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르는 북 만화로 보는 한국문학 대표작선 10
최일남 지음, 백석봉 그림 / 이가서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역마살이 끼어, 북 하나를 들고 온갖 사람들의 안방을 드나들며 북을 쳤던 민 노인의 이야기. 떠돌이들이 으레 그렇듯이, 그에게도 굶고 있는 처와 자식이 있었다. 그들은 미군들이 준 꿀꿀이 죽으로 연명했고, 아들은 그런 비참한 상황속에서 자수성가하여 명예와 실리를 중시하는 고급 공무원으로 성장했다. 그런 그에게 있어서 아버지란 존재는 일종의 콤플렉스와 같았다. 어릴 적 자신을 챙겨주지 못한 떠돌이 북쟁이는, 앞으로의 삶에 있어 그의 앞에 나타나서는 안될 존재와 같은 것이었다. 

책 속에서 민 노인의 아들은 이 늙고 힘없는 노인을 부인과 함세하여 몰아세우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친구들이 올 때마다 암묵적으로 쫓아내고, 무슨 일만 생겼다 하면 민 노인을 험악하게 바라보는 그 시선에는 침이라도 뱉고 싶은 심정이었다. 그러나 나는 그들을 이해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예술가의 혼을 지녔다고 하지만, 이 북쟁이는 분명하게도 그의 아내와 자식을 버리고 살았던 것이다. 아들은 그러한 아버지가 언제쯤 자신을 구원하러 올 지 세는 것을 포기하고 스스로 일어났을 때부터, 그의 마음속에는 아버지에 대한 일종의 분노가 도사리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민 노인의 손자가 노인과 소통하는 이야기는 참으로 흥미로웠다. 세대 간의 갈등이 격세대를 통하여 해결되는 모습이 얼마나 보기 좋은가? 마치 현대 시대의 역마살 낀 사내처럼, 손자 성규는 탈춤에 흥미를 가지고, 데모에 참가하기까지 한다. 당연히 그런 아들을 바라보는 민 노인의 아들 민대찬과 송 여사의 민 노인을 향한 시선이 곱지는 않다. 

아들은 말했다. 왜 자신을 북쟁이의 아들 따위로 낮추어서 평가되도록 만드냐고. 그랬다. 그의 명예란 것은 일종의 편견에 휩싸여 있었다. 진정으로 북의 소리를 이해해주는 것 같던 그의 친구들이 모두 그를 빈정대고 있다고 생각했으며, 모든 탓을 민 노인의 것으로 돌리고 만다. 성규는 말했다. 아내와 손자를 버리고 나간 행동은 분명히 잘못된 것이지만, 그것은 예술혼이란 것에 의해 용서받을 수 있다고. 만약 나였다면, 이 떠돌이 북쟁이가 아버지였다면, 나는 그를 용서할 수 있었을까? 만약 용서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그에게서 북을 빼앗고 싶어하는 마음까지 같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빈손의 좌충우돌 로마 오디세이 (책) 신나는 노빈손 세계 역사탐험 시리즈 3
강영숙 외 지음, 이우일 그림 / 뜨인돌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빈손의 모험 이야기는 매우 다양한 장소를 오고간다. 잃어버린 대륙 아틀란티스로 떠나기도 하고, 추풍낙엽처럼 과거와 현대를 오가면서 신비한 여행을 떠나는 인물. 그리고, 지독한 나르시즘에 빠져있는 이 인물은, 세 여신의 저주로 인하여 기억을 잃고 고대 로마의 검투사가 되어야만 했다. 하지만, 그의 앞읖 기다리고 있던 것은 고난 뿐만 아니라 고난 끝에 찾아오는 기쁨의 이야기였다. 

노빈손의 모험 이야기는 어찌 보면 정말 완성감이 없는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그러한 노빈손의 모험이 더욱 빛을 발하는 것 같다. 때에 어울리지 않게 발휘하는 엉뚱함은 오히려 그를 위험에서 구해주기도 하며, 특이한 외모에도 불구하고 스스로가 잘생겼다고 주장하는 이 남자는 의외로 주변 사람을 끌어당기는 재주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노빈손은 카이사로를 도와서 꺼져버린 신의 불을 되찾는데 성공한다. 그 와중에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서 함께 신의 불 원정대를 구성하기도 하고, 원로원들과 로마 군대에 의해 쫓기는 일까지 당하게 된다. 하지만, 퍼즐을 풀고 베수비오 화산의 신전으로부터 여신들의 불을 받아든 노빈손은, 역시나 그의 이름답게 신의 불을 찾아내었다. 

이 책에서는 노빈손의 귀띔에 의하여 원로원들에게 암살당할 뻔한 카이사로가 살아남아서 그들을 모두 섬멸한다는 뒤바뀐 전개를 가져다주었다. 카이사로는 이 책에서 정말로 그의 조국인 로마를 사랑하는 자세를 보여주었는데, 나는 아직 그 모습이 그의 진짜 모습일지는 확신이 들지 않고 있다. 하지만, 그가 로마를 위해 많은 일을 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베의 가족 만화로 보는 한국문학 대표작선 7
전상국 지음 / 이가서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미 교포가 어릴 적에 잃어버렸던 형을 찾기 위해 한국으로 되돌아온 이야기. 그의 이야기속에는, 깊은 비운의 역사가 담겨져 있었다. 젊은 시절 인민군에게 갖은 욕을 당하고, 거기다가 미군에게까지 욕보였던 어머니와, 정신 박약아인 아베를 보고 찾아온 아버지, 김상만 등의 이야기는 아베의 가족이 됨으로써 겪은 불운이 얼마나 큰 것인가를 알려주고 있다. 

아베가 존재할 때, 사람들은 모든 불운과 잘못을 아베 탓으로 돌리고 만다. 매번 흘리고 있는 침, 사지가 꺾여 있는 듯한 행동, 그리고 그 독특한 냄새... 이것은 사람들에게 아베를 보면서 혐오감이 일도록 하기에 충분했다. 화자인 진호는 자신의 이복 형인 아베를 폭풍우 치던 날 골방에 가두어 죽이려고까지 했었다. 물론, 모든 불운을 그의 탓으로 돌리고 싶었던 존재가 막상 죽을 위기에 처하자마자 없어지면 안된다는 생각을 했다. 

아베라는 존재를 통해 묶어 보는 가족의 이야기. 사람들은 아베가 없어지길 원했지만, 동시에 이 혐오스러운 존재가 결국은 자신들의 가족임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상처뿐인 한반도를 벗어나기 위해 미국으로 향하던 중, 그들은 아베를 버려두었다. 그리고 어머니는 곧 그 사실을 후회하고, 미국에서 힘 없이 살아갔다. 미군으로 지원한 재미교포, 화자인 진호는 어릴 적 보았던 그 병신, 아베를 찾기 위하여 한국으로 되돌아온다. 그의 이복형이자 보호해야 할 대상을 찾기 위해서였다. 

인민군의 잔해, 미군의 흔적등으로부터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겼던 가족들은, 그 시든 나뭇가지가 하나의 단단한 뿌리로 이어져 있다고 작가는 말했다. 병신 아베에게 묶인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이 이야기는 계속된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orrible Histories: Cut-Throat Celts (Paperback, 2 Revised edition) Horrible Histories 18
테리 디어리 지음, Martin Brown 그림 / Scholastic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마 시대에는 갈리아인으로 불렸으며, 영국 스코틀랜드의 섬에서 살았던 민족, 켈트 인. 이들은 체크무늬 바지나 치마로 유명한 민족으로, 지금의 체크 무늬도 바로 이들의 무늬로부터 유래된 것이었다. 이들은 어떠한 사상을 가지고 있었는가? 이들의 이야기는 어디서부터 비롯되었는가? 

The story of Caesar's Gallia fighting diary was the recordings about Celts. People said they were brave, and some weird Celt warriors even fought with no clothes on. The Celts were also cruel as the other ancient races. They believed they should need some sacrifice to do something. That was Celts, with checked clothes.

Caesar finally conquested Gallia, but the Celts are still alive. They are living different lifes although they are one of the U.K. The England wanted to dominate that places, but Celts were so strong to do that. Well, these were the stories of Celts. 

켈트인은 지금도 영국에서 잘 융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영국에서도 내전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 스코틀랜드란 지역은 꽤 문제가 심각하다. 하지만, 이 고집센 민족도 언젠가는 영국이라는 것에 하나로 합쳐지는 순간이 올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orrible Histories: Terrible Tudors (Paperback, 2 ed) Horrible Histories 6
Martin Brown, Terry Deary 지음 / Scholastic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튜더 왕조의 이야기는 꽤 유명하다. 특히 헨리 8세는, 천일의 스캔들을 통해서 영화로도 알려진 인물이다. 수많은 야사가 도시라고 있는 튜더 왕조의 그 파란만장한 이야기, 결혼을 위하여 가톨릭교를 성공회로 바꾸어버린 그 대담함까지 다양한 이야기들이 오고간다. 

The tudors had many kings and queens. And Henry Eighth was the legend of England history. Henry had a wife got from political purpose. He didn't like her, and he found a woman who was really beautiful. Yes, she was Ann. He wanted to make a baby of her, but the pope of Catholic didn't accept that. That made Henry angry, so he made Anglican Church that was really similar as Catholic. 

Elizabeth was the daughter of tudors, and she was a great queen who made England as a strong nation. She used the status that England is a island. She raised navies, and the navies did well for Elizabeth. 

There were also Bloody Merry, who killed Anglican believers because she is the believer of Catholic. She killed too many people, so that's why her name is Bloody Merry. Bloody Merry was also ended her life at Guillotin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