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책은 전에 서평을 올렸던 ‘인정사정, 조선군대생홯사’의 후속편입니다.
여러명의 저자가 학제적으로 연구한 연구 결과물로서 임진왜란 이후 만들어진 훈련도감에 대한 전반적인 모습을 아우릅니다.
이 책은 제목과는 사뭇 다른 내용이 들어가 있는데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조건의 호환 (虎患)과 훈련도감의 역할에 대한 내용 (5장 호랑이 잡는 훈련도감)과 화폐를 주조했던 훈련도감 ( 6장 훈련도감 군인들의 동전 만들기) 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내용이 ‘조선 최정예 군대’와 무슨 상관이 있는지 제목과의 관련성은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위의 두 글에 앞서 훈련도감이 임진왜란이후 왜 세워졌는지, 어떤 병서의 이론적 기반을 두고 세워졌는지는 ‘ 1 장 훈련도감을 만든 두권의 책’에 개략적으로 나와있습니다.
1장의 내용은 ‘인정사정, 조선군대생활사’에도 마오는 내용이 일부 있습니다만 간략히 다시 이야기 하면 이렇습니다.
훈련도감은 1592-1598년의 임진왜란을 경험한 후 일본이 사용했던 조총의 위력을 실감하고 훈련도감을 설치해 조총을 사용할 수 있는 군인을 양성하고자 합니다.
이에 선조는 당시 잘알려진 명나라 무장 척계광(戚繼光)이 중국 남부 해안에서 왜구의 침략에 대응한 전투를 경험한 후 이들을 공략할 수 있는보병 운용에 대한 책인 ‘기효신서(紀效新書)’를 저술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이책을 구하도록 명합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훈련도감을 만듭니다. 훈련도감을 만든 또하나의 병서는 역시 척계광이 지은 것으로’연병실기 (練兵實紀)’로 주로 기마전술에 대한 책이었습니다. 이는 명나라가 북방의 여진족 등 기마민족들과의 전투경험에 따른 병법을 정리한 것으로 보병 위주의 훈련도감 편제에 전차를 더 추가해 전투력 증대에 기여하기 위함이었습나다.
위에서 언급한 조선의 호환에 대해 잠깐 소개합니다.
조선에 호랑이가 한양과 궁궐 주변에 출몰했다는 기록이 훈국등록 및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한다는 이야기는 상당히 흥미로웠습니다. 한반도가 큰 산들이 많아 야생동물이 많이 살았으리라 생각했지만 조선 왕조 전반에 걸쳐 호환이 국가재난으로 인식되었다는 사실은 충격이었습니다.
궁궐과 가까운 북악산은 물론 궁궐 안에까지 호랑이가 나타났었다는 사실은 매우 놀라운 사실입니다.
이렇게 호랑이의 출몰이 계속되자 임진왜란 이전 조선에서는 호랑이를 잡는 전담 군영이 설치되었습니다. 착호갑사(捉虎甲士)라는 이름의 군사들로 오로지 활과 창을 이용해 호랑이만 전담으로 잡는 조직이었습니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군사제도가 개편된 이후 착호갑사의 임무가 훈련도감으로 넘어옵니다. 일단 훈련도감이 살상력이 뛰어난 조총을 운용하는 부대였다는 것도 한가지 이유였을 것이고 호랑이가 궁궐 및 한양에 출몰하는 까닭에 이를 호위하고 방어하는 임무를 지닌 훈련도감으로서 호랑이를 잡으라는 명령을 받들지 않을 수 없었을 것 같습니다.
끝으로 훈련도감의 화폐주조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조선은 현재 한국처럼 화폐의 발행의 권리가 국가에 귀속되지 않는 왕조국가로 발행권한은 왕에게 있었습니다. 따라서 지금처럼 한국은행이 발권력을 가지고 조폐공사를 통해 독점적으로 화폐발행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대신 왕이 명령을 내려 화폐발행을 지시하면 화폐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조선은 주조화폐만 유통되는 경제 아니었습니다. 즉 화폐만으로 물품의교환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각종 면포 및 특산품 쌀 등이 화폐의 역할을 했습니다. 따라서 독점적으로 일정 규격의 화폐를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훈련도감을 비롯해 어영청, 금위영 같은 군영이나 한양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 관아에서도 필요에 따라 화폐를 주조하게 됩니다.
한양에서 화폐를 주조해 다시 해당 지방까지 가져가는 비용이 크고 번거롭기 때문에 처음부터 지방에서 화폐를 주조하도록 한것입니다. 특히 군영은 필요한 군사비를 왕명에 따라 직접 주조해 조달하는 독특한 체계를 갖춘것으로 보입니다.
군영에서 화폐를 만든 것도 유사한 이유가 있겠지만 조선 후기 훈련도감이 직접 장인들을 고용해 필요한 무기를 만들던 곳이라 화폐의 주조가 용이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이상 제가 관심을 가졌던 글 몇가지 소개를 마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조선의 천문과 관련된 ‘7장 천문과 우주를 품은 군기’ 와 ‘9 장 조선 거동 음악의 미학’ 두개의 글입니다.
천문이라는 생경한 분야에 동양적 천문사상이 들어가니 읽기가 매우 힘들었습니다.
‘악학궤범’등을 비롯한 조선의 음악서적을 인용한 조선의 거동음악도 이해 안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이 두 글은 용어와 배경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설명이 들어가야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