독자가 독서를 지속하다 저자가 된다는 말에 공감하며 책을 읽었습니다.

책의 출판에 편집장의 개인적 취향과 독서 편력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