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경제 수첩 양철북 청소년 교양 1
크리스티아네 오퍼만.한대희 지음, 신홍민 옮김 / 양철북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는 정말 재미있고 신기한 학문이다. 사람의 직업부터 기초적인 물물교환까지, 그 분야는 너무나 다양하다. 본래부터 혼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보니, 모든 학문의 시초는 경제학이라 할 수 있다. 경제는 모든 것을 좌지우지한다. 사람의 편의를 위해서 만든 돈은 사람의 목숨과 권력을 결정한다. 

하지만 아직은 경제에 대해서 너무 깊이 알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는데, 청소년 경제 수첩을 마침 필독도서여서 읽어보았다. 그동안 내가 몰랐던 온갖 경제 지식들을 청소년에게 꼭 필요한 것으로  잘 정리해서 알려주었다. 그래서 그간 궁금해 했던 온갖 경제적 원리에 대해서 깨우칠 수 있었다. 

어릴 때부터 고민을 많이 한 것이었지만, 왜 사람들은 돈을 많이 찍어내서 사람들에게 모두 많이 나누어주어 부자로 만들어주지 않는 걸까? 그 이상적인 상상이 그 당시에는 무척 위험한 발상이었다는 것을 난 알게 되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재화의 양은 같은데 화폐만 늘어나게 되면 화폐의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돈의 가치를 잃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것이 인플레이션이다. 반대의 경우 디플레이션이 있는데,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저자는 설명을 생략했다. 

인간은 왜 돈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냈을까? 그 옛날에 사람들이 물물교환을 하던 시절에는 다소 불편함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돈에 의해 생기는 온갖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물론 인류에게 커다란 발전을 이바지한 이 종이가 나쁜 것은 아니다. 그러나 화폐라는 것이 생김과 동시에, 우리 사회에서 생산자의 비중이 그만큼 줄어들어 버렸다. 

과학자의 실험에서 한 번은 이런 결과가 나온 적이 있다. 5마리의 쥐가 있다면 그 중 두 마리는 지배적 위치에, 다른 두 마리는 피지배적 위치, 그리고 나머지 한 마리는 천덕꾸러기가 된다. 지금 사회의 지배적 위치와 피지배적 위치, 그리고 천덕꾸러기는 누구일까? 지식인을 무조건 지배층으로, 농민과 공업 종사자들을 피지배층이라 볼 수는 없다. (물론 지식층은 직접 생산을 담당하지 않는다는 점이 존재하긴 하다.) 책에서는 경제란 말을 부족한 재화를 알맞게 배분한다는 의미로 표현했지만 과연 그것이 경제의 끝일까? 하고 의문을 가지게 된다. 

모든 학문이 모든 학문의 바탕이 되고, 결국 모든 학문끼리 연결이 되어있다. 정치가 단 두명의 사람만 있어도 시작되는 것과 같이 경제도 극소수의 사람만이 있더라도 가동되기 시작한다. 경제에 더 흥미를 가지고, 경제를 연구하는 학자가 되어 경제의 무서운 신비를 밝혀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