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유산일기
안장헌 지음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03년 12월
이 책은 우리 문화 유산을 사진으로 작업해 둔 책입니다. 같은 출판사에서 출간 되었던 책으로 이번에 새롭게 출간된 '한 권으로 읽는 그림 한국사 백과'와 함께 짝꿍이 될 책이 아닌가 싶습니다. 만화 그림으로 아이들이 재미있고, 쉽게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간혹 실사의 다양하고 많은 그 시대 유물, 유산들의 사진을 보여주고 설명해줄 필요가 있을 때 이 책은 값진 진가를 발휘해 주었습니다.
1.가운데 판이 될 모양을 자로 재서 정확하게 칼로 오려내고, 피자박스를 아래쪽에 본드를 이용해서 붙인다
2. 가운데판의 뒤쪽에 퍼즐 모양을 연필로 먼저 디자인, 책에서 복사한 용지를 가운데판 크기로 정확하게 오린다
그림으로 보는 한국사중에서 54p 예술과 문화
고구려인들은 무예를 숭상하여 말 타기와 활쏘기를 무척 잘했고 그래서 고구려 미술에는 그런 고구려인의 씩씩한 정신과 기상이 담겨 있다.
복사한 수렵도를 가운데판에 풀로 붙인다.
오려낸 퍼즐 모양
수렵도 ( 무용총 주실 서쪽 벽, 팽팽하게 당겨진 활시위, 한껏 앞딧발을 뻗으며 내닫는 호랑이와 사슴의 모습이 생동감 넘친다)
완성한 퍼즐조각판
문화유산일기중에서 p114 고분 벽화
고분 벽화는 무덤의 내부에 그려진 그림으로 묘실을 장식하는 기능을 하는 데, 사후 세계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생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벽화의 내용을 통해 고대인의 사상과 사회상, 생활 풍속 등을 추측할 수 있다. 고분 벽화는 고구려에서 가장 유행하였고, 백제, 신라 가야의 무덤에서 발견된다. 쌍영총의 연꽃과 일월도, 인물도, 우현리 중묘와 대묘의 사신도, 안악 3호분의 벽화들이 대표적이다.